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언어ㆍ문화ㆍ소통 기술’의 관점에서 본 미디어 리터러시의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99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요청되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언어, 문화, 소통 기술’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이 때 언어란 기존의 문자 언어를 넘어선 다양한 기호, 즉 이미지와 소리 등을 포괄하는 ‘복합 양식(multimodal)’ 특성을 지닌 미디어의 언어를 뜻하는 것으로, 본고에서는 언어에 대한 이러한 시각이 기존의 문자 언어 중심 언어관에 변화를 요청함에 주목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언어 주체가 수용하고 향유하며 생산하는 다양한 문화에 미디어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이해 또한 필요로 함을 논의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는 텍스트 자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들이 놓인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과 관계 속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미디어 문화는 도덕적이거나 정치적인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할 대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보와 지식, 심미적 의미 차원에서 향유의 대상으로도 이해된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미디어 문화의 수용과 향유뿐 아니라 생산 역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음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소통에 있어서는 소통 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와 성찰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음을 강조한다. 이는 일반인들이 미디어 텍스트의 생산과 유통에 참여할 수 있게 된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새롭게 주목해야 하는 것으로, 언어 능력 및 문화 능력과 더불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축을 이루는 것으로 강조 된다.
      번역하기

      본고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요청되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언어, 문화, 소통 기술’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이 때 언어란 기존의 문자 언어를 넘어선 다양한 기호, 즉 이미지...

      본고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요청되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언어, 문화, 소통 기술’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이 때 언어란 기존의 문자 언어를 넘어선 다양한 기호, 즉 이미지와 소리 등을 포괄하는 ‘복합 양식(multimodal)’ 특성을 지닌 미디어의 언어를 뜻하는 것으로, 본고에서는 언어에 대한 이러한 시각이 기존의 문자 언어 중심 언어관에 변화를 요청함에 주목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언어 주체가 수용하고 향유하며 생산하는 다양한 문화에 미디어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이해 또한 필요로 함을 논의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는 텍스트 자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들이 놓인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과 관계 속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미디어 문화는 도덕적이거나 정치적인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할 대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보와 지식, 심미적 의미 차원에서 향유의 대상으로도 이해된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미디어 문화의 수용과 향유뿐 아니라 생산 역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음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소통에 있어서는 소통 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와 성찰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음을 강조한다. 이는 일반인들이 미디어 텍스트의 생산과 유통에 참여할 수 있게 된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새롭게 주목해야 하는 것으로, 언어 능력 및 문화 능력과 더불어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한 축을 이루는 것으로 강조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iscusses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the capabilities of operating languages, understanding and creating cultures, and reflecting the impac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Languages' in media literacy are multimodal and include other kinds of signifying modes such as moving images. As such, media literacy challenges the traditional notion of literacy which is print media-based and focused on verbal and written languages. Secondly, the emphases of media literacy lie not only on critical analysis but also on appreciation and enjoyment of media cultures, considering that the cultural meanings of media exist not only in the texts themselves but also in the social contexts of audiences. Creation of media cultures is also emphasized in digital media literacy. Lastly, reflection on the impac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is also considered as an important aspect of digital media literacy, particularly in the age of the Internet which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mass communication and whose users are increasingly able to participate as producers and circulators of messages as well as audiences.
      번역하기

      This article discusses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the capabilities of operating languages, understanding and creating cultures, and reflecting the impac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Languages' in media literacy are multimodal and in...

      This article discusses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the capabilities of operating languages, understanding and creating cultures, and reflecting the impac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Languages' in media literacy are multimodal and include other kinds of signifying modes such as moving images. As such, media literacy challenges the traditional notion of literacy which is print media-based and focused on verbal and written languages. Secondly, the emphases of media literacy lie not only on critical analysis but also on appreciation and enjoyment of media cultures, considering that the cultural meanings of media exist not only in the texts themselves but also in the social contexts of audiences. Creation of media cultures is also emphasized in digital media literacy. Lastly, reflection on the impac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is also considered as an important aspect of digital media literacy, particularly in the age of the Internet which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mass communication and whose users are increasingly able to participate as producers and circulators of messages as well as audi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디지털 미디어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 변화
      • 2. ‘복합 양식(multimodal)’ 언어 능력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 3. 문화 수용과 향유, 생산 능력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 4. 소통 기술에 대한 성찰 능력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 〈국문초록〉
      • 1. 디지털 미디어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 변화
      • 2. ‘복합 양식(multimodal)’ 언어 능력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 3. 문화 수용과 향유, 생산 능력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 4. 소통 기술에 대한 성찰 능력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