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와 결합하는 서술성명사(기능성명사)가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과 <우리말샘> 사전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처리되고 등재되는지, 사전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33018
2024
Korean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 ; <우리말샘> ; <모두의 말뭉치> ; '하다' ; '되다' ; '시키다' ; '당하다' ; 표제어 ; 변동 계수 ; Dictionary of Contemporary Korean Verb Construction ; Urimalsaem ; Modu corpus ; hata ; toyta ; sikita ; tanghata ; coefficient of variation
KCI등재
학술저널
191-22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와 결합하는 서술성명사(기능성명사)가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과 <우리말샘> 사전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처리되고 등재되는지, 사전의 ...
이 글에서는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와 결합하는 서술성명사(기능성명사)가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과 <우리말샘> 사전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처리되고 등재되는지, 사전의 표제어 등재 양상을 밝히고 나아가 말뭉치에서도 분포를 추출하여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서술성명사와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의 결합 양상에 대한 두 사전의 등재 편차가 크다.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에서는 한 패턴만 등재되지 않았지만 <우리말샘>에서는 여섯 가지 유형의 패턴이 표제어로 등재되지 않았다.
둘째, 주요 유형에 대한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의 등재 양상은 <모두의 말뭉치> 자료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의 경우 ‘N+시키다’의 확장세와 같은 언어 현실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말샘>은 <현대한국어동사구문사전> 및 <모두의 말뭉치> 자료와 매우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우리말샘>에서는 ‘하다’ 이외에 ‘되다/시키다/당하다’ 결합 유형의 표제어가 매우 적게 등재되기 때문이다.
셋째, 서술성명사에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가 다양하게 결합하는지, 혹은 어느 한 형태와 집중해서 결합하는지를 수치화하기 위해서 변동 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측정하였는데, 특정한 술어에 편중해서 결합하여 ‘하다/되다/시키다/당하다’가 균등한 분포를 보여주는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exical entries in dictionary and the corpus distribution of ‘N+hata/toyta/sikita/tanghata’. The registering deviation in the Dictionary of Contemporary Korean Verb Construction (C...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exical entries in dictionary and the corpus distribution of ‘N+hata/toyta/sikita/tanghata’. The registering deviation in the Dictionary of Contemporary Korean Verb Construction (CKorVCon) and Urimalsaym is very large. Only one pattern type is not registered in the CKorVCon but six pattern types are not registered in the Urimalsaym.
The registering about the primary ‘N+hata/toeta/sikita/tanghata’ types of CKorVCon is very similar to that of Modu corpus, so they show the actual use of language as like the increase of ‘N+sikita’ partially. But Urimalsaem is very different with both the Modu corpus and CKorVCon, as ‘toyta, sikita, tanghata’ are registered too small except for ‘hata’ in the Urimalsaym.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is measured in order to estimate the combination degree of ‘N +hata/toeta/sikita/tanghata’, but the uniform distribution is not appeared in dictionary and corp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