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이하 구제역침출수)의 생태계 위해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구제역 가축 매몰지의 유공관 또는 관측정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66522
2014
Korean
Foot-and-mouth disease ; Leachate ; NRN ;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 ; Toxic unit ; Vibrio fischeri ; 구제역 ; 침출수 ; 담수미세녹조류 ; 독성값 ; 해양 발광박테리아
KCI등재
학술저널
5-11(7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이하 구제역침출수)의 생태계 위해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구제역 가축 매몰지의 유공관 또는 관측정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이하 구제역침출수)의 생태계 위해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구제역 가축 매몰지의 유공관 또는 관측정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이화학적 분석과 생태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이화학적 분석은 환경부 기준 구제역침출수 유출판별지표 항목 중 염소이온(Cl-)과 암모니아성질소(NH₄+-N)농도, 그리고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제안한 구제역침출수 유출판별지표인 NRN(Ninhydrin-Reactive Nitrogen)농도를 분석하였고, 생태독성시험은 발광박테리아(V. fischeri), 담수미세녹조류(P. subcapitata), 그리고 물벼룩(D. magna)을 생물종으로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화학적 분석 결과와 V. fischeri에 대한 독성영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도가 높은 구제역침출수 유출판별기준 인자를 도출하였고 회귀분석식을 이용하여 반수독성을 유발하는 지표항목의 농도를 산출하였으며 생태독성영향과 구제역침출수의 수계유출관리법과의 연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제역 가축 매몰지에 의한 생태계 위해성을 평가하고 향후 관리 기준을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chemical analysis and ecotoxicity tests of leachate from disposal site for foot-and-mouth disease carcasses (FMD leachate) were conducted to collect fundamental data that will be used to develop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tools for F...
In this study, chemical analysis and ecotoxicity tests of leachate from disposal site for foot-and-mouth disease carcasses (FMD leachate) were conducted to collect fundamental data that will be used to develop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tools for FMD leachate. For chemical analysis, concentration of Cl-, NH₄+-N, Korea standard method indicators for detection of leachate released from animal carcasses burial site into groundwater and NRN (Ninhydrin-Reactive Nitrogens), a newly suggested screening test indicator to detect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FMD leachate, were assessed. For ecotoxicity tests, luminescent bacteria (V. fischeri), micro-algae (P. subcapitata) and water flea (D. magna) were selected as test speci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Cl-, NH₄+-N, NRN and the toxicity to V. fischeri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better indicators to monitor FMD leachate contamination. From regression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the indicators in FMD leachate contaminated sample that induced halfmaximal toxic effect to V. fischeri was evaluated.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ssess the risk by FMD leachate and to establish the guideline to manage risk in relation to FMD leachat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형, "전과정평가를 활용한 가축매몰지의 환경영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9 (29): 239-246, 2013
2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3 김기태, "국내 폐광산 지역의 Vibrio fisheri, Selenastrum capricornutum, 그리고 Daphnia magna를 이용한 생태 위해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9 (29): 163-168, 2007
4 환경부, "구제역 관련 가축매몰지 조성관리지침"
5 강미아,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의 물리 화학적특성과 유기물질 성상분석"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0 (40): 128-134, 2012
6 농림수산식품부, "가축전염병예방법"
7 환경부, "가축매몰지역 환경조사지침"
8 김계훈, "가축 사체 매몰지 주변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도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384-389, 2010
9 Pratt, D. L., "livestock mortalities burial leachate chemistry-the first nine months"
10 Kae, O., "Toxicity testing of leachate from waste landfills using Medaka (Oryzias Latipe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safety" 117 (117): 73-84, 2006
1 김미형, "전과정평가를 활용한 가축매몰지의 환경영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9 (29): 239-246, 2013
2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3 김기태, "국내 폐광산 지역의 Vibrio fisheri, Selenastrum capricornutum, 그리고 Daphnia magna를 이용한 생태 위해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9 (29): 163-168, 2007
4 환경부, "구제역 관련 가축매몰지 조성관리지침"
5 강미아,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의 물리 화학적특성과 유기물질 성상분석"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0 (40): 128-134, 2012
6 농림수산식품부, "가축전염병예방법"
7 환경부, "가축매몰지역 환경조사지침"
8 김계훈, "가축 사체 매몰지 주변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도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384-389, 2010
9 Pratt, D. L., "livestock mortalities burial leachate chemistry-the first nine months"
10 Kae, O., "Toxicity testing of leachate from waste landfills using Medaka (Oryzias Latipe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safety" 117 (117): 73-84, 2006
11 AZUR Environmental, "The microtox acute basic, DIN, ISO and wet test procedure" Carlsbad 1-23, 1998
12 Butt, T. E., "Risk assessment of landfill disposal sites – state of the art" 28 (28): 952-996, 2008
13 Hu, Q., "Removal of nitrate from groundwater by cyanobacteria: quantitative assessment of factors influencing nitrate uptake" 66 (66): 133-139, 2000
14 Yu, S. H., "Ninhydri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leachate from animal carcass burial sites"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209-212, 2011
15 Park, J. W., "Livestock burial leachat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method" 12 (12): 45-56, 2011
16 Ritter, W. F., "Impact of dead bird disposal pits on groundwater quality on the delmarva peninsula" 53 (53): 105-111, 1995
17 신준재, "G광역시 위생매립장 침출수의 독성평가" 한국도시환경학회 10 (10): 305-310, 2010
18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test No. 201: Freshwater alga and cyanobacteria, growth inhibition"
19 Park, K. Y., "Growth of microalgae in diluted process water of the anim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59 (59): 2111-2116, 2009
20 Lee, K. K., "Foot-and-mouth disease and that burial leachate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12 (12): 6-17, 2011
21 Pratt, D. L., "Environmental impact of livestock mortalities burial" University of Saskatchewan 2009
22 Tam, N. F. T., "Effect of ammonia concentrations on growth of chlorella vulgaris and nitrogen removal from media" 57 (57): 45-50, 1996
23 US-EPA, "Ecological effects test guidelines"
24 Lee, S. H., "Case study abroad for livestock burial and follow-up management method for domestic Foot-and-Mouth Disease" 10 (10): 24-29, 2011
25 Alberto, P., "Acute toxicity test of leachate from traditional and sustainable landfills using luminescent bacteria" 26 (26): 1148-1155, 2006
26 Friedman, M., "A kinetic study of the ninhydrin reaction" 5 (5): 478-484, 1966
27 Baderna, D., "A combined approach to investigate the toxicity of an industrial landfill's leachate: Chemical analyses, risk assessment and in vitro assays" 111 (111): 603-613, 2011
PBD공법이 적용된 연약지반에서 운용 중인 시설물의 잔류침하거동
망간산화물이 코팅된 활성탄의 납 흡착특성에 관한 칼럼 실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6 | 0.26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9 | 0.46 | 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