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와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After-School Participat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Competence of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9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ate of after-school participation and describe the characters of after-school activity and adolescent's motivation in after-school participation, and teacher's role related to the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competence of adolescents. Subjects were 520 middle-school students in Busan.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showed that, 63.70% of adolescents were participated in one more after-school activities. 77.90% of after-school activities were academic activity. 63.10% of adolescent were participated in only one activity.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competence. The total times in academic activ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academic competence. Adolescent's motivation by future goals, enjoyment goals, and peer affiliation in after-school participation and after-school teacher's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school adjust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ate of after-school participation and describe the characters of after-school activity and adolescent's motivation in after-school participation, and teacher's role related to the school adjustment and a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ate of after-school participation and describe the characters of after-school activity and adolescent's motivation in after-school participation, and teacher's role related to the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competence of adolescents. Subjects were 520 middle-school students in Busan.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showed that, 63.70% of adolescents were participated in one more after-school activities. 77.90% of after-school activities were academic activity. 63.10% of adolescent were participated in only one activity.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competence. The total times in academic activ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academic competence. Adolescent's motivation by future goals, enjoyment goals, and peer affiliation in after-school participation and after-school teacher's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school adjus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여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의 차이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실태 및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 향상과 관련되는 방과후 활동의 특성, 방과후 학교 참여동기 및 방과후 학교의 교사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1, 2학년 520명이고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과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율은 63.70%이었고 이들 중 77.90%가 학업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과후 활동으로 1개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67.10%로 가장 많았다. 둘째, 방과후 학교에 참여하는 청소년은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교육 비참여학생 중 방과후 학교 참여학생이 비참여학생보다 학교생활적응이 높았다. 셋째, 방과후 학교 활동 유형 중 예술활동 참여자가 학교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2개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과비학업에 동시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학교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활동 참여시간이 증가할수록 학업유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동기가 목표지향적, 재미지향적일수록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이 높아지고 또래연합이 잘 될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과후 학교 교사의 지지가 높아질수록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여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의 차이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실태 및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 향상과 관련되는...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여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의 차이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실태 및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 향상과 관련되는 방과후 활동의 특성, 방과후 학교 참여동기 및 방과후 학교의 교사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1, 2학년 520명이고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과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율은 63.70%이었고 이들 중 77.90%가 학업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과후 활동으로 1개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67.10%로 가장 많았다. 둘째, 방과후 학교에 참여하는 청소년은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교육 비참여학생 중 방과후 학교 참여학생이 비참여학생보다 학교생활적응이 높았다. 셋째, 방과후 학교 활동 유형 중 예술활동 참여자가 학교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2개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과비학업에 동시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학교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활동 참여시간이 증가할수록 학업유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동기가 목표지향적, 재미지향적일수록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이 높아지고 또래연합이 잘 될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과후 학교 교사의 지지가 높아질수록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은,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5

      2 강성구, "청소년 특기ㆍ적성교육 활동과 만족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18 (18): 13-20, 2002

      3 이덕성, "중학생의 스포츠 참여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9 (19): 65-76, 2008

      4 유나현, "저소득층 중학생을 위한 방과 후 프로 그램 효과성 평가" 4 (4): 41-53, 2007

      5 표갑수, "방과후학교의 실태 및 발전방안- 중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49-171, 2010

      6 정우현,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 능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8 (8): 85-96, 2000

      7 김현자, "다중지능과 가정변인이 초등학생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2004

      8 Barber, B. L., "Whatever happened to the jock, the brain, and the princess? Young adult pathways linked to adolescent activity involvement and social identity" 16 (16): 429-454, 2001

      9 Larson, R. W., "Toward a psychology of positive youth development" 55 (55): 170-183, 2000

      10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developmental processes.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1.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Wiley 993-1028, 1998

      1 김지은,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5

      2 강성구, "청소년 특기ㆍ적성교육 활동과 만족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18 (18): 13-20, 2002

      3 이덕성, "중학생의 스포츠 참여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9 (19): 65-76, 2008

      4 유나현, "저소득층 중학생을 위한 방과 후 프로 그램 효과성 평가" 4 (4): 41-53, 2007

      5 표갑수, "방과후학교의 실태 및 발전방안- 중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49-171, 2010

      6 정우현,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 능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8 (8): 85-96, 2000

      7 김현자, "다중지능과 가정변인이 초등학생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2004

      8 Barber, B. L., "Whatever happened to the jock, the brain, and the princess? Young adult pathways linked to adolescent activity involvement and social identity" 16 (16): 429-454, 2001

      9 Larson, R. W., "Toward a psychology of positive youth development" 55 (55): 170-183, 2000

      10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developmental processes.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1.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Wiley 993-1028, 1998

      11 Mahoney, J. L., "Structured after-school activities as a moderator of depressed mood for adolescents with detached relation to their parents" 30 (30): 69-86, 2002

      12 Mahoney, J. L., "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y participation as a moderator in the development of antisocial patterns" 71 (71): 502-516, 2000

      13 Osgood, D. W., "Routine activities and individual deviant behavior" 61 : 635-655, 1996

      14 Darling, N, "Participation in school-bas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dolescent adjustment" 37 (37): 51-76, 2005

      15 Fredricks, J. A., "Is extracurricular participation associated with beneficial outcomes? Concurrent and longitudinal relations" 42 (42): 698-713, 2006

      16 Dotter, A. M., "Implications of out-of-school activities for school engagement in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36 : 391-401, 2007

      17 Sharp, E. H., "Gender differences in the self-defining activities and identity experiences of adolescents and emerging adults" 30 : 251-269, 2007

      18 Waterman, A. S., "Finding someone to be: Studies on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in identify formation" 4 : 209-228, 2004

      19 Fredricks, J. A., "Extracurricular involvement and adolescent adjustment: Impact of duration, number of activities, and breadth of participation" 10 (10): 132-146, 2006

      20 Luthar, S. S., "Extracurricular involvement among affluent youth: A scapegoat for "Ubiquitous achievement pressures"?" 42 (42): 583-597, 2006

      21 Peck, S, C., "Exploring the roles of extracurricular activity quantity and quality in the educational resilience of vulnerable adolescents: variable-and pattern-centered approaches" 64 (64): 135-155, 2008

      22 Mahoney, J. L., "Do extracurricular activities protect against early school dropout?" 33 : 241-253, 1997

      23 Silbereisen, R. K., "Development as action in context. in: Development as action in context: Problem behavior and normal youth development" Springer 3-16, 1986

      24 Hansen, D. M., "Amplifiers of developmental and negative experiences in organized activities: Dosage, motivation, lead roles, and adult-youth ratios" 28 : 360-374, 2007

      25 Bartko, W. T., "Adolescent participation in structured and unstructured activities: A person-oriented analysis" 32 (32): 233-241,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