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매체 문화사의 관점에서 唐代의 통속서사 사본을 살펴보고 있다. 중국 역사에서 당대는 다양한 외래문화가 가장 유행한 시대였고 이러한 시대적 특성은 필사본이라는 매체에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매체 문화사의 관점에서 唐代의 통속서사 사본을 살펴보고 있다. 중국 역사에서 당대는 다양한 외래문화가 가장 유행한 시대였고 이러한 시대적 특성은 필사본이라는 매체에도 ...
본 논문은 매체 문화사의 관점에서 唐代의 통속서사 사본을 살펴보고 있다. 중국 역사에서 당대는 다양한 외래문화가 가장 유행한 시대였고 이러한 시대적 특성은 필사본이라는 매체에도 반영되었다. 인쇄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직전 최전성기의 당대 필사본이 자유롭고 유연한 매체의 특징을 보여준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보수성’이 매체의 기본 적인 특징임을 전제한 후, 매체의 활용에 있어서 서양과 동양의 차이에 대해 논했다. 원심의 방향으로 진행된 서양 인쇄 매체의 특징이 동양에서는 인쇄보다 앞선 사본의 시대에 오히려 더 두드러졌다. 돈황에서 발견된 수많은 사본들이 이러한 특징을 대변해준다. 인쇄 매체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쓰고 고칠 수 있는 필사의 본질이 이를 가능케 한 것이다. 그래서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돈황본 <오자서변문> 사본의 교정방식을 중심으로 그 시기 통속서사 사본이 갖는 문화적, 문학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자서변문> 사본은 그 자체가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라는 서로 다른 전통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이 서로 다른 사본 텍스트의 교정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당대 필사본의 유연성은 매체의 보수성과 오히려 조화를 이루면서 인쇄 시대를 지연시키고, 한편으로는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당대의 필사본이 그 시대의 다양한 이야기와 정보들의 담지체가 되었다고 할 수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manuscripts of the popular narratives of Tang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ulture history. Tang Dynasty was the most popular era in Chinese history for various foreign cul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
This paper examines the manuscripts of the popular narratives of Tang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ulture history. Tang Dynasty was the most popular era in Chinese history for various foreign cul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were also reflected in the media of manuscripts. Before the period of printing began in earnest, the manuscripts in its golden ag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free and flexible media.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in their use of media, assuming that ‘conservatism’ is a basic characteristic of the media. In the Ea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printing culture, which was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were more prominent in the era of the preceding manuscripts than the printing. Numerous manuscripts found in Dunhuang 敦煌 represent these features. The essence of a manuscript’s relatively free writing and correction rather than printing made this possible. And in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I examined the cultural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the popular narrative manuscripts of the period, focusing on the method of correcting of Wu zixu bianwen(伍子胥變文) manuscripts. These manuscripts themselves have different traditions of oral culture and written culture,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through the correction of different manuscript texts. In conclusion, the flexibility of manuscripts in Tang dynasty, in harmony with the conservatism of the media, could delay the printing era. On the other hand, for this very reason, the manuscripts of Tang dynasty could become useful media for various stories and informations of the tim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昉, "태평광기" 학고방 2003
2 알렉산드로 마르초 마뇨(Alessandro Marzo Magno), "책공장 베네치아 — 16세기 책의 혁명과 지식의 탄생" 책세상 2015
3 이노우에 스스무(井上進), "중국출판문화사" 민음사 2012
4 張秀民, "중국인쇄사" 세창출판사 2016
5 서경호, "중국소설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6 오키 야스시(大木康), "중국 명말의 미디어 혁명 — 서민이 책을 읽다"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7 오토 루트비히(Otto Ludwig), "쓰기의 역사 — 고대부터 서적 인쇄술의 시대까지"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8 정광훈, "돈황 변문의 구연특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1
9 빅터 메이어(Victor H. Mair), "당대 변문" 소명출판 2012
10 "국제둔황프로젝트(International Dunhuang Project) 디지털 사본 자료: idp.bl.uk"
1 李昉, "태평광기" 학고방 2003
2 알렉산드로 마르초 마뇨(Alessandro Marzo Magno), "책공장 베네치아 — 16세기 책의 혁명과 지식의 탄생" 책세상 2015
3 이노우에 스스무(井上進), "중국출판문화사" 민음사 2012
4 張秀民, "중국인쇄사" 세창출판사 2016
5 서경호, "중국소설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6 오키 야스시(大木康), "중국 명말의 미디어 혁명 — 서민이 책을 읽다"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7 오토 루트비히(Otto Ludwig), "쓰기의 역사 — 고대부터 서적 인쇄술의 시대까지"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8 정광훈, "돈황 변문의 구연특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1
9 빅터 메이어(Victor H. Mair), "당대 변문" 소명출판 2012
10 "국제둔황프로젝트(International Dunhuang Project) 디지털 사본 자료: idp.bl.uk"
11 劉躍進, "早期文本的生成與傳播 — 周秦漢唐讀書會文彙" 中華書局 2017
12 徐建委, "文本革命 : 劉向‘漢書藝文志’與早期文本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7
13 郝春文, "敦煌遺書" 甘肅敎育出版社 2007
14 項楚, "敦煌變文選注" 中華書局 2006
15 黃征, "敦煌變文校注" 소명출판 2015
16 荒見泰史, "敦煌變文寫本的硏究" 中華書局 2010
17 荒見泰史, "敦煌講唱文學寫本硏究" 中華書局 2010
18 冷江山, "敦煌文學文獻同卷內容的相互關聯" (1) : 2018
19 季羨林, "敦煌學大辭典" 소명출판 2016
20 孫少華, "從文獻到文本 — 先唐經典文本的抄撰與流變" 上海古籍出版社 2016
21 范曄, "後漢書" 中華書局 1995
22 元稹, "元稹集" 中華書局 2000
23 鄭如斯, "中國書史" 北京圖書館出版社 1987
24 錢存訓, "中國古代書籍紙墨及印刷術" 北京圖書館出版社 2002
일상으로 기억되는 역사 ― 한사오궁(韓少功) 《 일야서(日夜書) 》 에 내재된 윤리의식 연구
전후 시기 동아시아 매체서사의 로컬리티 ― 한중일 삼국 영화에서의 중국 고전서사 <백사전(白蛇傳)> 수용을 중심으로
馮夢龍의 《 情史 》 에 드러난 評語의 존재 양상과 情敎思想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29 | 0.686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