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이화, 반민족문제연구소,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회, 민족문제연구소, 미즈타니 사야카, 이정남 등에 의한 ‘이능화의 친일 행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86488
2021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43-273(3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이화, 반민족문제연구소,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회, 민족문제연구소, 미즈타니 사야카, 이정남 등에 의한 ‘이능화의 친일 행적 ...
본 연구는 이이화, 반민족문제연구소,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회, 민족문제연구소, 미즈타니 사야카, 이정남 등에 의한 ‘이능화의 친일 행적 및 역사왜곡’에 관한 기존의 연구성과들과 이능화와 관련된 기록 및 사료들을 최대한 총망라하여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에 있어서 ‘이능화의 친일 반민족 행적’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조목조목 밝히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이능화의 친일 반민족 활동’은 매우 다양한 방면에서 아주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능화는 일제강점기에 일제의조선 식민통치에 현저히 협력하여 일본제국으로부터 고위관직과 다양한 포상 및훈장들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조선사편수회, 친일 불교단체, 친일 학회, 친일 조직들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여 ‘조선사(朝鮮史) 왜곡’과 ‘식민사관(植民史觀) 전파’ 에 앞장섰으며, 심지어는 일본의 초대 천황인 진무 천황(神武 天皇)을 시작으로, 조선의 강제 일본 식민지화의 원흉이었던 메이지 천황(明治 天皇), 다이쇼 천황(大正 天皇), 쇼와 천황(昭和 天皇) 등 일본 천황들을 찬양하는 한시(漢詩)인 「황화만년지곡(皇化萬年之曲)」을 지어 바치며 일제의 조선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正當化)시키기까지 하였다. 즉 이능화는 ‘단순히 왜곡된 『조선사』 편찬에 참여한정도’가 아니라 다방면에서 다양한 루트를 통해 매우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친일활동을 전개해 간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친일 반민족 행위자’이자 우리나라 근대 사학계의 대표적인 ‘친일 어용학자’였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이능화의 학술적 성과물들이 모두 친일(親日)· 매국(賣國)과 맞바꾼 결과물이라는 사실이다. 비록 이능화와 같이 이미 사망한‘친일 반민족 행위자’들을 이제 와서 직접적으로 단죄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친일(親日)·매국(賣國), 그리고 ‘소수의 자극적인 특정기록만을 근거로 한 무리한일반화의 오류’를 통한 어설픈 ‘역사왜곡(歷史歪曲) 행위’는 이능화처럼 이렇게‘기록’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역사 속에 친일파(親日派)·매국노(賣國奴)·역사왜곡자(歷史歪曲者)라는 오명(汚名)의 꼬리표가 달려 영원히 후세에 낙인(烙印)될수 있음을 매우 신중하게 자각하고, 일반화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들을 제시하면서 해당 역사에 대한 논조를 펼쳐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은용, "李能和의 韓國佛敎硏究" 한국종교학회 9 : 1993
2 권평, "李能和의 基督敎史 理解–그의 생애와 저술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神科大學 33 : 2003
3 장효현, "李能和의 國學" 안암어문학회 24·25 : 1985
4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친일문제연구총서 인명편 2" 민족문제연구소 2009
5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보고서 Ⅳ-12–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이유서"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2009
6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보고서 III-1"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9
7 "조선총독부 관보, 1940년 5월 4일"
8 "조선총독부 관보, 1936년 1월 30일"
9 "조선총독부 관보, 1930년 1월 25일 부록"
10 "조선총독부 관보, 1929년 2월 13일"
1 양은용, "李能和의 韓國佛敎硏究" 한국종교학회 9 : 1993
2 권평, "李能和의 基督敎史 理解–그의 생애와 저술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神科大學 33 : 2003
3 장효현, "李能和의 國學" 안암어문학회 24·25 : 1985
4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친일문제연구총서 인명편 2" 민족문제연구소 2009
5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보고서 Ⅳ-12–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이유서"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2009
6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보고서 III-1"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9
7 "조선총독부 관보, 1940년 5월 4일"
8 "조선총독부 관보, 1936년 1월 30일"
9 "조선총독부 관보, 1930년 1월 25일 부록"
10 "조선총독부 관보, 1929년 2월 13일"
11 "조선총독부 관보, 1923년 1월 18일"
12 "조선일보"
13 "조선급만주 제339호"
14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제국신문 영인본 세트(1907.5.17~1909.2.28)" 소명출판 2019
15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일제협력단체사전–국내 중앙편" 민족문제연구소 2004
16 조범성, "일제강점기 朝鮮史學會의 활동과 근대사 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4) : 87-128, 2015
17 "일본내각 관보, 1913년 5월 22일 부록"
18 이경무, "이능화의 한국학" 서원대학교호서문화연구소 16 : 2002
19 조한석, "이능화의 전통사상 연구와 그 의미" 한국철학사연구회 (52) : 185-211, 2017
20 水谷淸佳,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Ⅰ - 이능화의 친일 반민족 행적과 신라시대의 왜곡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565-597, 2020
21 서영대, "이능화의 『조선무속고』에 대하여" 한국종교학회 9 : 1993
22 최준식, "이능화의 『조선도교사』" 한국도교문화학회 7 : 1993
23 권평, "이능화와 『朝鮮基督敎及外交史』–생애와 改新敎史 이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원우회 29 : 1999
24 이재헌, "이능화 연보" 41 : 2015
25 이종성, "이능화 『조선도교사』의 학술사적 의의와 한계" 인문과학연구소 37 (37): 193-213, 2010
26 이은희, "이능화"
27 심원섭, "아베 미츠이에(阿部充家)의 조선기행문 <湖南遊歷>, <無佛開城雜話>" 한국문학회 (53) : 405-436, 2009
28 양은용, "숭산 박길진 박사 고희기념논문집–한국근대종교사상사" 숭산박길진박사고희기념사업회 1984
29 강석주, "불교근세백년" 중앙일보사 1980
30 반민족문제연구소, "분야별 주요인물의 친일이력서–친일파 99인(2)" 돌베게 1993
31 박혜인, "민족문화의 절반을 위한 여성생활사 연구–『朝鮮女俗考』(李能和 翰南書林·東洋書院 1927)" 한국역사연구회 22 : 1996
32 "매일신보"
33 "동아일보"
34 이종성, "근대와 만난 한국의 도교 - 이능화 [조선도교사]의 기본입장을 중심으로 -" 한국동서철학회 (58) : 315-339, 2010
35 이형식, "경성일보・매일신보 사장 시절(1914.8-1918.6)의 아베 미쓰이에(阿部充家)" 역사연구소 (87) : 151-197, 2016
36 "경성일보"
37 "朝鮮史編修會 事務報告書" 국사편찬위원회 1925
38 朝鮮総督府朝鮮史編修会, "朝鮮史編修会事業概要"
39 "公文雜贊 券18, 1940년 4월 26일(일본 국립공문서관 소장)"
40 이수정, "<황화만년지곡> 연구" 온지학회 (46) : 233-264, 2016
기문(己汶)·대사(帶沙), 반파국(伴跛國)위치비정과 임나일본부설 - 김석형 조희승 분국설로 본 백승옥 김태식 곽장근 논문 비판을 중심으로 -
한국어 문화 교육 현장에서의 고전 문학 작품 활용 연구 - 한국 역사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Vietnam Buddhism Thought Content Through Tran Nhan Tong(陳仁宗) Zen Master Roy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