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는 뉴스나 상담실을 찾아오는 내담자의 주 호소 문제는 친 구관계에 나타나는 문제이다. 적지 않은 아동과 청소년이 학교생활에서 또래관계로 힘들어 하고 이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는 뉴스나 상담실을 찾아오는 내담자의 주 호소 문제는 친 구관계에 나타나는 문제이다. 적지 않은 아동과 청소년이 학교생활에서 또래관계로 힘들어 하고 이로...
최근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는 뉴스나 상담실을 찾아오는 내담자의 주 호소 문제는 친
구관계에 나타나는 문제이다. 적지 않은 아동과 청소년이 학교생활에서 또래관계로 힘들어
하고 이로 인한 사건사고는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유아기에는 주로 주 양육자와의 관
계가 가장 중요한 것이라면, 학령기로 접어들면서 이전의 의존적이고 양육적인 환경에서
벗어나 보다 독립적인 관계를 시작하게 된다. 우리는 흔히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한다.
그렇기에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아동은 자신의 욕구를 조절하고 타인에 대한 관심과 이해
를 통해 함께 나누고 참여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학습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로 또래관계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아
동기는 많은 발달적 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시기이며, 특히 청소년기로의 진입을 앞둔 아동
후기는 사춘기의 시작으로 발달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장위천, 2009), 건강한 또래
관계에서 받는 정서적 지지와 또래간의 인정은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황휘숙, 주희
진, 2011). 즉, 또래관계는 적응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학령기 아동의 또래
관계에 대한 여러 선행연구들이 실행되어 왔고 이와 관련된 많은 변인들이 밝혀졌다.
또래관계와 관련된 아동의 환경적 변인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애착 등이 연구되어 왔
으며(문소현, 2009; 장인실, 장석진, 2012), 개인내적 변인으로는 아동의 공격성, 우울, 불안
과 같은 문제행동(김종운, 최미숙, 2014, 최은실, 정선아, 2012)이 연구되어 왔다. 최근에는
개인내적 변인으로 실행기능(김민주, 하은혜, 2013; 김은이, 오경자, 2014)과 자기애가 아동
의 적응과의 관계에서 연구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전업모와 취업모가 지각한 경제적 갈등과 부부갈등이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의사소통 중심의 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모-자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아동의 정서문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보육기관에서의 집단모래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