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자의 해체주의적 사유와 윤리설의 특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21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대 중국과 문화적 연계를 이루는 사회의 지식인들 중에는 2천년 이상의 오랜 세월 동안 공식적 영역에서는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삶을 영위하여 왔지만 사적인 영역에서는 노장사상에 경...

      고대 중국과 문화적 연계를 이루는 사회의 지식인들 중에는 2천년 이상의 오랜 세월 동안 공식적 영역에서는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삶을 영위하여 왔지만 사적인 영역에서는 노장사상에 경도되어 삶을 유지한 사람들이 많았다. 비록 대부분의 사상가들에게 사적인 영역을 담보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렇게 본다면 노장사상 내지 도가사상을 대표하는 노자는 결코 세상을 회피하는 은둔자의 허무주의만을 지향하는 사유체계가 아니었음을 과거의 역사와 사상가들이 알려주고 있다. 중국고대 사회라는 토양에서 생겨난 노자는 치열했던 춘추전국시대를 살아가는 처세의 지혜이며, 특수한 통치이론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국적 특수성을 강하게 피력하는 특징을 보인다. 나아가 세계와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보편성을 지니고 있으며, 오래 기간 동안 유교와 함께 동양인의 정신세계에 영양분을 공급해 왔으며, 오늘날까지 세계인의 교과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겠다. 고대 중국의 지적 유산 중 오랜 기간 중국을 지배해 온 이데올로기의 근원과 시작으로 작용한 이 두 사유체계의 본질을 담고 있는 것이 바로 논어와 노자일 것이다. 이 두 텍스트는 오늘날 까지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은 사람들을 독자로 확보하고 있다. 세계의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고 해석되고 있다는 현실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것이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 두 중국고전에 대한 번역과 해설, 전문적 논저들은 셀 수 없을 정도이다. 그런데 이 두 고전은 기본적인 성격에서 차이를 보인다. 즉, 논어에 보이는 사상에는 중국사회의 정치적이며 인륜적인 질서를 보호하려는 의비가 강한 반면, 노자에는 세계 속에서부터 한걸음 물러나 개인의 내면적 충실을 추구하며, 자연적 세계에 대해서 통찰하는 면이 많은 것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논어와 노자의 이러한 특징은 시대와 지역의 제약을 넘어서 사람들의 마음을 직접 움직이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전자를 낮의 교과서 후자를 밤의 교과서로 비유하면서 구별하는 것도 일리가 있다. 산업이 급속도로 발달하며 물질적이며 과학적이 문명이 최고조에 도달한 오늘날의 사회에도 이런 경향성은 엄존하여 현대에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노자를 삶의 지남으로 여기며 살아가고 있다. 주요 이름난 산 속에서 소위 “도를 닦는다”는 사람들이 여기에 속하는데, 이들은 불교 아니면 도교적 전통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노자는 그 체계와 구성이 단편적인 언어의 조합이라고 말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이 논문은 현대 철학의 주요 이론 중 하나인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관점에서 노자를 검토한 것이다. 1973년 帛書 노자, 1993년 楚簡 노자의 발견으로 그간의 노자 연구는 연구사의 획을 긋는다. 이 두 노자의 발견을 계기로 그 이전에 주로 시도되었던 노자의 원형을 복원하기를 시도하거나 재구성하는 연구는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러나 각 부분의 언어적, 해석학적 연구는 이 두 판본의 발견과 관계없이 꾸준하게 시도되고 있다. 여기서는 문헌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관점이 아닌 인간과 세계를 읽어내는 해체주의적 관점에 근거하여 노자의 사유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동양학의 연구방법 측면에서의 새로운 시도들이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o (道) has many different meanings 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t means a way, a method, or a truth. Moreover, it means ‘to speak’. Usually Tao in the system of Lao Tzu's thinking is metaphysically regarded as a principle of being, as...

      Tao (道) has many different meanings 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t means a way, a method, or a truth. Moreover, it means ‘to speak’. Usually Tao in the system of Lao Tzu's thinking is metaphysically regarded as a principle of being, as a moral principle of human life, as Absolute Truth, as Ultimate Reality, and as Eternal Ground of Being,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re are textual similarities what between Lao Tzu(老子)' Tao and Derrida says about ‘differance’, ‘trace’, and ‘play’, etc. With this understanding, It is helpful to correct the notion that Tao is the Eternal Ground of Being. get a new insight into Taoist philosophy by way of Derridian deconstructive theory. Lao Tzu like Derrida deconstruct all kinds of traditional and metaphisical thoughts which can be termed dualistic system of thinking. We can get a new philosophical insight into Taoist philosophy by way of Derridian deconstructive theroy. With our discussion of the aspects of Tao from Lao Tzu and Derrida's ‘differance’, ‘trace’ and ‘play’, we will establish a philosophy affinity between Taoist and Derridian deconstructive thinking. As pointed at this study, Derrida and Lao Tzu present a challenge against traditional or conventional thought, the common denominator of which can be termed dualistic system of thinking. Under this dualistic thinking, all terms like ‘True’ and ‘False’, ‘Being’ and ‘Nothing’, ‘Beauty’ and ‘Ugliness’ designate the state of self-presence, plentitude, and interiority. And they inevitably generate their logical opposites as the marginal and insubstantial. This kind of thought shows its sturdiness while dividing the world of meanings into true and false, good and evil, beauty and ugliness. In this dichotomy, the first considers the latter as the object of violence. Derrida defines this dominant tradition to ‘the metaphysics of presence’ and the thinking of Taoist philosophy like Lao Tzu attacks and seeks to overthrow the tyranny of metaphysical-dualistic concepts. In this perspective, we find ourselves in a paradoxical situation of theorizing a non-theory and conceptualizing a non-conception in order to understand ‘differance’, ‘trace’, ‘play’ as well as ‘Tao’ with Derrida and Lao Tzu. The doubleness or paradox of differance as well as Tao can be discussed in two ways. On the one hand, it indicates the disruption or the transgression of any metaphysical dualistic concep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the interplay or the complicity between two apparent stabilities. They propose that a thinking that deconstructs all centrisms like westerncentrism, malecentrism, phonocentrism, and moralcentrism is to create an enjoyable play-space for human beings in this world. Their suggestions provide us in the transition towards the 21st century with a fresh perspective to look differently at human beings and this world we live 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I. 머리말 - 해체주의적 접근
      • II. 道와 이중적 사유
      • III. 無爲의 윤리설
      • IV. 맺는말
      • <논문 요약>
      • I. 머리말 - 해체주의적 접근
      • II. 道와 이중적 사유
      • III. 無爲의 윤리설
      • IV. 맺는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