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치순, "한국과 북한의 과학 교과서에서의 ‘지구과학’내용 비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5 (5): 276-286, 2012
2 김다원,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분석 연구: 국내외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6 (6): 319-337, 2017
3 이영하, "지구 과학과 지리 영역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6 (16): 399-419, 2012
4 강창숙,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과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217-231, 2012
5 장의선, "중국의 2009년 대학입학시험 ‘지리’ 문항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93-214, 2013
6 이미경,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82-1193, 2004
7 김민성, "북한의 2013년 개정 지리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69-83, 2017
8 조미선, "북한 「자연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 내용 분석-김정은 시대 초급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4 (14): 95-110, 2020
9 윤옥경, "미국 사회과교실의 세계지리 수업에 대한 연구 - 버지니아 주 고등학교 지리 수업 관찰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119-133, 2018
10 간치멕, "몽골과 한국의 초 · 중등 교육제도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117-142, 2017
1 권치순, "한국과 북한의 과학 교과서에서의 ‘지구과학’내용 비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5 (5): 276-286, 2012
2 김다원,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분석 연구: 국내외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6 (6): 319-337, 2017
3 이영하, "지구 과학과 지리 영역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6 (16): 399-419, 2012
4 강창숙,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과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217-231, 2012
5 장의선, "중국의 2009년 대학입학시험 ‘지리’ 문항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93-214, 2013
6 이미경,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82-1193, 2004
7 김민성, "북한의 2013년 개정 지리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69-83, 2017
8 조미선, "북한 「자연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 내용 분석-김정은 시대 초급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4 (14): 95-110, 2020
9 윤옥경, "미국 사회과교실의 세계지리 수업에 대한 연구 - 버지니아 주 고등학교 지리 수업 관찰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119-133, 2018
10 간치멕, "몽골과 한국의 초 · 중등 교육제도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117-142, 2017
11 박철웅,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 지리교육의 현재와 문제점" 한국지리학회 1 (1): 11-17, 2012
12 박병태,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지구 영역 계절의 변화 단원의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2 (22): 91-106, 2011
1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Evaluation,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5. Main Survey RRE 2015-11-2" 2015
14 Canada Ministry of education,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9 and 10, Science"
15 Canada Ministry of education,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0and 11, Science"
16 박기락, "TIMSS 2019의 8학년 지구과학 평가틀을 이용한 남한과 북한 지구과학 내용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41 (41): 261-272, 2020
17 곽영순, "TIMSS 2015 중학교 2학년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및 교육과정 연계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16, 2017
18 Mullis, I. V. S., "TIMSS 2015 Assessment Frameworks"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2013
19 Kwon, J. H., "Revision of 2015 Curriculum and Changes in Geography Education" 16 (16): 1-17, 2014
20 Shin, D. H., "Proposcurruculum of the Future-Oriented Earth Science Education Plasing on the ‘Earth Environment’" 25 (25): 239-259, 2005
21 NRC,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The National Academics Press 2013
22 "Mongolia" Ministry of Education
23 Kasimov, N. S., "Higher Geographical end Ecological Education in Russian Universities" 35 (35): 77-84, 1996
24 Greco, R., "Earth science education: Global perspectives" Instituto federal 2016
25 U. S. Department of Education, "Development of the 2018 Secondary School Course Taxonomy" 2019
26 Nam, S. A., "A Study on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Focusing in 8 Countries of Germany, France, U.K., U.S., Russia, China, Japan and Korea" Sungshin University 2017
27 Lim, S. M., "A Comparative study on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Korea and Singapore: Focus on the Field of Geology"
28 Ganchimeg, G., "A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 System and Goals and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Between Mongolia and South Korea"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8
29 이윤아,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지권) 영역에 대한 종적 연계성 분석과 미국 차세대과학기준과의 비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701-724, 2016
30 김국현,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종적 연계성 분석 및 미국 차세대 과학 기준(NGSS)과의 비교 연구: 지구과학 기권과 수권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23-47,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