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서원의 교육환경-세계유산 등재 전후 문화재청 정책과 서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Seowon’s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1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eowon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he use of seowon has been gradually revitalized starting with the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government in 2014 and the registration of the Korean seowon as a World Heritage Site in 2019. However,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on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and the use of seowon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ies before and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comprehensively reviews the recent educational programs at seowon to seek 'seowon’s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o this end, first, we will review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y prior to World Heritage listing, focusing on the purpose and nature of the ‘Creating a Living Hyanggyo and Seowon’ project. Second, changes, achievements and tasks i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ies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will be reviewed. Third, I would like to review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recent educational programs at seowon.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that UNESCO recognized the ‘OUV’ of Korean seowon is that seowon is ‘excellent cultural evidence that indigenously developed Neo-Confucianism that originated in China for Korea’. In other words, it is a meaningful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seowon into Joseon seowon’. Now, the most important task of our time is not to simply imitate and inherit the value of the seowon. It is about transforming and developing its value, reinterpreting and reinventing the seowon of the Joseon Dynasty into the seowon of the 21st centu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eowon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he use of seowon has been gradually revitalized starting with the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govern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eowon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he use of seowon has been gradually revitalized starting with the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government in 2014 and the registration of the Korean seowon as a World Heritage Site in 2019. However,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on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and the use of seowon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ies before and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comprehensively reviews the recent educational programs at seowon to seek 'seowon’s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o this end, first, we will review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y prior to World Heritage listing, focusing on the purpose and nature of the ‘Creating a Living Hyanggyo and Seowon’ project. Second, changes, achievements and tasks i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ies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will be reviewed. Third, I would like to review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recent educational programs at seowon.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that UNESCO recognized the ‘OUV’ of Korean seowon is that seowon is ‘excellent cultural evidence that indigenously developed Neo-Confucianism that originated in China for Korea’. In other words, it is a meaningful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seowon into Joseon seowon’. Now, the most important task of our time is not to simply imitate and inherit the value of the seowon. It is about transforming and developing its value, reinterpreting and reinventing the seowon of the Joseon Dynasty into the seowon of the 21st centu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태희, "향교・서원의 현대적 해석을 통한 활용 방안: 유교문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4 : 2014

      2 이현진, "탠저블 필로소피: 성학십도 VR" 청람 2020

      3 방미영, "지역문화자원으로서 유교문화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고찰 - 향교・서원 문화관광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41) : 99-114, 2019

      4 진성수, "전북지역 서원(書院)의 현대적 활용 방안" 원불교사상연구원 (70) : 263-294, 2016

      5 이상호, "영남지역 사례를 통해 본 서원 활용 방안 제언" 유학연구소 37 : 435-462, 2016

      6 "안동 하회마을 5년 연속 관광객 100만 돌파"

      7 "소수서원 홈페이지"

      8 문화재청,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중장기 보존・관리 및 활용계획"

      9 "성학십도 VR"

      10 (재)한국의 서원 통합보존관리단, "서원산책 창간 특집호"

      1 황태희, "향교・서원의 현대적 해석을 통한 활용 방안: 유교문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4 : 2014

      2 이현진, "탠저블 필로소피: 성학십도 VR" 청람 2020

      3 방미영, "지역문화자원으로서 유교문화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고찰 - 향교・서원 문화관광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41) : 99-114, 2019

      4 진성수, "전북지역 서원(書院)의 현대적 활용 방안" 원불교사상연구원 (70) : 263-294, 2016

      5 이상호, "영남지역 사례를 통해 본 서원 활용 방안 제언" 유학연구소 37 : 435-462, 2016

      6 "안동 하회마을 5년 연속 관광객 100만 돌파"

      7 "소수서원 홈페이지"

      8 문화재청,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중장기 보존・관리 및 활용계획"

      9 "성학십도 VR"

      10 (재)한국의 서원 통합보존관리단, "서원산책 창간 특집호"

      11 "병산서원 홈페이지"

      12 박동석, "문화재 활용 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 - 2016년 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 35 (35): 94-103, 2017

      13 "도산서원 홈페이지"

      14 김자운, "대전지역 향교서원의 선비정신과 문화콘텐츠"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15 "남계서원 홈페이지"

      16 하해빈, "공간형 콘텐츠 개념을 통해 살펴본 서원 활용 방안 연구-2016 살아숨쉬는 향교・서원 경북지역 서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 2014

      17 유영심, "강원도 향교・서원의 현대적 활용방안" 26 (26): 2019

      18 문화재청, "2022년도 향교. 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선정 목록"

      19 문화재청, "2018년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문화유산 유유자적, 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 95선"

      20 문화재청, "2017 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 87선"

      21 문화재청(활용정책과), "2016 ‘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 만들기’ 사업 공모 계획(안)"

      22 문화재청(활용정책과), "2015 ‘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 활용 사업 공모 계획(안)"

      23 "(재)한국의 서원 통합보존관리단 홈페이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