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류 출토문헌을 통한 고대 『주역』의 형성과 전개 = The Making of the Zhouyi through the Bamboo-Silk Manuscrip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7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출토문헌을 통하여 고대 『주역』의 형성과 전개 과정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 괘획, 괘서, 사상적 내용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중심을 두고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은상시기 출토자료의 역괘 및 전국시대 숫자괘들을 통해 숫자괘를 함부로 『주역』의 괘로 환원하여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전국시대까지는 여전히 숫자괘를 사용하는 역점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와 ‘━’의 두 가지 부호를 사용하는 『주역』과 함께 통용되고 있었다.
      둘째, 상박초간 『주역』, 마왕퇴백서 『주역』, 청화간 『별괘』, 왕가대 『귀장』을 살펴보면 전국시대에는 『주역』의 괘서가 적어도 2종 이상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결국 전한 문제 시기 이후 하나로 통일되어 전승되었다고 생각된다.
      셋째, 마왕퇴백서 『역전』, 「이삼자문」과 「단전」 그리고 마왕퇴백서 『역전』, 「목화」의 내용을 분석하여 고대 『주역』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삼자문」의 성립은 『순자』, 「非相」과의 비교를 통해 이미 『순자』 이후라는 것이 논증되었다. 따라서 「이삼자문」을 보다 발전시킨 논리를 지닌 「단전」은 전한 문제기 이후에 성립되었을 것이다. 마왕퇴백서 『역전』의 내용은 방대하며 하루아침에 성립되었다고 보기 어렵지만, 그 속에는 유가 사상을 중심으로 여러 제자백가의 사상이 융합되고 있다. 이 같은 종합적 저작이 한나라가 등장하자마자 갑자기 만들어졌다고 보는 것은 무리한 추정일 것이다. 오히려 전국시대 말기부터 서서히 형태를 잡아가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역전』의 저술은 전국시대 말기부터 이루어지고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출토문헌을 통하여 고대 『주역』의 형성과 전개 과정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 괘획, 괘서, 사상적 내용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중심을 두고 고찰하고자 한...

      이 연구는 출토문헌을 통하여 고대 『주역』의 형성과 전개 과정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 괘획, 괘서, 사상적 내용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중심을 두고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은상시기 출토자료의 역괘 및 전국시대 숫자괘들을 통해 숫자괘를 함부로 『주역』의 괘로 환원하여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전국시대까지는 여전히 숫자괘를 사용하는 역점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와 ‘━’의 두 가지 부호를 사용하는 『주역』과 함께 통용되고 있었다.
      둘째, 상박초간 『주역』, 마왕퇴백서 『주역』, 청화간 『별괘』, 왕가대 『귀장』을 살펴보면 전국시대에는 『주역』의 괘서가 적어도 2종 이상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결국 전한 문제 시기 이후 하나로 통일되어 전승되었다고 생각된다.
      셋째, 마왕퇴백서 『역전』, 「이삼자문」과 「단전」 그리고 마왕퇴백서 『역전』, 「목화」의 내용을 분석하여 고대 『주역』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삼자문」의 성립은 『순자』, 「非相」과의 비교를 통해 이미 『순자』 이후라는 것이 논증되었다. 따라서 「이삼자문」을 보다 발전시킨 논리를 지닌 「단전」은 전한 문제기 이후에 성립되었을 것이다. 마왕퇴백서 『역전』의 내용은 방대하며 하루아침에 성립되었다고 보기 어렵지만, 그 속에는 유가 사상을 중심으로 여러 제자백가의 사상이 융합되고 있다. 이 같은 종합적 저작이 한나라가 등장하자마자 갑자기 만들어졌다고 보는 것은 무리한 추정일 것이다. 오히려 전국시대 말기부터 서서히 형태를 잡아가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역전』의 저술은 전국시대 말기부터 이루어지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o study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Zhouyi through the Bamboo-Silk Manuscripts. The Zhouyi will be studied with at three points of view – guahua, guaxu and ideology.
      First, proving that the numerical symbols can not be replaced with gua at the Zhouyi. Also, yizhan(易占) using the numerical symbols had been coexisted with the Zhouyi which is using the two symbols – ‘’ and ‘ㅡ’ until the Warring States period. Second, it can be found at the Shangbochujian(上博楚簡) Zhouyi, Mawangdui Zhouyi, Qinghuajian(淸華簡) Biegua(別卦), Wangjiatai(王家臺) Guicang(歸藏).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guaxu(卦序) of the Zhouyi at the Warring States period. It seems that these two types of guaxu(卦序) were merged and passed after the Han Dynasty.
      Third, it has been proved that Tuanzhuan(彖傳) had been made by Confucian by analyzing that Mawangdui Boshi through historical research.
      번역하기

      This is to study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Zhouyi through the Bamboo-Silk Manuscripts. The Zhouyi will be studied with at three points of view – guahua, guaxu and ideology. First, proving that the numerical symbols can not be replaced with gu...

      This is to study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Zhouyi through the Bamboo-Silk Manuscripts. The Zhouyi will be studied with at three points of view – guahua, guaxu and ideology.
      First, proving that the numerical symbols can not be replaced with gua at the Zhouyi. Also, yizhan(易占) using the numerical symbols had been coexisted with the Zhouyi which is using the two symbols – ‘’ and ‘ㅡ’ until the Warring States period. Second, it can be found at the Shangbochujian(上博楚簡) Zhouyi, Mawangdui Zhouyi, Qinghuajian(淸華簡) Biegua(別卦), Wangjiatai(王家臺) Guicang(歸藏).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guaxu(卦序) of the Zhouyi at the Warring States period. It seems that these two types of guaxu(卦序) were merged and passed after the Han Dynasty.
      Third, it has been proved that Tuanzhuan(彖傳) had been made by Confucian by analyzing that Mawangdui Boshi through historical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채우, "주역의 괘서문제에 관한 일고찰-왕필본과 백서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1991

      2 김상섭, "마왕퇴출토 백서주역(하)易傳篇" 비봉출판사 2012

      3 원용준, "馬王堆 帛書 『易傳』의 ‘言’에 대한 연구" 한국철학사연구회 (24) : 347-383, 2008

      4 裘錫圭, "長沙馬王堆漢墓簡帛集成 전7책" 中華書局 2014

      5 方仁, "譯註 周易四箋" 소명출판사 2007

      6 郭沫若, "甲骨文合集" 1978

      7 李學勤, "淸華大學藏戰國竹簡(肆)" 中西書局 2013

      8 董作賓, "殷墟文字外篇" 1956

      9 曹定云, "殷墟四盤磨“易卦”卜骨硏究" (7) : 1989

      10 馮時, "殷墟"易卦"卜甲探索" (2) : 1989

      1 임채우, "주역의 괘서문제에 관한 일고찰-왕필본과 백서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1991

      2 김상섭, "마왕퇴출토 백서주역(하)易傳篇" 비봉출판사 2012

      3 원용준, "馬王堆 帛書 『易傳』의 ‘言’에 대한 연구" 한국철학사연구회 (24) : 347-383, 2008

      4 裘錫圭, "長沙馬王堆漢墓簡帛集成 전7책" 中華書局 2014

      5 方仁, "譯註 周易四箋" 소명출판사 2007

      6 郭沫若, "甲骨文合集" 1978

      7 李學勤, "淸華大學藏戰國竹簡(肆)" 中西書局 2013

      8 董作賓, "殷墟文字外篇" 1956

      9 曹定云, "殷墟四盤磨“易卦”卜骨硏究" (7) : 1989

      10 馮時, "殷墟"易卦"卜甲探索" (2) : 1989

      11 濮茅左, "楚竹書『周易』硏究-兼述先秦兩漢出土與傳世易學文獻資料(下)" 上海古籍出版社 2006

      12 朱伯崑, "易學哲學史 제1권" 崑崙出版社 2005

      13 朱伯崑, "易學哲學史 上冊" 北京大學出版社 1986

      14 朱伯崑, "帛書本『易』說讀後" 上海古籍出版社 6 : 1995

      15 張政烺, "帛書『六十四卦』跋" (3) : 1984

      16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小屯南地甲骨" 1980

      17 肖南, "安陽殷墟發現易卦卜甲" (1) : 1989

      18 張亞初, "周易硏究論文集 第一輯"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87

      19 張政烺, "周易硏究論文集 第1輯"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87

      20 池田知久, "兩漢における易と三禮" 汲古書院 2005

      21 박재복, "中國先秦時期的卜法硏究-從考古資料探討卜用甲骨的特徵與內容" 북경대학 2008

      22 원용준, "上海博楚簡 <周易>의 부호와 그 의미" 한국철학사연구회 (30) : 161-190, 2010

      23 李學勤, "『歸藏』與淸華簡『筮法』, 『別卦』" 54 (54):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