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D어린이집의 만 5세반 2개 학급 유아를 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23964
200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0(20쪽)
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D어린이집의 만 5세반 2개 학급 유아를 선...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D어린이집의 만 5세반 2개 학급 유아를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활용하여 과학통합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과학적 과정기술의 하위요인인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가 향상되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하여 과학통합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과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요인인 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해결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 문제해결에 대한 결론짓기가 향상되었다. 즉,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 five-years-old children from D kin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 five-years-old children from D kindergarten located in Gwang-ju. Our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r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sub-factors of scientific process skill, predicting, observing, classifying, measuring, communicating than comparative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sub-factors of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problem-finding and statement, suggestion of idea and application about problem-solution, making conclusion about problem-solution than comparative group. It means that the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improve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혜, "탐구학습 중심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1994
2 김은정, "탐구적 과학교수-학습법이 소리에 대한 유아의 개념 형성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2
3 황의명, "탐구능력증진을 위한 유아 과학 교육" 정민사 2001
4 안경숙, "전통적 과학교수방법과 지적갈등유도에 의한 과학교수방법의 효과 연구" 1992
5 조부경, "이야기책을 통한 ‘소리’ 활동의 전개:교사의 교수방법을 중심으로" 15 : 37-53, 1997
6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7 이영진, "유치원 과학교육의 현황과 문제분석" 2000
8 이경우,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유아도서 추천을 위한 기초연구" 양서원 1997
9 김현희, "유아문학교육" 학지사 2002
10 "유아교육사전" 한국유아교육학회 편 한국사전연구사 1996
1 장경혜, "탐구학습 중심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1994
2 김은정, "탐구적 과학교수-학습법이 소리에 대한 유아의 개념 형성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2
3 황의명, "탐구능력증진을 위한 유아 과학 교육" 정민사 2001
4 안경숙, "전통적 과학교수방법과 지적갈등유도에 의한 과학교수방법의 효과 연구" 1992
5 조부경, "이야기책을 통한 ‘소리’ 활동의 전개:교사의 교수방법을 중심으로" 15 : 37-53, 1997
6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7 이영진, "유치원 과학교육의 현황과 문제분석" 2000
8 이경우,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유아도서 추천을 위한 기초연구" 양서원 1997
9 김현희, "유아문학교육" 학지사 2002
10 "유아교육사전" 한국유아교육학회 편 한국사전연구사 1996
11 안경숙, "유아과학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2003
12 이경우, "유아과학교육의 문학적 접근" 창지사 1998
13 서주연, "유아 과학교육의 문학적 접근을 위한 그림책 분석" 1997
14 권지연, "유아 과학교육의 문학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2000
15 강호정,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관한 연구" 2003
16 이경민,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탐구능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2000
17 김정규, "문학적 접근에 의한 통합적 유아교육 프로그램" 정민사 2000
18 최은경, "문학을 통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2001
19 한애희, "문학을 중심으로 한 통합적 과학교수법이 유아의 호기심 및 과학적 과정에 미치는 영향" 2001
20 "놀이를 통한 유아 과학교육 활동자료" 교육인적자원부 멀티넷 2003
21 김수향,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9 (9): 21-44, 2004
22 이은진, "그림책을 중심으로 한 통합적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활동에 미치는 영향" 1999
23 안부금,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2002
24 홍기랑, "과학교육 접근 방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 해결 능력에미치는 영향" 2000
25 김온기, "과학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연구" 2000
26 Anderson,J.A, "Ten tales:Books with a bonus" 95 (95): 60-63, 1981
27 Stariano,P, "Storytime math:Math explorations in children's literature" Dale Seymour Publications 1994
28 Harlan,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Prentice-Hall Inc 2000
29 Harlan,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2
30 Sawyers, "Problem-finding and solving in play" tega : 92-97, 1989
31 Dekkers, "Making productive use of students' initial conception in developing the concept of force" 31-51, 1998
32 Kolakowski,J.S, "Linking math with literature" Carson Dellosa 1992
33 Kuehn, "Investing:Creative science young children" 65 (65): 5-7, 1998
34 Althouse,R, "Investigating mathematics with young children"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1994
35 Barrow, "Integrating science activities through literature webs" 65-70, 1982
36 Sternberg,R.j, "How to develop student creativity" 1996
37 Martin,D.J, "Elementary science methods:A constructivist approach" Delmar Publishers 1997
38 Brown,L.J, "Developing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with children's books" 63 (63): 102-107, 1986
39 Martin,D.J,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Delmar 2001
40 Copple, "Classroom strategies for cognitive growth" 198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5 | 2.35 | 2.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