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현대 협동운동의 역사와 생활협동조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90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presents a view of Korean modern history that is centered on domination and resistance in relation to co-operation and solidarity. Throughout Korean modern history, the idea of co-operative movement has become ingrained into society. Korean co-operative association has developed in two directions, i.e. domination of co-operative association by the government, and independent cooperative movement combined with social movement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the division of Korea and industrialization. In particular, since 1920, consumers’ co-operation was a major factor in the growth of the laborers-farmers-womens national independent cooperative movement started from credit association and educational-social movements. During the 1970’s~1980’s, the various consumers’ cooperatives were established that combined with the laborers-farmers-women’s movement to regulate the pricing of consumer goods. Since the 1980’s, when a social crisis resulting from industrialization was recognized, the cooperative society movement transformed into a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 in which producers and consumers cooperated with each other, and organic farming was combined with a new life-style movement. Currently, such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are rapidly growing and their members are expanding the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into local community culture and throughout Korean society in general. The goal of all forms of the co-operative movement and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 is to establish peace and un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eventually global solidarity between all people.
      번역하기

      This article presents a view of Korean modern history that is centered on domination and resistance in relation to co-operation and solidarity. Throughout Korean modern history, the idea of co-operative movement has become ingrained into society. Kore...

      This article presents a view of Korean modern history that is centered on domination and resistance in relation to co-operation and solidarity. Throughout Korean modern history, the idea of co-operative movement has become ingrained into society. Korean co-operative association has developed in two directions, i.e. domination of co-operative association by the government, and independent cooperative movement combined with social movement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the division of Korea and industrialization. In particular, since 1920, consumers’ co-operation was a major factor in the growth of the laborers-farmers-womens national independent cooperative movement started from credit association and educational-social movements. During the 1970’s~1980’s, the various consumers’ cooperatives were established that combined with the laborers-farmers-women’s movement to regulate the pricing of consumer goods. Since the 1980’s, when a social crisis resulting from industrialization was recognized, the cooperative society movement transformed into a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 in which producers and consumers cooperated with each other, and organic farming was combined with a new life-style movement. Currently, such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s are rapidly growing and their members are expanding the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into local community culture and throughout Korean society in general. The goal of all forms of the co-operative movement and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 is to establish peace and un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eventually global solidarity between all peop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협동과 연대의 관점으로 근현대사 보기
      • 2. 민족해방운동의 주체구성과 소비조합운동
      • 3. 자주적 협동조합의 재출발과 소비조합
      • 4. 생명ㆍ지역ㆍ호혜의 사회를 만드는 생활운동, 생활협동조합
      • 5. 맺음말
      • 1. 협동과 연대의 관점으로 근현대사 보기
      • 2. 민족해방운동의 주체구성과 소비조합운동
      • 3. 자주적 협동조합의 재출발과 소비조합
      • 4. 생명ㆍ지역ㆍ호혜의 사회를 만드는 생활운동, 생활협동조합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기중, "해방정국기 중간파 노선의 경제사상―강진국의 산업재건론과 농업개혁론을 중심으로, In 경제이론과 한국경제" 최호진박사강단50주년기념논문집간행회 1993

      2 유승렬, "한말 사립학교의 변천의 경위과 그 역사적 의미" 13, 14 :

      3 김태일, "한국의 이익정치와 농민 -전국농민회총연맹(1990.4.24)의 이념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10 (10): 287-314, 2003

      4 홍성찬, "한국근대농촌사회의 변동과 지주층" 지식산업사 1992

      5 조완형, "한국 협동조합의 친환경유기농업 추진 경과와 과제" 2010

      6 염찬희, "한국 생활협동조합운동의 기원과 전개" 푸른나무 2012

      7 "중앙신문"

      8 "조선지광"

      9 "자유신문"

      10 김현숙, "일제하 민간협동조합운동에 관한 연구, In 일제하의 사회운동" 문학과지성사 1987

      1 방기중, "해방정국기 중간파 노선의 경제사상―강진국의 산업재건론과 농업개혁론을 중심으로, In 경제이론과 한국경제" 최호진박사강단50주년기념논문집간행회 1993

      2 유승렬, "한말 사립학교의 변천의 경위과 그 역사적 의미" 13, 14 :

      3 김태일, "한국의 이익정치와 농민 -전국농민회총연맹(1990.4.24)의 이념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10 (10): 287-314, 2003

      4 홍성찬, "한국근대농촌사회의 변동과 지주층" 지식산업사 1992

      5 조완형, "한국 협동조합의 친환경유기농업 추진 경과와 과제" 2010

      6 염찬희, "한국 생활협동조합운동의 기원과 전개" 푸른나무 2012

      7 "중앙신문"

      8 "조선지광"

      9 "자유신문"

      10 김현숙, "일제하 민간협동조합운동에 관한 연구, In 일제하의 사회운동" 문학과지성사 1987

      11 장규식, "일제하 기독교민족주의 연구" 혜안 2001

      12 이경란, "일제하 금융조합 연구" 혜안 2002

      13 김용우, "원주 지역의 생명운동과 협동조합운동의 전개과정 고찰"

      14 김광운, "원산총파업을 통해 본 노동자조직의 건설문제" 2 : 1989

      15 유창복, "우리는 동네에서 논다" 또하나의문화 2010

      16 오산중고등학교, "오산학교팔십년사"

      17 15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여성들의 아름다운 도전, 또 다른 세상―한국여성민우회 생협 15년(1989~2004)" 여성민우회생협 2005

      18 최재성, "식민지 조선의 사회경제와 금융조합" 경인문화사 2006

      19 모심과살림연구소, "스무살 한살림 세상을 껴안다" 그물코 2006

      20 "서울신문"

      21 "동아일보"

      22 "동광"

      23 홍순명, "더불어 사는 평민을 기르는 풀무학교 이야기" 내일을 여는 책 1998

      24 풀무교육5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다시 새날이 그리워 1, 2, 3" 2008

      25 김성보,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역사비평사 2000

      26 생협수도권연합회, "나에게서 너에게서 생명을 본다" 2005

      27 朴惠淑, "日帝下 農村契에 대한 一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28 iCOOP생협연대, "iCOOP생협십년사―협동, 생활의 윤리" 푸른나무 2008

      29 김소남, "1970년대 원주지역의 부락개발사업 연구‒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초기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82) : 407-454, 2011

      30 김소남, "1970년대 원주지역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광산지역 장기구호사업 연구: 신용협동조합운동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58) : 387-441, 2012

      31 방기중, "1920, 30년대 조선물산장려회 연구" 67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1.637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