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창훈, "효과적인 컴플라이언스 기능 운영에 관한 소고" 비교법학연구소 38 : 695-739, 2013
2 곽관훈, "회사법적 측면에서 본 기업범죄 예방" 비교법학연구소 32 : 163-188, 2011
3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18
4 서봉규, "현행 양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11 (11): 33-67, 2010
5 정환, "하도급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한국경쟁법학회 27 : 37-65, 2013
6 전국경제인연합회, "하도급법상 3배 배상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7 김두진, "하도급법 위반행위의 위법성 판단기준 및 집행수단" 한국경영법률학회 25 (25): 385-423, 2015
8 박성민,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형사체계편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하도급법상의 적용제한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8 (18): 191-211, 2017
9 김성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법이론적 문제점과 그 극복방안" 법학연구원 25 (25): 281-298, 2013
10 김명엽,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개선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4) : 63-86, 2016
1 조창훈, "효과적인 컴플라이언스 기능 운영에 관한 소고" 비교법학연구소 38 : 695-739, 2013
2 곽관훈, "회사법적 측면에서 본 기업범죄 예방" 비교법학연구소 32 : 163-188, 2011
3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18
4 서봉규, "현행 양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11 (11): 33-67, 2010
5 정환, "하도급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한국경쟁법학회 27 : 37-65, 2013
6 전국경제인연합회, "하도급법상 3배 배상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7 김두진, "하도급법 위반행위의 위법성 판단기준 및 집행수단" 한국경영법률학회 25 (25): 385-423, 2015
8 박성민,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형사체계편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하도급법상의 적용제한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8 (18): 191-211, 2017
9 김성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법이론적 문제점과 그 극복방안" 법학연구원 25 (25): 281-298, 2013
10 김명엽,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개선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4) : 63-86, 2016
11 이점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38) : 2006
12 홍완식,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입법평론" 법학연구소 52 (52): 479-506, 2017
13 이진성,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78) : 431-455, 2018
14 김차동,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도입에 관한 심포지움 –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방안, 서울지방변호사회 주최 발표자료" 2015
15 윤용석,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미국의 최근 동향" 한국재산법학회 23 (23): 247-276, 2006
16 장재옥, "징벌적 손해배상과 법치국가의 원리"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9 : 1995
17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징벌적 배상법안 검토보고" 2016
18 최정식, "준법통제와 준법지원인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소 27 : 263-288, 2012
19 박세화, "준법지원인제도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법적 과제" 한국상사법학회 30 (30): 253-293, 2011
20 가정준, "준법지원인의 회사내 독립성과 그 역할 분석" 법학연구소 (52) : 681-712, 2011
21 정준우, "준법지원인의 선임에 관한 규제와 그 개선방안" 한국기업법학회 29 (29): 223-250, 2015
22 윤상민, "준법감시제도를 통한 기업범죄예방" 한국법학회 (53) : 217-237, 2014
23 봉영준,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의 법적 성질" 한국법정책학회 14 (14): 2019-2056, 2014
24 양만식, "이사의 내부통제시스템의 구축책임과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법학회 25 (25): 249-272, 2011
25 원종현, "우리나라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7
26 박희주, "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법제 및 사례 연구(정책연구보고서)" 한국소비자원 2014
27 송호신, "스튜어드십 코드와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 한국법정책학회 17 (17): 197-227, 2017
28 김순석,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에 따른 법적 검토 과제" 한국증권법학회 17 (17): 1-48, 2016
29 구창모, "스튜어드십 코드 가입을 위한 유인방안" 법학연구소 10 (10): 191-230, 2017
30 박세화, "상법상 준법통제프로그램에 관한 실무적 쟁점 및 입법적 정비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상사법학회 33 (33): 119-158, 2014
31 박희주, "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시사점" 한국소비자원 (93) : 2018
32 김태선, "미국 배액배상제도 및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소고" 한국민사법학회 66 : 239-275, 2014
33 정완, "독점규제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에 관한 입법방안 검토" 법학연구소 52 (52): 261-291, 2017
34 김진수, "대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와 정책방향" 한국조세연구원 1998
35 박세화, "내부통제제도에 관한 한국 기업법제의 현황과 과제" 한국기업법학회 30 (30): 39-76, 2016
36 서완석, "내부통제와 준법감시인제도" 한국기업법학회 23 (23): 289-330, 2009
37 유병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범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4
38 이상복, "기업의 컴플라이언스와 책임에 관한 미국의 논의와 법적 시사점" 법무부 (79) : 1-37, 2017
39 양동석, "기업의 지배구조와 기관조직" 조선대학교출판부 2006
40 서완석, "기업의 내부통제 활성화 방안" 부설법학연구소 43 : 27-87, 2014
41 이천현, "기업의 경제활동에 관한 형사법제 연구(2)-기업범죄에 대한제재체계의 현황과 개선방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42 이천현, "기업범죄의 억제를 위한 최근의 정책동향과 과제" 한국형사정책학회 20 (20): 11-39, 2008
43 안경옥, "기업범죄의 내용 및 합리적 제재방안-행정적·자율적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4 (14): 403-424, 2012
44 최정학, "기업범죄와 징벌적 손해배상"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2) : 271-300, 2010
45 권종호, "기업내부통제제도의 바람직한 입법방향" 한국기업법학회 25 (25): 127-154, 2011
46 정대, "글로벌 스탠더드로서의 내부통제: 상장회사의 준법지원인제도" 한국법학회 (43) : 267-296, 2011
47 손진화, "개정회사법(2011년)의 체계와 논점" 한국경영법률학회 21 (21): 167-214, 2011
48 여경수, "개인정보보호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법정손해배상제도"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12 (12): 2015
49 龍田節, "日本の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の基本的問題" 商事法務硏究會 (1692) : 2004
50 金運坤, "企業犯罪의 刑事責任에 관한 硏究"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8
51 弥永真生, "コンメンタール会社法施行規則電子公告規則" 商事法務 2007
52 J, Stephen McNally, "The 2013 COSO Framework SOX Compliance-One Approach to an Effective Transition"
53 COSO, "Internal Control-Integrated Framework" 1992
54 COSO,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Governance-How the COSO Frameworks Can Help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