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풍류정신문화의 차이성과 창조적 변용성 = Difference and Creative Modification of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14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풍류정신문화는 고대 제천의식에서 현재의 한류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이 신과 자연과 공동체와의합일에서 경험하는 정신적·정서적 느낌을 발현시켜왔던 문화였다. 그 과정에서 풍류문화는 내재적으로인간 공동체와 신과 자연을 하나로 연결시키려는 조화와, 조화의 경계너머 정신적 자유와 심미적 가치를 내재하는 일탈(멋)과 신명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즉 한국 풍류문화는 조화, 멋, 신명을 그 내재적특성으로 하며 한류문화의 바탕을 이루는 문화적 차이성을 형성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멋과 조화, 신명(神明)과 한(恨)이라는 내재적 차이성을 지닌 한국 풍류정신(idea)문화가 어떻게 예술(art)문화적·행동(act)문화적 특성으로 변용되어 왔는가를 탐색함으로써 풍류정신문화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한국 풍류정신문화는 고대 제천의식에서 현재의 한류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이 신과 자연과 공동체와의합일에서 경험하는 정신적·정서적 느낌을 발현시켜왔던 문화였다. 그 과정에서 풍류...

      한국 풍류정신문화는 고대 제천의식에서 현재의 한류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이 신과 자연과 공동체와의합일에서 경험하는 정신적·정서적 느낌을 발현시켜왔던 문화였다. 그 과정에서 풍류문화는 내재적으로인간 공동체와 신과 자연을 하나로 연결시키려는 조화와, 조화의 경계너머 정신적 자유와 심미적 가치를 내재하는 일탈(멋)과 신명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즉 한국 풍류문화는 조화, 멋, 신명을 그 내재적특성으로 하며 한류문화의 바탕을 이루는 문화적 차이성을 형성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멋과 조화, 신명(神明)과 한(恨)이라는 내재적 차이성을 지닌 한국 풍류정신(idea)문화가 어떻게 예술(art)문화적·행동(act)문화적 특성으로 변용되어 왔는가를 탐색함으로써 풍류정신문화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ancient Jecheon ritual to the current Korean Wave,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has expressed the mental and emotional feelings that the Korean people experience in unity with God, nature, and the community. In the process, Pungryu culture has inherently po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Harmony, which seeks to connect the human community with God and nature, and deviation(Mut) and Shinmyoung(神明), which embody mental freedom and aesthetic value beyond the boundaries of harmony. In other words, Korean Pungryu culture has harmony, Mut, and Shinmyoung as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has formed the cultural differences that form the basis of Hallyu cultur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nature of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by exploring how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with its inherent differences of Mut and Harmony, Shinmyoung and Han(恨), has been modified into artist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번역하기

      From the ancient Jecheon ritual to the current Korean Wave,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has expressed the mental and emotional feelings that the Korean people experience in unity with God, nature, and the community. In the process, Pungryu cultur...

      From the ancient Jecheon ritual to the current Korean Wave,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has expressed the mental and emotional feelings that the Korean people experience in unity with God, nature, and the community. In the process, Pungryu culture has inherently po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Harmony, which seeks to connect the human community with God and nature, and deviation(Mut) and Shinmyoung(神明), which embody mental freedom and aesthetic value beyond the boundaries of harmony. In other words, Korean Pungryu culture has harmony, Mut, and Shinmyoung as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has formed the cultural differences that form the basis of Hallyu cultur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nature of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by exploring how Korean Pungryu Spiritual culture, with its inherent differences of Mut and Harmony, Shinmyoung and Han(恨), has been modified into artist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은경, "흥의 예술적·계층적·시대적 전개" 1 : 95-137, 1995

      2 김영진,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 그린비 2012

      3 호진스키 토마스, "화이트헤드 철학 풀어 읽기" 이문출판사 1993

      4 김범부, "화랑외사" 이문출판사 1981

      5 이태호, "한정형식에 의한 노자의 존재론적 구조 분석" 1 (1): 117-146, 2014

      6 신은경, "한의 미학" 20 : 15-36, 1998

      7 나채근 ; 노상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풍류정신문화 ‘멋’에 대한 연구 - 황순원의 『독 짓는 늙은이』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72) : 63-91, 2016

      8 나채근,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감상문 쓰기를 통한 한국 정서 한(恨)에 대한 이해 교육"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5 (15): 85-112, 2018

      9 서경혜,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한국인의 가치체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10 나채근 ; 노상래, "한국 현대소설을 통해 본 신명(神明)의 창조성과 다양체성 연구 -『선학동나그네』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84) : 211-238, 2019

      1 신은경, "흥의 예술적·계층적·시대적 전개" 1 : 95-137, 1995

      2 김영진,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 그린비 2012

      3 호진스키 토마스, "화이트헤드 철학 풀어 읽기" 이문출판사 1993

      4 김범부, "화랑외사" 이문출판사 1981

      5 이태호, "한정형식에 의한 노자의 존재론적 구조 분석" 1 (1): 117-146, 2014

      6 신은경, "한의 미학" 20 : 15-36, 1998

      7 나채근 ; 노상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풍류정신문화 ‘멋’에 대한 연구 - 황순원의 『독 짓는 늙은이』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72) : 63-91, 2016

      8 나채근,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감상문 쓰기를 통한 한국 정서 한(恨)에 대한 이해 교육"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5 (15): 85-112, 2018

      9 서경혜,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한국인의 가치체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10 나채근 ; 노상래, "한국 현대소설을 통해 본 신명(神明)의 창조성과 다양체성 연구 -『선학동나그네』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84) : 211-238, 2019

      11 나채근, "한국 근대소설 읽기를 통한 한국 풍류정신문화의 이해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6

      12 김현희, "한, 씻김, 신명, 흰그늘" 6 : 33-64, 2007

      13 정병훈, "풍류의 시대적 전개와 변양" 5 : 100-121, 2005

      14 유동식, "풍류신학으로서의 여로" 18 : 51-69, 1989

      15 민주식, "풍류사상의 미학적 의의" 11 : 61-76, 2000

      16 박흥주, "풍류로 본 여가와 여흥" 실천민속학회 21 : 163-219, 2013

      17 한흥섭, "풍류도의 어원" 8 : 53-76, 2004

      18 한흥섭, "풍류도와 한국전통음악의 연관성" 5 : 197-233, 2005

      19 유동식,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문화" 나남출판 1997

      20 전신재, "판소리 공연 양식과 정서"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427-446, 2005

      21 김성환, "최치원 ‘國有玄妙之道’설의 재해석* -‘한국 고대 신선사상의 지속과 변용’의 시각에서-" 한국도교문화학회 (34) : 9-38, 2011

      22 이진경, "철학과 굴뚝청소부" 그린비 1994

      23 이청준, "천년학" 열림원 2013

      24 들뢰즈, 가타리,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25 들뢰즈 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26 안병직, "신채호" 한길사 1983

      27 한민, "신명의 심리학" 21세기 북스 2009

      28 조영순, "슬픔 표현의 개념적 윤곽화: ‘슬픔’, ‘서러움’, ‘한’의 사용패턴 분석" 한국언어과학회 24 (24): 125-146, 2017

      29 염재철, "미적 범주로서의 풍류계와 씻김계:멋과 흰그늘" 민족미학회 9 : 131-162, 2010

      30 장미진, "무속과 한국 미학의 단초" 한국미학예술학회 15 : 7-30, 2002

      31 조지훈, "멋의 연구, 멋과 한국인의 삶" 나남 1996

      32 최정호, "멋과 한국인의 삶" 나남 1997

      33 이정우, "들뢰즈와 사건의 존재론" 9 (9): 139-167, 1998

      34 서은숙, "다문화시대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 인문콘텐츠학회 (14) : 157-184, 2009

      35 이진경, "노마디즘1" 휴머니스트 2002

      36 화이트헤드, A. N., "과학과 근대세계" 서광사 2008

      37 화이트헤드, A. N., "과정과 실재" 민음사 2013

      38 김중순, "“외국문화로서의 한국문화”교육의 가능성"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151-177, 2008

      39 Whitehead, Alfred N., "Process and Reality" The Free Press 1978

      40 Deleuze, G., "Difference and Repet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41 Whitehead, Alfred N., "Adventure of Idea" The Free Press 1961

      42 이태호, "A.N.Whitehead의 상대성 원리와 범주도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43 Deleuze G., "A Thousand Plateaus" Univ. of Minnesota Press 1987

      44 나채근, "A Pedagogical Study on Understanding of ‘Shinmyoung’(神明) in Modern Korean Novels for Foreign Learners - Based on A. N. Whitehead’s Creativity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4 (14): 147-172,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