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투놀이는 일명 시조놀이라고도 불리며, 1920년대 초반에 만들어져 1940년대까지 널리 성행했다. 그리고 가투놀이는 전통시가인 시조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살펴볼 가치가 있다. 가투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10409
2007
Korean
가투놀이 ; 가투 ; 화가투 ; 시조노리 ; 시조 ; 한성도서 ; 신민사 ; 시조부흥훈동 ; Ga-Too game ; Si-jo ; the Movement for Resurrection of Si-jo ; Hwa-Ga-Too ; Shi-Jo-No-Ri ; Han-Seong-Do-Seo ; Shin-Min-Sa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63-290(28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가투놀이는 일명 시조놀이라고도 불리며, 1920년대 초반에 만들어져 1940년대까지 널리 성행했다. 그리고 가투놀이는 전통시가인 시조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살펴볼 가치가 있다. 가투놀...
가투놀이는 일명 시조놀이라고도 불리며, 1920년대 초반에 만들어져 1940년대까지 널리 성행했다. 그리고 가투놀이는 전통시가인 시조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살펴볼 가치가 있다. 가투놀이는 1920년대 초반 불선사의 <歌鬪>가 처음으로 발행되면서 나타났다. 이러한 가투놀이의 형성은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새로운 놀이문화에 대한 당대 사회의 요구라는 측면과 둘째, 시조에 대한 당대 인식의 변화라는 측면, 마지막으로 일본의 민속놀이인 <가루다>의 영향에 의한 놀이 형식의 차용, 이 세 가지 측면이 맞물려 새롭게 만들어진 놀이이다. 가투놀이는 또한 가투의 발행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데, 1925년에는 한성도서본 < 歌鬪>가 발행되었고, 14927년에는 신민사에서 <精選 花歌鬪>가 발행되었다. 1928년에는 <改良 花歌鬪>, 1931년에는 <精製 花歌鬪>라는 명칭으로 시중에 나타났다. 1935년에는 한성도서본 <時調노리>가 발행되어 해방 이후까지 꾸준히 시중에 판매된 것으로 보이며, 가투놀이는 이 때에 본격적인 놀이로서의 정착이 이루어졌다. 특히 이 시기는 국민문학파에 의한 시조부흥운동이 나타났으며, 가투놀이는 이러한 시조부흥운동과 관련을 맺으며, 대중화?활성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중반 이후 각 신문사들은 부녀자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가투대회를 열어 가투놀이의 정착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신문사의 지국들을 중심으로 많은 지역단체들이 가투대회를 개최하여 가투놀이를 더욱 활성화시켰다. 그러나 1940년대 초반 가투놀이 대중화의 주도 세력이었던 신문사들이 일제에 의해 폐간됨에 따라 대규모 가투대회는 더 이상 개최되지 못했고, 해방 이후로는 대중들의 시조에 대한 관심이 점점 사라지면서 가투놀이 또한 함께 쇠퇴해 갔다. 최근에 들어서 가투놀이에 대한 관심이 다시 나타나고 있기는 하지만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가투놀이를 현시점에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놀이문화로서의 다양한 접근이 요구되며, 현대적 가치에 대한 지속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국문 초록 (Abstract)
The Ga-Too game(가투놀이) has a second name called Si-Jo game(시조놀이). It was created in the beginning of 1920 and was very popular until the 1940’s. Since the first book, “Ga-Too(가투)”, that had been pulished by Bool-Sun-Sa(불선...
The Ga-Too game(가투놀이) has a second name called Si-Jo game(시조놀이). It was created in the beginning of 1920 and was very popular until the 1940’s. Since the first book, “Ga-Too(가투)”, that had been pulished by Bool-Sun-Sa(불선사) in 1922, another book bearing the same title had also been published by Han-Seoung-Do-Seo-Bon(한성도서본) in 1925. After that Shin-Min-Sa(신민사) published a third book, Jeon-Seon-Hwas-Ga-Too(정선 화가투) in 1927. However this book’s name had been changed to Gae-Ryang-Hwa-Ga-Too(개량 화가투) in 1928 and then finally to Jeong-Jae-Hwa-Ga-Too(정제 화가투) in 1931. In 1935, Han-Seong-Do-Seo(한성도서) pulished Si-Jo-No-Ri(시조노리), which had been released after Korean Independence. Evidently many different kinds of Ga-Too books seemed to have been pulished by each publishing firm and had been sold to the public from the beginning of 1920 to the middle and late 19360’s. Ga-Too game, which evolved in the beginning of the 1920’s, had been influenced by Ga-Roo-Da(가루다). Ga-Roo-Da(가루다) is a kind of game in which Japanese poems are used. And also many social events that had happened in the early 1920’s seemed to have contributed to the origin of the Ga-Too game. Ga-Too(가투) had become well known and manifested as a game. This is related to the movement for the Resurrection of Si-Jos in the middle of the 1920’s.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is movement, every newpaper company held big Ga-Too game contests. This contributed to it becoming well known and widely accepted as a game for Ga-Too(가투). From the late 1920’s to the late 1930’s, many local places had Ga-Too contests, except for Seoul. At that time the Ga-Too game seemed to have spread all over the country. But after Korean Independence, people were not interested in the Ga-Too game anymore. Since then it had been fading away. Only recently there had been a revival of the Ga-Too. But this didn’t last and wasn’t received with a big response.
극단 아랑의 극단 체제 개편 과정 연구 -< 징기스칸 >과 < 삼대 >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23 | 통합 |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6 | 1.364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