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가 그들이 겪는 차별피해경험으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이러한 영향이 성별이나 가정환경, 자아개념 등의 개인 변수를 통제하고 난 후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81881
2021
-
370
KCI등재
학술저널
227-245(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가 그들이 겪는 차별피해경험으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이러한 영향이 성별이나 가정환경, 자아개념 등의 개인 변수를 통제하고 난 후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가 그들이 겪는 차별피해경험으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이러한 영향이 성별이나 가정환경, 자아개념 등의 개인 변수를 통제하고 난 후에도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후 시간의 변화에 따라 이러한 차별피해경험이 사회적약자에 대한 영향을 어떻게 바꾸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1∼3년도의 초등학교 4학년 대상의 코호트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총 3,541명의 데이터를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들을 돕고 싶어하는 태도가 높아지는 것이 보이며, 이러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는 개인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별피해경험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바꾸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인적인 변인을 추가한 이후에도 이러한 결과는 바뀌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사회적 약자에게 주는 영향은 개인적 변수를 추가적으로 투입하였을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이 경험하는 차별피해가 기존에 논의되었던 학생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의 저하뿐만 아니라, 시민적 역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제시하며, 관련 인권교육 정책에 가지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wheth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ocially disadvantaged peers are affected by their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whether these effects change even after individual variables are controlled, and how ...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wheth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ocially disadvantaged peers are affected by their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whether these effects change even after individual variables are controlled, and how they change over time. To this end, data from the 1st to 3rd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was used, and 3,541 people s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a multi-level growth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socially disadvantaged demonstrate an increase over time, along with personal differences in the initial values and rate of change in attitudes. Secon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was found to have negatively changed attitudes toward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these results did not change even after accounting for personal variables. Third, the impact of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s was weakened when personal variables were add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human rights education policies, suggesting that discrimin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detrimental to both th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disadvantaged learners in ques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재휘, "한국 청소년의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 영향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25-49, 2016
2 김영지,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Ⅴ: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68, 2015
3 박환보, "학생인권조례 시행이 학교의 인권환경 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31 (31): 31-57, 2021
4 정설미, "학생인권조례 시행과 중학교 학교폭력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8 (38): 89-112, 2020
5 유성상, "학생인권 담론과 주요 쟁점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18 (18): 235-257, 2011
6 황아리영,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차별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은 매개효과인가, 조절효과인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51) : 237-262, 2020
7 신윤지,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55-1273, 2019
8 심혜숙,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13 (13): 163-175, 2001
9 위경민, "초등학생을 위한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편견 및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원 38 (38): 47-72, 2018
10 이창식,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피해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7-44, 2016
1 심재휘, "한국 청소년의 사회적 약자 배려 성향 영향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25-49, 2016
2 김영지,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Ⅴ: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68, 2015
3 박환보, "학생인권조례 시행이 학교의 인권환경 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31 (31): 31-57, 2021
4 정설미, "학생인권조례 시행과 중학교 학교폭력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8 (38): 89-112, 2020
5 유성상, "학생인권 담론과 주요 쟁점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18 (18): 235-257, 2011
6 황아리영,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차별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은 매개효과인가, 조절효과인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51) : 237-262, 2020
7 신윤지,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55-1273, 2019
8 심혜숙,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13 (13): 163-175, 2001
9 위경민, "초등학생을 위한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편견 및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원 38 (38): 47-72, 2018
10 이창식,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피해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7-44, 2016
11 염동문,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와 인권의식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소 31 (31): 401-424, 2015
12 정규형, "청소년의 차별피해경험이 차별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인권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복지학회 (55) : 31-55, 2016
13 송인한, "청소년의 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199-223, 2011
14 최선아, "청소년의 차별경험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6 (36): 57-76, 2020
15 김재엽, "청소년의 아동학대 및 학교폭력피해 경험이 학교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중복피해집단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6) : 233-255, 2016
16 박현선,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충동성 및 가족응집력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345-360, 2020
17 홍기혜, "청소년에게 인지되는 차별피해가 차별가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차별목격과 차별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27 (27): 33-66, 2019
18 김승경, "청소년 차별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36, 2016
19 국가인권위원회, "차별판단지침" 국가인권위원회 2008
20 박수미, "차별에 대한 국민의식 및 수용성 연구" 2004
21 차유정, "차별과 학대경험이 차별가해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 한국범죄심리학회 13 (13): 135-154, 2017
22 김동언, "차별 피해와 목격 경험이 소수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23 조유진, "집단괴롭힘 피해경험과 가해행동의 관계에 대한 개인내적 중재변인 탐색" 한국아동학회 29 (29): 215-226, 2008
24 주소희, "지역아동센터이용 아동의 차별피해 경험이 차별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정보교육의 조절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337-1348, 2020
25 구정화, "인권교육 연구학교 운영에 나타난 ‘인권교육’의 실천적 특성과 한계"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1-16, 2010
26 배화옥, "여성장애인의 차별실태와 관련요인"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 : 61-84, 2005
27 오미옥,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차별가해경험: 인권의식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94-502, 2018
28 오선영, "아동의 인권침해경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상황인식과 인권감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9 김영지, "아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2019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27, 2019
30 조우영, "소수자‧약자 인권 존중‧보장의 당위성에 대한 고찰: 교육에서의 취급 방향 모색을 위하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81-95, 2008
31 황세영, "사회지배 지향성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소 41 (41): 181-206, 2017
32 차진아, "사회적 약자의 인권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약자의 유형에 따른 인권보장의 구체화방향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193-226, 2012
33 최용성, "사회적 약자의 담론적 실천과 윤리교육적적용에 대한 비판적 평가" 한국윤리학회 1 (1): 265-315, 2013
34 윤인진,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사회정의와 인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한국사회연구소 19 (19): 95-131, 2018
35 정미경, "사회적 약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6 정혁인, "사회적 약자란 누구인가" 2 : 149-170, 2005
37 박수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2): 5-26, 2006
38 최문기, "롤즈의 사회정의론 연구 Ⅰ : 원리론을 중심으로" 8 (8): 251-276, 1999
39 강상진, "다층모형" 학지사 2016
40 구정화, "가정환경 요인이 초등학생의차별 및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9 (9): 1-25, 2016
41 Galanis, C. M. B., "When stigma confronts stigma : Some conditio victim’s tolerance of other victims" 12 (12): 169-177, 1986
42 Zitek, E. M., "Victim entitlement to behave selfishly" 98 (98): 245-, 2010
43 Stephan, W. G., "The role of empathy in improving intergroup relations" 55 (55): 729-743, 1999
44 Nussbaum, M. C., "The monarchy of fear: A philosopher looks at our political crisis" Simon & Schuster 2019
45 Vollhardt, J. R., "Inclusive victim consciousness predicts minority group members’ support for refugees and immigrants" 46 (46): 354-368, 2016
46 Raudenbush, S. W.,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Vol. 1)" sage 2002
47 Gollwitzer, M., "Asymmetrical effects of justice sensitivity perspectives on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18 (18): 183-201, 2005
48 Subašić, E., "Are we all in this together? Co-victimization, inclusive social identity and collective action in solidarity with the disadvantaged" 50 (50): 707-725, 2011
49 Davis,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10 : 85-103, 1980
50 Akers, R. L., "A longitudinal test of social learning theory : Adolescent smoking" 26 (26): 317-343, 1996
51 경기도교육청, "2020 민주시민교육 정책 추진 계획" 2020
52 이정연, "2019 경기도 학생인권 실태 조사" (재)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53 구정화, "2007 및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에 기초한 사회과 인권교육의 현황"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5 (5): 1-28, 2012
상담자용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학교 상담자 집단을 대상으로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지표의 책무성 탐색: 교육대학을 중심으로
유아역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2001∼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