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末 영남의 성리학자인 深齋 曺兢燮의 수양론을 기본 주제로 삼고 있는 본고에서는 수양론을 단순히 修養에 대한 이론만을 지칭하는 개념으로국한시키지 않고 수양과 관련된 폭넓은 논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10402
2007
Korean
독서(讀書) ; 마음[心] ; 성리학(性理學) ; 성인(聖人) ; 수양(修養) ; 조긍섭 ; 지선행후(知先行後) ; reading ; mind ; Neo-Confucianism ; sage ; self-cultivation ; Cho Geung -Seop ; knowledge first and practice later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5-72(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韓末 영남의 성리학자인 深齋 曺兢燮의 수양론을 기본 주제로 삼고 있는 본고에서는 수양론을 단순히 修養에 대한 이론만을 지칭하는 개념으로국한시키지 않고 수양과 관련된 폭넓은 논의...
韓末 영남의 성리학자인 深齋 曺兢燮의 수양론을 기본 주제로 삼고 있는 본고에서는 수양론을 단순히 修養에 대한 이론만을 지칭하는 개념으로국한시키지 않고 수양과 관련된 폭넓은 논의를 의미하는 말로 사용하고자한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면서 심재의 사상적 특징을 살펴보면, 무엇보다도 먼저 철저하게 朱子-退溪의 학설을 계승하는 태도를 견지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심재가 理氣論이나 心性論 그리고 修養論 등 性理學과 관련된 체계적인 이론을 별로 남겨놓지 않은 이유를 유추해 보면, 이미 그러한 것과 관련된 先賢의 글이 충분히 있는데, 더 말한다는 것은 군더더기에 불과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로는, 섬재의 마음[心]에 대한 분석이 그의 수양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마음과 관련된 심재의 기본 입장은 통합과 균형의 논리를 토대로 해서, 먼저 心合理氣의 입장에서 心卽理, 心卽氣의 입장을 비판하는것이며, 다음으로 마음과 性을 모두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마음이 가지는 특별하고도 미묘한 존재론적 위상을 강조한 것이며,수양론의 측면과 관련해서 말한다면 극단을 경계하고 중용을 지향하는 태도를 표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는 수양의 방법론과 관련해서 심재가 제시한 것은 聖人으로 대표되는 스승의 존재와 역할에 대한 주목, 讀書의 중시, 점진적인 수양의 강조, 知先行後의 수양법 표방 등이다. 또한 심재의 수양론은 그 실천적 측면에서 본다면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은둔의 길을 선택했다는 점도 또 하나의 특정이다. 이것은 道의 실천보다는 도의 보존에 더욱 힘을 썼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Simjae Cho-Seop, a Neo-Cunfucian scholar of Yongnam province in the late Korean Empire. It takes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as the basis theme, and tries to use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as a word having an extant meaning...
This study is about Simjae Cho-Seop, a Neo-Cunfucian scholar of Yongnam province in the late Korean Empire. It takes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as the basis theme, and tries to use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as a word having an extant meaning rather than limitedly referring only to a simple theory of self-cultivation. Considering this aspect, when we figure out the had maintained an attitude to succeed to the theories of Chu His and Toegye(Yi Hwnag). If we surmise the reason why he left only a small number of systematic theories of Neo-Confucianism such as the theory of principle-material force, the theory of mind-nature,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it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he had regarded it as a superfluous thing to talk more about such theories because there had been enough writings of ancient wise men on such theories. Second, we can point out that Simjae’s analysis on mind is closely related to his theory of self-cultivation. His basic standpoint in regard to mind is that founded upon the logic of integration and balance, first from the position that ‘mind is a unity of principle-material force’, critiques should be made of the positions that ‘mind is principle’and ‘mind is material force’, and then both mind and nature should be elevated. Simjae’s this kind of standpoint was to emphasize the special and delicate ontological status of mind, and from the aspect of self-cultiv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to have expressed an attitude of keeping strict watch against the extreme, and of heading toward the mean. Third,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self-cultivation, Simjae suggested the attention to the existence and role of teachers represented by the ancient sages, the attachment of importance to reading books, the emphasis on the gradual progress of self-cultivation under which on has to get knowledge before taking any action(knowledge first and practice later), Also, Simjae’s theory of self-cultivation has another characteristic that reflects his periodic situation which had led him to take a way of withdrawal from ordinary life. This means that he had spent more energy on the preservation of the way rather than on the practice of the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