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림패치의 특성이 조류 종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 Forest Patch Characteristics and Their Contribution to Forest-Bird Diversity -Focus on Chungcheong Province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208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rban development typically results in many species being confined to small, isolated and degraded habitat fragments. Fragment size and isolation underpin many studies of modified landscape to prevent biodiversity loss. However, habitat characteristic...

      Urban development typically results in many species being confined to small, isolated and degraded habitat fragments. Fragment size and isolation underpin many studies of modified landscape to prevent biodiversity loss. However, habitat characteristics such as vegetation structure and edge effects are less frequently incorporated in plan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biogeographic (e.g. size, isolation) and vegetation parameters on assemblages is poorly understood, but critical for conservation management. In this study, the relative importance of biogeographic and vegetation parameters in explaining the diversity of forest-interior dwelling birds in forest fragments in Chungcheong Province Area. Fragment size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were consistently important predictors of bird diversity. Forestinterior bird richness was influenced by fragment size (0.437), wood age (0.332), wood diameter (0.068), and patch shape (-0.079). To preserve bird diversity of Chungcheong Province Area, it is important to consider differing responses of bird diversity to landscape change, move beyond a focus primarily on spatial attributes (size, isolation) to recognize that landscape change also has profound effects on habitat composition and quality. The result is very useful for long-term aspect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plan in regional sca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종철, "환경부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경관 분야 개편(안)" 한국지형학회 12 (12): 69-78, 2005

      2 이동근, "패치크기, 연결성, 가장자리를 고려한 보전가치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8 (8): 56-67, 2005

      3 김명수, "파편화된 서식처 복원을 위한 기초이론 고찰" 4 (4): 52-61, 2001

      4 이동근, "조류·포유류의 분포와 산림면적, 토지피복과의 관련성" 한국농촌계획학회 15 (15): 19-26, 2009

      5 임신재, "서식지 구조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과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7

      6 국립환경과학원, "생태·자연도 조사체계 개선방안" 2005

      7 김영숙, "산림환경구조에 따른 조류군집 비교 연구" 9 (9): 105-114, 2002

      8 허위행, "산림 지역의 조류 군집에 대한 도로의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1-8, 2003

      9 이우신, "도시화의 영향에 의한 조류 군집의 변화" 5 (5): 47-55, 1998

      10 조기현, "광릉지역 낙엽수 자연림과 침엽수 조림지의 서식지 구조와 조류군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1996

      1 서종철, "환경부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경관 분야 개편(안)" 한국지형학회 12 (12): 69-78, 2005

      2 이동근, "패치크기, 연결성, 가장자리를 고려한 보전가치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8 (8): 56-67, 2005

      3 김명수, "파편화된 서식처 복원을 위한 기초이론 고찰" 4 (4): 52-61, 2001

      4 이동근, "조류·포유류의 분포와 산림면적, 토지피복과의 관련성" 한국농촌계획학회 15 (15): 19-26, 2009

      5 임신재, "서식지 구조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과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7

      6 국립환경과학원, "생태·자연도 조사체계 개선방안" 2005

      7 김영숙, "산림환경구조에 따른 조류군집 비교 연구" 9 (9): 105-114, 2002

      8 허위행, "산림 지역의 조류 군집에 대한 도로의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1-8, 2003

      9 이우신, "도시화의 영향에 의한 조류 군집의 변화" 5 (5): 47-55, 1998

      10 조기현, "광릉지역 낙엽수 자연림과 침엽수 조림지의 서식지 구조와 조류군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1996

      11 이도원, "경관생태학:환경계획과 설계, 관리를 위한 공간생리" 서울대학교출 2001

      12 홍선기, "경관생태학:이론과 응용" 라이프사이언스 21-44, 2005

      13 홍선기,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생물다양성 보전" 9 : 3-14, 1999

      14 Ferrari, J. R., "Two measures of landscape-graph connectivity:assessment across gradients in area and configuration" 80 (80): 9121-9127, 2007

      15 Ewers, R. M., "The Effect of Fragment Shape and Species Sensitivity to Habitat Edges on Animal Population Size" 21 (21): 926-936, 2006

      16 Marzluff, J. M., "Restoration of fragmented landscapes for the conservation of birds:a general framework and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urbanizing landscapes" 9 : 280-292, 2001

      17 MacArthur, R. H., "On bird species diversity" 42 : 594-598, 1961

      18 Vemer, J. M., "Modeling habitat rela- tionships of terrestrial vertebrate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6

      19 Forman, R. T. T.,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 Sons

      20 Forman, R. T.T, "Land mosaics: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1995

      21 Nascimbene, J., "Influence of tree age, tree size and crown structure on lichen communities in mature Alpine spruce forests" 18 : 1509-1522, 2009

      22 Hobbs, R. J., "Impacts of ecosystem fragmentation on plant population:generalising the idiosyncratic. in: Habitat Fragmentation and Landscape Change:An Ecological and Conservation Synthesis" 51 : 471-488, 2006

      23 Schonewald-Cox, C. M, "Guidelines to man- agement:A beginning attempt" sinauer Associates, Inc 1993

      24 Forman, R. T. T, "Estimate of the area affected ecologically by the road system in the United States" 14 (14): 31-35, 2000

      25 Holland, H. J., "Differing responses to landscape change:implications for small mammal assemblages in forest fragments" 18 : 2997-316, 2009

      26 Luther, D., "Assessing the impact of local habitat variables and landscape context on riparian birds in agri- cultural, urbanised, and native landscapes" 17 : 1923-1935, 2008

      27 Marulli, J., "A gis method- ology for assessing ecological connectivity:application to the Barcelona metropolitan area" 71 : 243-262,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3-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45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