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내 선행연구에서 검증한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과 실행특성이 온라인 광고 효과성에 미친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 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48958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3-131(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내 선행연구에서 검증한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과 실행특성이 온라인 광고 효과성에 미친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 또...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내 선행연구에서 검증한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과 실행특성이 온라인 광고 효과성에 미친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 또는 실행특성과 온라인 광고 효과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연구 특성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08년 – 2019년의 기간 중 6개의 국내 광고 관련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온라인 광고 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은 브랜드구입의향(매우 강하게), 브랜드태도(매우 강하게), 광고태도(강하게), 광고회상(강하게) 및 광고수용의향(강하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광고의 실행특성은 광고주의,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및 브랜드구입의향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은 실행특성보다 광고태도와 브랜드구입의향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의 몇몇 연구 특성(예.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 또는 실행특성의 조작 또는 측정)에 따라서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과 실행특성이 온라인 광고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online ad content and execution characteristics examined by Korean past research influenced online ad effectiveness. This study is also to explore what types of research characteristics moderate 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online ad content and execution characteristics examined by Korean past research influenced online ad effectiveness. This study is also to explore what types of research characteristics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ad content or execution characteristics and online ad effectiveness. To obtain the goals, meta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studies on online ad effectiveness in six major ad-relate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8 and 2019.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line ad content characteristics affected brand purchase intention (very strongly), brand attitude (very strongly), ad attitude (strongly), ad recall (strongly) and ad acceptance intention (strongly). And online ad execution characteristics strongly influenced ad attention,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online ad content characteristics were more likely to affect ad attitude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than online ad execution characteristics. Lastly, the strengths of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ad content or execution characteristics and online ad effectiveness differed depending on some research characteristics of previous studies (e.g., manipulation or measure of online ad content or execution characteristic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정륜, "페이스북 네이티브 광고유형에 따라 광고태도 및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18 (18): 97-118, 2021
2 두진희, "페이스북 광고 유형에 따른 효과 연구 - 설득 지식 모델과 기술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4 (14): 300-330, 2012
3 심상대, "지상파TV 간접광고 심의 규제 현황 (2016-2019)과 장르별 특성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59 (59): 487-525, 2020
4 심성률, "중재 메타분석을 위한 STATA 명령어"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1 (41): 123-134, 2016
5 김병희, "정부광고의 매체 집행 방안에 대한질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9 (19): 182-225, 2017
6 이경렬, "인터넷 콘텐츠 맥락에서 유발된 감정이 콘텐츠 몰입을 매개하여 플로팅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PR실학회 11 (11): 158-186, 2018
7 권은정,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자기통제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원 55 (55): 87-122, 2016
8 황대영, "인터넷 사용률·스마트폰 보급률 ‘세계 1위’" 데일리한국
9 한상필, "인터넷 배너 광고의 노출효과에 관한 연구:영화 업종의 실 집행 캠페인" 한국광고학회 23 (23): 155-171, 2012
10 최은영, "인터넷 광고의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매체 이용 동기와 능력, 광고 지각 및 광고 태도"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171-197, 2011
1 소정륜, "페이스북 네이티브 광고유형에 따라 광고태도 및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18 (18): 97-118, 2021
2 두진희, "페이스북 광고 유형에 따른 효과 연구 - 설득 지식 모델과 기술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4 (14): 300-330, 2012
3 심상대, "지상파TV 간접광고 심의 규제 현황 (2016-2019)과 장르별 특성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59 (59): 487-525, 2020
4 심성률, "중재 메타분석을 위한 STATA 명령어"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41 (41): 123-134, 2016
5 김병희, "정부광고의 매체 집행 방안에 대한질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9 (19): 182-225, 2017
6 이경렬, "인터넷 콘텐츠 맥락에서 유발된 감정이 콘텐츠 몰입을 매개하여 플로팅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PR실학회 11 (11): 158-186, 2018
7 권은정,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자기통제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원 55 (55): 87-122, 2016
8 황대영, "인터넷 사용률·스마트폰 보급률 ‘세계 1위’" 데일리한국
9 한상필, "인터넷 배너 광고의 노출효과에 관한 연구:영화 업종의 실 집행 캠페인" 한국광고학회 23 (23): 155-171, 2012
10 최은영, "인터넷 광고의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매체 이용 동기와 능력, 광고 지각 및 광고 태도"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171-197, 2011
11 김종흠, "인터넷 광고의 강제적 노출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웹콘텐츠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3 (13): 489-512, 2012
12 이시훈, "인터넷 검색광고의 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품에 대한 지식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0 (10): 186-217, 2008
13 김운한, "인지 스타일이 온라인 광고의맥락 효과에 미치는 영향: 장의존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7 (17): 169-204, 2015
14 유승엽, "웹툰 맥락과 광고형태 및 게재위치에 따른 웹툰 속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 (20): 1-30, 2019
15 안서원, "온라인 동영상 사전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 스킵 여부와 스킵 시점, 중간 광고와의 비교" 한국광고학회 28 (28): 29-45, 2017
16 류지영,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 광고 이용과 구전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24 (24): 297-318, 2013
17 안대천, "수정된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한 모바일광고 수용의도연구 : 성별요인(Gender)의 조절효과" 한국광고학회 20 (20): 171-188, 2009
18 김미경,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에 영향을미치는 MZ세대의 소셜미디어이용동기와 개인적 특성, 제품 유형의역할 탐색" 한국광고홍보학회 (129) : 279-300, 2021
19 도선재, "사용자 맥락(user context)이 모바일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OOH광고학회 5 (5): 79-104, 2008
20 이해수, "빅데이터 기반 AI 리타겟팅 광고(Retargeting Advertising)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20) : 80-112, 2019
21 박가려, "배너광고와 웹사이트 컨텐츠의 맥락간 일치성 및 광고유형이 광고노출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1 (21): 115-146, 2010
22 홍지미, "배너광고와 웹 기사의 맥락에 따른 광고효과" 한국광고학회 22 (22): 75-101, 2011
23 양영종, "모바일광고의 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20 (20): 221-236, 2009
24 정만수, "모바일 매체 플로우와 광고유형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94) : 5-38, 2012
25 김태우, "모바일 리워드어플리케이션 광고의효과 연구: 이용행동, 인식, 이용가치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7 (17): 71-103, 2015
26 박진표, "모바일 광고의 수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TAM(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OOH광고학회 7 (7): 71-103, 2010
27 차영란, "모바일 광고의 속성과 그에 의한 신뢰 및 태도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PR실학회 8 (8): 38-64, 2015
28 윤성욱, "모바일 광고에서 브랜드 명성, 제품정보 및 할인율의 역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6 (16): 291-308, 2015
29 서미옥, "메타분석 연구의 고찰과 연구방법론적인 제안" 한국교육학회 49 (49): 1-23, 2011
30 이정기, "맞춤형 스마트 광고 수용의도 결정요인 연구: 보호동기이론, 기술수용모델,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26) : 85-114, 2015
31 이수범, "네이티브 광고의 브랜드 및 제품 노출이수용자의 광고 인지와 태도, 공유 의도에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111) : 68-100, 2016
32 홍문기, "네이티브 광고 유형이 신문 독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5 (25): 183-214, 2017
33 김민희, "네이버 TV의 지속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광고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23) : 5-41, 2019
34 정해원, "광고소구, 관여도, 설득지식에 따른 동영상 네이티브 광고 효과" 한국광고PR실학회 10 (10): 222-254, 2017
35 정유진, "광고비 자원의 매체별 경쟁에 관한 연구: 지상파TV, 케이블TV, 온라인동영상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90 : 154-184, 2018
36 소현진, "광고 효과 연구의 문헌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109) : 43-75, 2016
37 주보아, "광고 디스클로저와 인플루언서 공신력에 관한 설득효과 연구: 설득지식모델을 적용하여" 사회과학연구원 59 (59): 497-530, 2020
38 김한주,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광고의 지각된 적합성과 동일시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6 (6): 7-28, 2013
39 Goldfarb, A., "What is different about online advertising?" 44 (44): 115-129, 2014
40 Singel, R, "Web gives birth to banner ads" Wired
41 Belanche, D., "Understanding interactive online advertising:Congruence and product involvement in highly and lowly arousing, skippable video ads" 37 : 75-88, 2017
42 MacKenzie, S. B.,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23 (23): 130-143, 1986
43 진윤아, "STATA를 이용한 메타분석"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44 이경렬, "SMS기반의 모바일광고의 정보처리과정에 관한 규범적 모델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20 (20): 183-203, 2009
45 황성동, "R을 이용한 메타분석" 학지사 2015
46 Rosenthal, J. A., "Qualitative descriptors of strength of association and effect size" 21 (21): 37-59, 1996
47 Richards, J. I., "Oracles on “advertising”: Searching for a definition" 31 (31): 63-77, 2002
48 Ha, L., "Online advertising research in advertising journals: A review" 30 (30): 31-48, 2008
49 Gliner, J. A., "Null hypothesis significance testing: Effect size matters" 6 (6): 291-301, 2001
50 Deuze, M., "Living in media and the future of advertising" 45 (45): 326-333, 2016
51 Yoo, C. Y., "Interplay of message framing, keyword insertion and levels of product involvement in click-through of keyword search ads" 30 (30): 399-424, 2011
52 MacInnis, D. J., "Information processing from advertisements: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53 (53): 1-23, 1989
53 Dahlen, M., "If advertising won't die, what will it be? Toward a working definition of advertising" 45 (45): 334-345, 2016
54 Machleit, K. A., "Emotional feelings and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The roles of brand familarity and repetition" 17 (17): 27-35, 1988
55 Tutaj, K., "Effects of online advertising format and persuasion knowledge on audience reactions" 18 (18): 5-18, 2012
56 Lombard, M., "Content analysis in mass communication:Assessment and reporting of intercoder reliability" 28 (28): 587-604, 2002
57 Kumar, V., "Conceptualizing the evolution and future of advertising" 45 (45): 302-317, 2016
58 Unnava, H. R., "An imagery-processing view of the role of pictures in print advertisements" 28 (28): 226-231, 1991
59 Knoll, J., "Advertising in social media: A review of empirical evidence" 35 (35): 266-300, 2016
60 Keller, K. L., "Advertising exposure, memory and cho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1-48, 1993
61 Campbell, C., "Advertisements just aren't advertisements anymore: A new typology for evolving forms of online “advertising”" 54 (54): 7-10, 2014
62 Liu-Thompkins, Y., "A decade of online advertising research: What we learned and what we need to know" 48 (48): 1-13, 2019
63 Mathes, T., "A comparison of methods for meta‐analysis of a small number of studies with binary outcomes" 9 (9): 366-381, 2018
64 Nord, W. R., "A behavior modification perspective on marketing" 44 (44): 36-47, 1980
6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보고서"
66 이은미, "1인 미디어를 이용한 제품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지각된 전문성과 지각된 상업성의 영향 분석을 토대로" 한국광고PR실학회 11 (11): 187-211, 2018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거부민감성, 적대적 귀인 편향 및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
왜 그들은 ‘술방’을 보는가?: 소셜미디어 음주 일인방송 시청동기와 콘텐츠 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시민은 시민단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시민단체의 역할과 신뢰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6-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Social Scienc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1 | 1.31 | 1.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3 | 1.772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