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범죄 예방을 위한 상사법의 대응방안 - 내부통제제도와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중심으로 - = Countermeasures of the Commercial Law and related Laws for the Prevention of Corporate Crimes - Focusing on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nd Punitive Dam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3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rporations are one of the main agents of economic activity in modern society. As the importance of corporations in society increases, the damage caused by corporate crimes is becoming widespread and serious. In the past, countermeasures against corporate crimes were implemented mainly by strengthening punishment. However, in spite of continuous institutional organizations to prevent corporate crimes, it was difficult to achieve substantial regulatory effects. Therefore, the voluntary willingness to prevent corporate crimes and comply with regulations is the most effective regulatory measur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basic direction of regulation toward preventing corporate crimes rather than to put an emphasis on sanction-oriented regul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reinforcing ex post facto imposition sanctions against corporate crimes, In this paper, I examined two systems as countermeasures which the Commercial Law or other related laws could introduce in order to prevent corporate crimes. First, it dealt wit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s a measure to prevent corporate crimes in advance. The current internal control system provided in Korea Laws were reviewed, and their problems and remedies were proposed. Second, the punitive damages were examined as ex post facto monetary penalties. This is because it can suppress effectively corporate crimes by imposing enormous monetary sanctions on profits obtained by illegal acts and removing the incentives to commit corporate crimes. This paper reviewed and summarized the debates on whether the punitive damages would be introduced into Korea Laws or not and on the current state of legislation, and then drew their problems and came up with remedies for such problems.
      As a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harmonize the efforts for corporations themselves to prevent corporate crimes with the strict sanctions to eliminate motives to commit corporate crimes.
      번역하기

      Corporations are one of the main agents of economic activity in modern society. As the importance of corporations in society increases, the damage caused by corporate crimes is becoming widespread and serious. In the past, countermeasures against corp...

      Corporations are one of the main agents of economic activity in modern society. As the importance of corporations in society increases, the damage caused by corporate crimes is becoming widespread and serious. In the past, countermeasures against corporate crimes were implemented mainly by strengthening punishment. However, in spite of continuous institutional organizations to prevent corporate crimes, it was difficult to achieve substantial regulatory effects. Therefore, the voluntary willingness to prevent corporate crimes and comply with regulations is the most effective regulatory measur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basic direction of regulation toward preventing corporate crimes rather than to put an emphasis on sanction-oriented regul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reinforcing ex post facto imposition sanctions against corporate crimes, In this paper, I examined two systems as countermeasures which the Commercial Law or other related laws could introduce in order to prevent corporate crimes. First, it dealt wit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s a measure to prevent corporate crimes in advance. The current internal control system provided in Korea Laws were reviewed, and their problems and remedies were proposed. Second, the punitive damages were examined as ex post facto monetary penalties. This is because it can suppress effectively corporate crimes by imposing enormous monetary sanctions on profits obtained by illegal acts and removing the incentives to commit corporate crimes. This paper reviewed and summarized the debates on whether the punitive damages would be introduced into Korea Laws or not and on the current state of legislation, and then drew their problems and came up with remedies for such problems.
      As a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harmonize the efforts for corporations themselves to prevent corporate crimes with the strict sanctions to eliminate motives to commit corporate cri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에서 기업은 중요한 경제활동 주체의 하나이다. 기업이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기업범죄로 인한 피해도 폭넓고 심각해지고 있다. 종래 기업범죄에 대하여는 처벌을 강화하는 등 사후적 대책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기업범죄를 막기 위한 지속적인 제도정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규제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업 스스로가 기업범죄를 예방하고 규제내용을 준수하고자 하는 자발적인 의지가 가장 효과적인 규제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제재위주의 규제가 아니라 기업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방식으로 규제의 기본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기업범죄에 대한 사후적 제재를 강화하는 제도적 보완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범죄에 대한 상사법의 대응방안으로서 두 가지 제도를 검토하였다. 첫째, 기업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방안으로서 내부통제제도의 구축·운용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내부통제제도에 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사후적 제재의 강화방안으로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검토하고 있다. 이는 위법행위에 의하여 취득한 이익에 대하여 막대한 금전적 제재를 부과하여 그 유인을 제거함으로써 기업범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 여부에 관한 논의와 입법현황을 정리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으로서 기업범죄는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업 자체의 노력과 함께 그 동기를 제거하기 위한 엄격한 제재가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현대사회에서 기업은 중요한 경제활동 주체의 하나이다. 기업이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기업범죄로 인한 피해도 폭넓고 심각해지고 있다. 종래 기업범죄에 대하여는 처벌을 강...

      현대사회에서 기업은 중요한 경제활동 주체의 하나이다. 기업이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기업범죄로 인한 피해도 폭넓고 심각해지고 있다. 종래 기업범죄에 대하여는 처벌을 강화하는 등 사후적 대책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기업범죄를 막기 위한 지속적인 제도정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규제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업 스스로가 기업범죄를 예방하고 규제내용을 준수하고자 하는 자발적인 의지가 가장 효과적인 규제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제재위주의 규제가 아니라 기업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방식으로 규제의 기본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기업범죄에 대한 사후적 제재를 강화하는 제도적 보완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범죄에 대한 상사법의 대응방안으로서 두 가지 제도를 검토하였다. 첫째, 기업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방안으로서 내부통제제도의 구축·운용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내부통제제도에 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사후적 제재의 강화방안으로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검토하고 있다. 이는 위법행위에 의하여 취득한 이익에 대하여 막대한 금전적 제재를 부과하여 그 유인을 제거함으로써 기업범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 여부에 관한 논의와 입법현황을 정리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으로서 기업범죄는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업 자체의 노력과 함께 그 동기를 제거하기 위한 엄격한 제재가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창훈, "효과적인 컴플라이언스 기능 운영에 관한 소고" 비교법학연구소 38 : 695-739, 2013

      2 곽관훈, "회사법적 측면에서 본 기업범죄 예방" 비교법학연구소 32 : 163-188, 2011

      3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18

      4 서봉규, "현행 양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11 (11): 33-67, 2010

      5 정환, "하도급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한국경쟁법학회 27 : 37-65, 2013

      6 전국경제인연합회, "하도급법상 3배 배상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7 김두진, "하도급법 위반행위의 위법성 판단기준 및 집행수단" 한국경영법률학회 25 (25): 385-423, 2015

      8 박성민,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형사체계편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하도급법상의 적용제한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8 (18): 191-211, 2017

      9 김성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법이론적 문제점과 그 극복방안" 법학연구원 25 (25): 281-298, 2013

      10 김명엽,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개선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4) : 63-86, 2016

      1 조창훈, "효과적인 컴플라이언스 기능 운영에 관한 소고" 비교법학연구소 38 : 695-739, 2013

      2 곽관훈, "회사법적 측면에서 본 기업범죄 예방" 비교법학연구소 32 : 163-188, 2011

      3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18

      4 서봉규, "현행 양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11 (11): 33-67, 2010

      5 정환, "하도급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한국경쟁법학회 27 : 37-65, 2013

      6 전국경제인연합회, "하도급법상 3배 배상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7 김두진, "하도급법 위반행위의 위법성 판단기준 및 집행수단" 한국경영법률학회 25 (25): 385-423, 2015

      8 박성민,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형사체계편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하도급법상의 적용제한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8 (18): 191-211, 2017

      9 김성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법이론적 문제점과 그 극복방안" 법학연구원 25 (25): 281-298, 2013

      10 김명엽,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개선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4) : 63-86, 2016

      11 이점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38) : 2006

      12 홍완식,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입법평론" 법학연구소 52 (52): 479-506, 2017

      13 이진성,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78) : 431-455, 2018

      14 김차동,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도입에 관한 심포지움 –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방안, 서울지방변호사회 주최 발표자료" 2015

      15 윤용석,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미국의 최근 동향" 한국재산법학회 23 (23): 247-276, 2006

      16 장재옥, "징벌적 손해배상과 법치국가의 원리"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9 : 1995

      17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징벌적 배상법안 검토보고" 2016

      18 최정식, "준법통제와 준법지원인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소 27 : 263-288, 2012

      19 박세화, "준법지원인제도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법적 과제" 한국상사법학회 30 (30): 253-293, 2011

      20 가정준, "준법지원인의 회사내 독립성과 그 역할 분석" 법학연구소 (52) : 681-712, 2011

      21 정준우, "준법지원인의 선임에 관한 규제와 그 개선방안" 한국기업법학회 29 (29): 223-250, 2015

      22 윤상민, "준법감시제도를 통한 기업범죄예방" 한국법학회 (53) : 217-237, 2014

      23 봉영준,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의 법적 성질" 한국법정책학회 14 (14): 2019-2056, 2014

      24 양만식, "이사의 내부통제시스템의 구축책임과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법학회 25 (25): 249-272, 2011

      25 원종현, "우리나라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7

      26 박희주, "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법제 및 사례 연구(정책연구보고서)" 한국소비자원 2014

      27 송호신, "스튜어드십 코드와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 한국법정책학회 17 (17): 197-227, 2017

      28 김순석,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에 따른 법적 검토 과제" 한국증권법학회 17 (17): 1-48, 2016

      29 구창모, "스튜어드십 코드 가입을 위한 유인방안" 법학연구소 10 (10): 191-230, 2017

      30 박세화, "상법상 준법통제프로그램에 관한 실무적 쟁점 및 입법적 정비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상사법학회 33 (33): 119-158, 2014

      31 박희주, "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시사점" 한국소비자원 (93) : 2018

      32 김태선, "미국 배액배상제도 및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소고" 한국민사법학회 66 : 239-275, 2014

      33 정완, "독점규제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에 관한 입법방안 검토" 법학연구소 52 (52): 261-291, 2017

      34 김진수, "대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와 정책방향" 한국조세연구원 1998

      35 박세화, "내부통제제도에 관한 한국 기업법제의 현황과 과제" 한국기업법학회 30 (30): 39-76, 2016

      36 서완석, "내부통제와 준법감시인제도" 한국기업법학회 23 (23): 289-330, 2009

      37 유병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범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4

      38 이상복, "기업의 컴플라이언스와 책임에 관한 미국의 논의와 법적 시사점" 법무부 (79) : 1-37, 2017

      39 양동석, "기업의 지배구조와 기관조직" 조선대학교출판부 2006

      40 서완석, "기업의 내부통제 활성화 방안" 부설법학연구소 43 : 27-87, 2014

      41 이천현, "기업의 경제활동에 관한 형사법제 연구(2)-기업범죄에 대한제재체계의 현황과 개선방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42 이천현, "기업범죄의 억제를 위한 최근의 정책동향과 과제" 한국형사정책학회 20 (20): 11-39, 2008

      43 안경옥, "기업범죄의 내용 및 합리적 제재방안-행정적·자율적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4 (14): 403-424, 2012

      44 최정학, "기업범죄와 징벌적 손해배상" 민주주의법학연구회 (42) : 271-300, 2010

      45 권종호, "기업내부통제제도의 바람직한 입법방향" 한국기업법학회 25 (25): 127-154, 2011

      46 정대, "글로벌 스탠더드로서의 내부통제: 상장회사의 준법지원인제도" 한국법학회 (43) : 267-296, 2011

      47 손진화, "개정회사법(2011년)의 체계와 논점" 한국경영법률학회 21 (21): 167-214, 2011

      48 여경수, "개인정보보호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법정손해배상제도"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12 (12): 2015

      49 龍田節, "日本の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の基本的問題" 商事法務硏究會 (1692) : 2004

      50 金運坤, "企業犯罪의 刑事責任에 관한 硏究"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8

      51 弥永真生, "コンメンタール会社法施行規則電子公告規則" 商事法務 2007

      52 J, Stephen McNally, "The 2013 COSO Framework SOX Compliance-One Approach to an Effective Transition"

      53 COSO, "Internal Control-Integrated Framework" 1992

      54 COSO,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Governance-How the COSO Frameworks Can Help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2-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원법학 -> 가천법학
      외국어명 : Kyungwon Law Review -> Gachon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8 0.638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