“송”과 “찬”의 두 체재가 원류는 다르지만, 의미상 비슷하기 때문에 “찬”을 “송”의 일부분으로 삼아함께 논술하였다. 본편에서 “송”과 “찬”을 구분해서 논술하고 있지만, 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75505
2006
-
KCI등재
학술저널
17-34(1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송”과 “찬”의 두 체재가 원류는 다르지만, 의미상 비슷하기 때문에 “찬”을 “송”의 일부분으로 삼아함께 논술하였다. 본편에서 “송”과 “찬”을 구분해서 논술하고 있지만, 그 ...
“송”과 “찬”의 두 체재가 원류는 다르지만, 의미상 비슷하기 때문에 “찬”을 “송”의 일부분으로 삼아함께 논술하였다. 본편에서 “송”과 “찬”을 구분해서 논술하고 있지만, 그 기원은 아주 오래되었다. 그러므로 유협도 ≪모시서≫와 ≪상서≫등을 인용해서 그 기원을 찾고 있다. 유가의 경전을 인용해서 그 문체의 기원을 찾는 방법은 유협이 문체론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지만, “송”과 “찬”같이 문체의 경계가 대단히 미미하고, 한대이후 사람들이 구분하지 않고 혼용해서 사용하던 “부”와 “송” 두 문체에 대해, 본편에서 두 문체의 경계를 비교적 명확하게 한 것은 유협의 적지 않은 공헌이다. 육기의 ≪문부≫와 지우의 ≪문장유별론≫에서는 단지 “송”체 한 가지만 언급했고, 이충의 ≪한림론≫에서도 “찬”체 한 가지만 언급했는데, 유협은 ≪문심조룡≫에서 “송”과 “찬” 두 문체를 구분해서 논술하였다. 그가 “송”과 “찬” 두 문체를 구분해서 논술한 것은 전대 사람들을 이어받고 후대에 계승 발전시키는 작용을 낳았다. 예를 들어, 소통의 ≪문선≫권47에서 “송”5편과 “찬”3편을 수록하였고, 또 권50에서 “사술찬(史述讚)”3편을 수록한 것은 아마도 유협의 영향을 받은 것일 것이다. 정리하면, 유협은 ≪모시서≫의 견해를 따랐지만, 주의를 기울일 만한 것도 있다. “송”체에 대해 전통적인 관점을 견지하고 있지만, “변체(變體)”도 인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소한 사물을 묘사한 <귤송>도 “내용이나 문장의 수식이 모두 아름답고, 서로 비슷한 물건들을 비유적으로 사용해서 자신의 정감을 담고 있다”는 아름다움을 인정하였다. “송”은 가공송덕을 가리키고, “찬”은 찬미를 가리키지만, 각기 다른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협이 “송찬” 두 문체를 함께 논술했고, 비교의 형식을 통해 두 문체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내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협의 《頌讚》편 분석"
2 穆克宏, "魏晋南北朝文全編" 江蘇敎育出版社 1996
3 徐師曾, "文體明辨序說" 人民文學出版社 1998
4 吳訥, "文章辨體序說" 人民文學出版社 1998
5 林杉, "文心雕龍文體論今疏" 內蒙古敎育出版社 2000
1 "유협의 《頌讚》편 분석"
2 穆克宏, "魏晋南北朝文全編" 江蘇敎育出版社 1996
3 徐師曾, "文體明辨序說" 人民文學出版社 1998
4 吳訥, "文章辨體序說" 人民文學出版社 1998
5 林杉, "文心雕龍文體論今疏" 內蒙古敎育出版社 2000
〈園林記〉를 통해 본 강남지역 明ㆍ淸代 士人들의 交遊關係 연구(Ⅰ)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중국어문논역총간 제5집 -> 중국어문논역총간 |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26 | 0.26 | 0.27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24 | 0.22 | 0.49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