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 가운데 일정한 역사성을 가지고 민간에서 발생하여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놀이를 통칭 민속놀이라고 한다. 유구한 전통을 지닌 경북지역은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그 고귀한 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10407
2007
Korean
경북지역 민속놀이 ; 줄다리기 ; 풍물놀이 ; 계승방안 ; 단합형 ; 특수형 ; 과시형 ; a folk gam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 a tug-of-war ; Pungmulnori ; plan of suocession ; solidarity type ; specific type ; showing type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95-230(3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놀이 가운데 일정한 역사성을 가지고 민간에서 발생하여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놀이를 통칭 민속놀이라고 한다. 유구한 전통을 지닌 경북지역은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그 고귀한 전...
놀이 가운데 일정한 역사성을 가지고 민간에서 발생하여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놀이를 통칭 민속놀이라고 한다. 유구한 전통을 지닌 경북지역은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그 고귀한 전통이 왜곡되거나 상실되는 아픔을 겪었다. 민속놀이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 계승은 전통의 계승, 놂의 문화 회복이라는 점에서, 또 우리 민족의 건전한 신명을 되찾는 방법으로써 적극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현재 민속놀이는 전통적 기반이었던 농촌 사회의 붕괴와 도시화의 진행로 인해 급격히 인멸되고 있다. 또 민속놀이를 대신하는 전자게임의 활성화는 놀이의 주체를 놀이에서 소외시켜 놀이에 종속시켜 버린다. 건전한 놀이의 의식을 재구하기 위해서는 민속놀이에 대한 적극적 계승의지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계승은 민속놀이를 박제화하여 오히려 민속놀이의 생명을 갉아먹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세계화의 대안, 지역 사회의 발전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경북 북부 산간지역은 전승 보존된 놀이가 많고, 이것을 계승하려는 인식이 높으며, 승부놀이와 대동놀이의 전승이 상대적으로 강한 편이다. 동부 해안지역은 전승 보존된 놀이는 소수이지만 전통을 계승하려는 인식은 높은 편이다. 한편 제의적 놀이와 다른 지역에서 행해지지 않는 특수한 놀이의 전승이 우세하다. 중남부 평야지역은 전승 보존된 놀이는 적지만 계승의 의지는 강한 편이며, 승부놀이와 비승부놀이의 비중이 비슷하고, 유희와 흥미 위주의 놀이가 많다. 이렇게 볼 때 줄다리기의 경우 경상북도 북부 산간지역은 지역민과 외래방문객이 함께하는 대동놀이적 성격을 지닌 단합형 줄다리기를 개발해야 한다. 동부 해안지역은 주술성과 특수성을 기반으로 하는 기원놀이적 성격을 지닌 특수형 줄다리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중남부 평야지역은 지역민의 참여만으로 이루어지는 자부심 강화 놀이적 성격을 지닌 과시형 줄다리기를 펼쳐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방향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풍물놀이는 놀이의 흥을 돋우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 자체로 하나의 훌륭한 놀이이다. 현재 천편일률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풍물놀이는 지역적 특성을 살리면서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북부 산간 지역은 기존의 풍물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동부 해안 지역은 굿음악과의 접목을 통한 새로운 풍물을 창조하는 방향으로, 중남부 평야 지역은 종합 예술로서 풍물을 공연물화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져 한다. 민속놀이는 단순한 전승물이 아니라 잃어버린 ‘놂’의 의식을 되살려줄 수 있는 중요한 우리 민족의 자산이다. 기존의 전승물을 보존하려는 노력과 아울러 지역민의 참여 지역 사회의 전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하는 적극적인 시도가 이루어져 건전한 의식의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세계화의 높은 파도를 넘어갈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says that a folk garne is birth in the mass of the people, and come down to us by popular tradition. Many folk games had been transmitte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But in ag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traditions are destroyed by them. In ...
It is says that a folk garne is birth in the mass of the people, and come down to us by popular tradition. Many folk games had been transmitte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But in ag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traditions are destroyed by them. In this circumstances, concern about folk games and its succession have positive meaning as transmission of tradition and recovery of play-culture. In the present time, because of a rural community' s breakdown and rapid urbanization, the folk games has been exhausted. Moreover, succession in this time is more fossilizing the folk games. Therefore, the plans tl1at is conformed with globa1ization, and local development are necessary. In this study, I divide North Gyeongsang Province into three parts with a geographical features and environmental factor ; the northern part among the mountains area,the eastern part in the seaside area and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 in plain area. The northern area has many folk games, and has an appreciative eye of succession. In this area, games are palyed with many people and contended for victory. The eastern sear has small number of folk games. But an eye for succession is great. In this area, the folk games have a religious propensity and peculiar games have been succeede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area, succeeded folk games are a few, but various. Their intention for succession is great. Accordingly, in a tug-of-war case, the northern area would do develop to solidarity type that combine with resident and visitor. The eastern area would do develop to specific type that have religious purpose. In the central and southern area, they would do develop to showing type that just resident participate in a tug-of war. In the Pungmulnori(풍물놀이) that is instrumental music of peasants with variety performance, the northern area would do develop to revitalization of its own type. In the eastern area, the Pungmulnori(풍물놀이) would be create on a new type that is graft buelsingut(별신굿) music. In the central and southern area, the Pungmulnori(풍물놀이) would be develop to an art that is performed in performance halls.
극단 아랑의 극단 체제 개편 과정 연구 -< 징기스칸 >과 < 삼대 >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23 | 통합 |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6 | 1.364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