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협력과 충돌의 대외전략 : 일본의 아시아 외교를 중심으로 = Policy of Cooperation and Conflict : Japan`s Asia Diplom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7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후 일본의 대외전략을 `협력`과 `충돌`의 대외전략으로 구분한다. 전후 일본의 아시아 외교는 `전방위 외교`라는 실용주의적 대외전략에 따른 `협력`의 형태로 나타났다. 하지만 ...

      본 연구는 전후 일본의 대외전략을 `협력`과 `충돌`의 대외전략으로 구분한다. 전후 일본의 아시아 외교는 `전방위 외교`라는 실용주의적 대외전략에 따른 `협력`의 형태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베 신조 정부의 대외전략은 민주주의와 법의 질서를 강조하는 `가치관 외교`를 중시하면서 아시아 외교에서 `협력`과 `충돌`이 공존하는 형태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나타났다. 전후 일본은 1957년에 발표한 `UN 중심주의`, `아시아의 일원으로서의 입장 견지`, `자유주의 제국과의 협조`라는 `일본 외교의 3원칙`에 따른 대외전략을 전개했다. 이에 따라 냉전 및 탈냉전 기간 동안 일본 외교는 `전방위 외교`로 대표되듯이 미국과의 협력을 중시하면서도 모든 국가와 충돌을 피하는 `협력` 외교를 지향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부상에 따른 동아시아 질서 변동 속에서 아베 정부의 아시아 외교는 `협력`과 `충돌`의 대외전략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시기 `협력`의 대외전략은 일본의 미일 동맹 강화 전략을 바탕으로 한미일 안보 협력과 중국의 진출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 외교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충돌`의 대외전략은 해양 영토 문제와 같은 대중 정책과 일본인 납치 문제와 같은 대북 정책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아베 정부는 `충돌`의 대외전략을 전개하면서도 `일본 외교의 지평 확장`이라는 기본 이념의 유지 하에 `협력`의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postwar Japan`s foreign policy as `cooperation` and `conflict.` Postwar Japan`s Asia diplomacy took the form of `cooperation` based on its programmatic foreign policy characterized by `all-directions diplomacy`. However, there wa...

      This study identifies postwar Japan`s foreign policy as `cooperation` and `conflict.` Postwar Japan`s Asia diplomacy took the form of `cooperation` based on its programmatic foreign policy characterized by `all-directions diplomacy`. However, there was a paradigm shift in Japan where `cooperation` and `conflict` have come to coexist since the Shinzo Abe administration pursued `values-oriented diplomacy` emphasizing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Japan pursued its postwar policy based on following three pillars: UN-centered diplomacy, Japan`s position as a member of Asia and cooperation with liberal democracies. Japan promoted `cooperative diplomacy` marked by `all-directions diplomacy`, placing emphasis on cooperation with the U.S. and avoiding conflict with other countries during the Cold War and in the post-Cold War era. However, the Abe administration has adopted its Asia policy of `cooperation` and `conflict` amid changing order in East Asia following China`s rise. `Cooperative diplomacy` takes the form of both promoting Korea-U.S.-Japan security cooperation based on its strategy of strengthening the U.S.-Japan alliance and pursuing cooperation with ASEAN nations in fear of China`s advance. On the other hand, a policy of `conflict` is shown in its China policy surrounding maritime territorial disputes and its North Korea policy such as the abduction of Japanese citizens. When pursuing `conflict diplomacy`, the administration seeks cooperation at the same ti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기섭, "현대 일본외교와 중국"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2 배정호,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평화·번영" 형설출판사 2015

      3 이기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과 한반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39-177, 2016

      4 신정화, "일본의 대북정책: 1945~1992년" 오름 2004

      5 기타오카 신이치, "유엔과 일본외교" 전략과 문화 2009

      6 진창수, "아베 총리 정권의 외교 정책 특징과 한계" (여름) : 49-68, 2013

      7 박정진, "북일 스톡홀름 합의 재론: 한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함의" 일본학연구소 (19) : 102-135, 2016

      8 대한민국외교사료관, "기무라 외상의 참의원외무위에서 답변"

      9 이기태, "경쟁과 협력의한일관계" 논형 99-123, 2016

      10 宮崎健雄, "韓国 「日米と連携」選択 対北朝鮮 中国 影響力に陰り"

      1 손기섭, "현대 일본외교와 중국"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2 배정호, "한반도 통일과 동아시아 평화·번영" 형설출판사 2015

      3 이기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과 한반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39-177, 2016

      4 신정화, "일본의 대북정책: 1945~1992년" 오름 2004

      5 기타오카 신이치, "유엔과 일본외교" 전략과 문화 2009

      6 진창수, "아베 총리 정권의 외교 정책 특징과 한계" (여름) : 49-68, 2013

      7 박정진, "북일 스톡홀름 합의 재론: 한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함의" 일본학연구소 (19) : 102-135, 2016

      8 대한민국외교사료관, "기무라 외상의 참의원외무위에서 답변"

      9 이기태, "경쟁과 협력의한일관계" 논형 99-123, 2016

      10 宮崎健雄, "韓国 「日米と連携」選択 対北朝鮮 中国 影響力に陰り"

      11 外務省, "開かれた, 海の恵み: 日本外交の新たな5原則(2013.1.18.)"

      12 "軍育成支援を比などへ拡大 ASEAN対象、中国牽制"

      13 安倍晋三, "美しい国へ" 91 (91): 124-133, 2013

      14 安倍晋三, "美しい国へ" 文藝春秋 2006

      15 "日米軸に 「価値観外交」 首相本紙と会見 アジア連携国益重視"

      16 北岡伸一, "日本外交の座標軸: 外交三原則再考" 6 : 8-15, 2011

      17 添谷芳秀, "日本外交と中国 1945-1972" 慶應義塾大学出版会 1997

      18 加藤淳平, "戦後日本の首脳外交: 特立回復後, 森首相退陣まで" (1) : 77-104, 2002

      19 防衛省, "平成26年度以降に係る防衛計画の大綱について(平成25年12月17日)"

      20 首相官邸, "安倍総理会見"

      21 首相官邸, "内閣総理大臣声明"

      22 首相官邸, "内閣総理大臣コメント:北朝鮮による核実験及び弾道ミサイル発射に関する国連安保理決議の採択について( 2 0 1 6 . 3 . 3 . )"

      23 ジョン, "アジア・プログラム 研究報告" 1-18, 2015

      24 外務省, "アジア・アフリカ会議(バンドン会議)60周年記念首脳会議における安倍 総理大臣スピーチ: ‘Unity in diversity’: 共に平和と繁栄を築く(2015. 4.22.)"

      25 外務省, "わが外交の近況" 外務省 1957

      26 Auslin, Michael, "Japan’s New Realism: Abe Gets Tough" 95 (95): 125-134,

      27 Abe, Shinzo, "Asia’s Democratic Security Diamon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for Japanese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9-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Japanese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of Contemporary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日本硏究論叢 -> 일본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