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자 고등학생들의 월경주기에 따른 스트레스인자 지각 및 정신병리 = Perceived Stressor and Psychopathology during the Menstrual Cycle in High School Gir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93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 여성에서 월경전기, 월경기, 월경후기간 스트레스인자 지각 및 정신병리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여자 고등학생 341명(인문계 164명, 예능계 17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

      본 연구는 청소년 여성에서 월경전기, 월경기, 월경후기간 스트레스인자 지각 및 정신병리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여자 고등학생 341명(인문계 164명, 예능계 17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가도구는 스트레스인자 지각 및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해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과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를 이용하였다. 월경기보다 월경전기 및 월경후기 중에 관계의 변화에 관련된 스트레스인자 지각점수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러나 세 기간 중 정신병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인문계 학생들이 예능계 학생들보다 일상생활의 변화유무에 관한 스트레스인자 지각점수는 물론 강박증 척도접수와 positive symptom total(PST)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일부 스트레스인자지각이 월경기보다 월경전기 및 월경후기 중에 더 현저할 가능성이 높으나 정신병리는 월경주기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청소년 여성들의 정신병리가 월경주기 이외의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ison in perceived stressor and psychopathology among premenstrual, menstrual and postmenstrual phases, in high school girls. Three hundred forty-one high school girls(164 academic school girls, 177 art s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ison in perceived stressor and psychopathology among premenstrual, menstrual and postmenstrual phases, in high school girls. Three hundred forty-one high school girls(164 academic school girls, 177 art school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were used to measure perceived stressors and psychopathology. The scores of perceived stressor relevant to change in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higher during the premenstrual and the postmenstrual phases than during the menstrual phas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sychopathology among three mentstrual phases. Scores of perceived stressor relevant to change or no change in routin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cademic school girls than in art school girls. The scores of obsessive-compulsion subscale and positive symptom tota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cademic school girls than in art school girls. In conclusion, a perceived stressor was higher during the premenstrual and the postmenstrual phases than during the menstrual phase in adolescents, but psychopathology was not related to the menstrual cycl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sychopathology in adolescent girls might be influenced by other factors than menstrual cycl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27 0.44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