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제목은 「‘관심의 장(field of care)’의 전이로 읽는 고려인의 문학(글쓰기)과 고향 공간」이다. 제목이 의미하는 바처럼 본 연구는 공간이 전이(轉移)되며 나타나는 글쓰기의 제 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88101
-
2018년
Korean
고려인 문학 ; 관심의 장 ; Soviet-Korean Literature ; Field of Care ; Hometown Space ; Place ; Cultural Geography ; Diaspora ; Lenin Gichi ; CIS(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 Kazakhstan ; Uzbekistan ; 고향 공간 ; 장소 ; 원동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문화지리학 ; 디아스포라 ; 독립국가연합 ; 레닌기치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제목은 「‘관심의 장(field of care)’의 전이로 읽는 고려인의 문학(글쓰기)과 고향 공간」이다. 제목이 의미하는 바처럼 본 연구는 공간이 전이(轉移)되며 나타나는 글쓰기의 제 양...
본 연구의 제목은 「‘관심의 장(field of care)’의 전이로 읽는 고려인의 문학(글쓰기)과 고향 공간」이다. 제목이 의미하는 바처럼 본 연구는 공간이 전이(轉移)되며 나타나는 글쓰기의 제 양상을 포괄적으로 고찰하면서 그 속에서 구성되는 ‘고향 공간’의 의미를 통시적으로 추적했다. 부연하자면 고려인문학에 나타나는 낯선 장소와 공간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고려인의 삶은 조선에서부터 러시아 연해주와 중앙아시아로까지 확장되었다. 따라서 본 과제는 2차 연구로서 연구의 대상은 CIS 지역이 중심이 되었다. 분석 대상이 된 텍스트는 고려인 신문인 레닌기치, 고려일보에 나타난 운문 및 산문적 글쓰기와 다수의 고려인문학 작품집이다. 방법론으로는 역사학의 도움을 받았으며, 의미화를 위해서는 문화지리학 및 인문지리학의 도움을 받았다. 결론적으로 중앙아시아로 집단이주된 이후에는 연해주가 고향이 되고 소비에트가 조국이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나아가 CIS 지역이 고향 공간으로 인식되기에 이른다. 관심의 장(field of care)이 바뀌면서 낯선 지역과 공간이 고향으로 구성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더불어 고려인문학에 나타나는 민족주의를 고찰하는 과정에서도 간과하면 안 되는 사실이 하나 있었다. 고려인문학에서 나타나는 민족주의는 한국 사람 전체를 중심에 두는 근본적인 민족주의와는 다른 또 다른 민족주의라고 할 수가 있는데, 이 점은 논문으로 완성할 시에 구체화할 계획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s titled “Soviet-Korean Literature(Writing) and Hometown Space as the Field of Care Transfers.” The life of Koryo-saram was extended from Yunhaju of Russia to Central Asia(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Living space of Koryo-saram...
The study is titled “Soviet-Korean Literature(Writing) and Hometown Space as the Field of Care Transfers.” The life of Koryo-saram was extended from Yunhaju of Russia to Central Asia(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Living space of Koryo-saram changed from Yunhaju to CIS. As a result, their writing changed and they redesigned to hometown space. So, this report looked at the diachronic meaning of hometown space in CIS. In other words, this report looked at unfamiliar place and space in Soviet Central Asia. The life of Koryo-saram was extended from Yunhaju of Russia to Central Asia(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This is the second time, studied unfamiliar place and space in CIS of Soviet Russia. So, the text used to prepare this report is prose and verse in Soviet-Korean Literature, ЛЕНИН КИЧИ, КОРЕ ИЛЬБО from Soviet-Korean newspapers, and full-length novels. The methodology used to prepare this report is history, social history, cultural geography, anthropogeography. In conclusion, CIS became a second hometown to Koryo-saram. As the field of care transfers, their hometown redesigned. With the changing hometown, their cultural ties created new nationalism.
한인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 민족이산의 역사와 초국가적 한민족
K-MOOC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정병호, 임성숙, 이주희이주와 디아스포라: 남아프리카의 사회변동
한국외국어대학교 김광수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