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s is to report the possibility of Post-CVA voiding dysfunction treated with Gamidaejihwang-tangaggam(加味大地黃湯加減). Methods : Three patients with Post-CVA voiding dysfunction were treated by Gam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29473
홍상훈 (동의대학교) ; 박상은 (동의대학교) ; Hong, Sang-Hoon ; Park, Sang-Eun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61-269(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s is to report the possibility of Post-CVA voiding dysfunction treated with Gamidaejihwang-tangaggam(加味大地黃湯加減). Methods : Three patients with Post-CVA voiding dysfunction were treated by Gami...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s is to report the possibility of Post-CVA voiding dysfunction treated with Gamidaejihwang-tangaggam(加味大地黃湯加減). Methods : Three patients with Post-CVA voiding dysfunction were treated by Gamidaejihwang-tanggagam. Effect of treatment is assessed as Bladder Function Parity. Results and conclusions : Bladder function parity score improved, in three cas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s of Gamidaejihwang-tanggagam for a Post-CVA Voiding disfunc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명웅, "한방 치료로 호전된 排尿 障碍 환자 치험 2례" 한의병리학회 26 (26): 241-247, 2012
2 김상진, "중풍으로 유발된 배뇨?배변장애에 양격산화탕을 위졸 한 치험 1례" 대한본초학회 18 (18): 1-8, 2003
3 김경태, "배뇨장애에 대한 침구치료의 연구동향" 대한침구의학회 22 (22): 123-136, 2005
4 노동진, "배뇨 장애를 호소하는 뇌경색 환자의 가미금궤신기환 치험 2례"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2 (22): 39-47, 2011
5 박대순, "구자 투약기간이 수컷 생쥐의 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 (20): 71-82, 2007
6 안광현, "鍼灸治療를 爲主로 施行한 複合治療가 特發性 神經因性 膀胱에 對한 證例報告" 대한침구의학회 19 (19): 247-255, 2002
7 변상현, "短期間의 ?子 投與가 생쥐의 筋疲勞와 筋力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 (20): 60-70, 2007
8 이형호, "中風으로 유발된 脾虛氣陷형 遺尿 및 大便失禁 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한의병리학회 20 (20): 1350-1354, 2006
9 Jeong J. W., "Two case of voiding Dysfunction Treated with Wugongsan in Stroke patients" 25 (25): 6-16, 2000
10 Kim Hyeong gi, "Taeamsumunheombangnok" Uiseongdang 186-191, 2000
1 장명웅, "한방 치료로 호전된 排尿 障碍 환자 치험 2례" 한의병리학회 26 (26): 241-247, 2012
2 김상진, "중풍으로 유발된 배뇨?배변장애에 양격산화탕을 위졸 한 치험 1례" 대한본초학회 18 (18): 1-8, 2003
3 김경태, "배뇨장애에 대한 침구치료의 연구동향" 대한침구의학회 22 (22): 123-136, 2005
4 노동진, "배뇨 장애를 호소하는 뇌경색 환자의 가미금궤신기환 치험 2례"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2 (22): 39-47, 2011
5 박대순, "구자 투약기간이 수컷 생쥐의 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 (20): 71-82, 2007
6 안광현, "鍼灸治療를 爲主로 施行한 複合治療가 特發性 神經因性 膀胱에 對한 證例報告" 대한침구의학회 19 (19): 247-255, 2002
7 변상현, "短期間의 ?子 投與가 생쥐의 筋疲勞와 筋力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 (20): 60-70, 2007
8 이형호, "中風으로 유발된 脾虛氣陷형 遺尿 및 大便失禁 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한의병리학회 20 (20): 1350-1354, 2006
9 Jeong J. W., "Two case of voiding Dysfunction Treated with Wugongsan in Stroke patients" 25 (25): 6-16, 2000
10 Kim Hyeong gi, "Taeamsumunheombangnok" Uiseongdang 186-191, 2000
11 Oh Seungjun, "Normal voiding mechanism and voiding dysfunction" 31 (31): 49-58, 2003
12 liu L. Q., "Management of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for Voiding Disorders after Stroke" 19 (19): 1036-1038, 2013
13 Yang wengang, "Curative Analysis of Using Self-made Zhongfeng Qihua Decoction and Scallion-salt Partitioned Moxibustion to Treat Urination Disorders after Stroke" 32 (32): 82-84, 2014
14 Ding guangdi, "Combination and using of chinese herbal medicine"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41-142, 2012
15 Kyoung-Suk Kang,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Moxibustion for Post-stroke Voiding Dysfunction" 21 (21): 236-241, 2000
16 Lee Kyung-Hee,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Moxibustion for Urinary Disturbance as a Complication of CVA" 17 (17): 247-265, 1996
17 Tian Q. Y., "Acupucture and Herbal medicine combine treatment on Voiding disorders after stroke" 18 (18): 165-166, 2011
18 Park J. H., "A philological study on poisoning of Ginkgo Semen" 34 (34): 19-40, 2009
19 Liu xiuying, "39 cases of enuresis patients treated with Jiuzizhuhuangtang" 20 (20): 26-, 1997
만성폐쇄성폐질환 동물모델에 대한 射干湯 및 구성약물의 효과
삼릉(三稜)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및 미토콘드리아 보호 효과
황금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인간 신장암 세포주 Caki-1의 G2/M arrest 유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7-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 The Journal of Herbal Formula Science | ![]() |
2014-07-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 The Korean Medicine Society for the Herbal Formula Study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3 | 0.425 | 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