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기상황과 국가정보의 상관관계 연구 - 정보의 적시성과 정확성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risis Situation and National Intelli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8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tional crisis and intelligence have a close relationship. This is because intelligence can determine a crisis and switch to a crisis management system by intelligence, and intelligence can establish an effective response strategy. In the traditional viewpoint, a crisis can be called a 'urgent situation in which unexpected situations have occurred between countries are escalating tensions, and a situation that is not yet at the stage of war but is likely to escalate into a war.' That is why it is important to quickly switch to a crisis regime, which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rapid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intelligence. On the other hand, the accuracy of intelligence becomes even more important because after the transition to a crisis management system, the response to the other country's provocations and the counterresponse are repeated. However, for many reasons, intelligence is not disseminated in a timely, resulting in a delay in the time to declare a crisis, and in some cases, after the transition to a crisis management system, the accuracy of the intelligence compromised and the effective response is not possib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asons for the importance of crisis judgement and timeliness of intelligence, crisis management and accuracy of intelligence, and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imeliness and accuracy.
      번역하기

      The national crisis and intelligence have a close relationship. This is because intelligence can determine a crisis and switch to a crisis management system by intelligence, and intelligence can establish an effective response strategy. In the traditi...

      The national crisis and intelligence have a close relationship. This is because intelligence can determine a crisis and switch to a crisis management system by intelligence, and intelligence can establish an effective response strategy. In the traditional viewpoint, a crisis can be called a 'urgent situation in which unexpected situations have occurred between countries are escalating tensions, and a situation that is not yet at the stage of war but is likely to escalate into a war.' That is why it is important to quickly switch to a crisis regime, which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rapid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intelligence. On the other hand, the accuracy of intelligence becomes even more important because after the transition to a crisis management system, the response to the other country's provocations and the counterresponse are repeated. However, for many reasons, intelligence is not disseminated in a timely, resulting in a delay in the time to declare a crisis, and in some cases, after the transition to a crisis management system, the accuracy of the intelligence compromised and the effective response is not possib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asons for the importance of crisis judgement and timeliness of intelligence, crisis management and accuracy of intelligence, and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imeliness and accur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 위기와 정보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정보에 의해 위기를 판단하고 위기관리체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정보에 의해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 의미에서 위기란 ‘국가 간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여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긴박한 상황이며, 아직 전쟁단계는 아니지만 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속하게 위기체제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은 정보의 신속한 생산과 전파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한편, 위기관리 체제로 전환 이후에는 상대국의 도발에 대한 대응과 역대응이 반복되기 때문에 정보의 정확성이 더욱 중요해진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정보가 적시에 전파되지 못함으로써 위기선포 시간을 지연시켜 대응시간을 상실하기도 하며, 위기관리체제로 전환 이후에는 첩보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정확성이 저하되어 효과적인 대응을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기 판단과 정보의 적시성, 위기관리와 정보의 정확성이 중요한 이유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적시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국가 위기와 정보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정보에 의해 위기를 판단하고 위기관리체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정보에 의해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 의미...

      "국가 위기와 정보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정보에 의해 위기를 판단하고 위기관리체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정보에 의해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 의미에서 위기란 ‘국가 간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여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긴박한 상황이며, 아직 전쟁단계는 아니지만 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속하게 위기체제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은 정보의 신속한 생산과 전파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한편, 위기관리 체제로 전환 이후에는 상대국의 도발에 대한 대응과 역대응이 반복되기 때문에 정보의 정확성이 더욱 중요해진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정보가 적시에 전파되지 못함으로써 위기선포 시간을 지연시켜 대응시간을 상실하기도 하며, 위기관리체제로 전환 이후에는 첩보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정확성이 저하되어 효과적인 대응을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기 판단과 정보의 적시성, 위기관리와 정보의 정확성이 중요한 이유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적시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웅, "현대국가정보학" 박영사 2015

      2 합동참모본부, "합동정보"

      3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합동참모본부 1998

      4 徐廷舜, "한반도 군비통제 방안 : Tit-for-Tat 전략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1995

      5 김강무, "한국의 전략정보생산체제 문제점과 개선 방향 고찰" 한국국가정보학회 9 (9): 5-29, 2016

      6 김은기, "한·미 안보협력체제하에서 미국의 한반도 위기관리전략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3

      7 전웅, "첩보수집 수단의 유용성 비교: 인간정보와 기술정보를 중심으로" 한국국가정보학회 7 (7): 75-115, 2014

      8 김희상, "중동전쟁" 전광 1995

      9 정인흥, "정치학대사전" 박영사 1980

      10 서동구, "정보실패 최소화를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국가정보학회 6 (6): 101-136, 2013

      1 전웅, "현대국가정보학" 박영사 2015

      2 합동참모본부, "합동정보"

      3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합동참모본부 1998

      4 徐廷舜, "한반도 군비통제 방안 : Tit-for-Tat 전략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1995

      5 김강무, "한국의 전략정보생산체제 문제점과 개선 방향 고찰" 한국국가정보학회 9 (9): 5-29, 2016

      6 김은기, "한·미 안보협력체제하에서 미국의 한반도 위기관리전략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3

      7 전웅, "첩보수집 수단의 유용성 비교: 인간정보와 기술정보를 중심으로" 한국국가정보학회 7 (7): 75-115, 2014

      8 김희상, "중동전쟁" 전광 1995

      9 정인흥, "정치학대사전" 박영사 1980

      10 서동구, "정보실패 최소화를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국가정보학회 6 (6): 101-136, 2013

      11 육군본부, "정보"

      12 서정순, "전쟁원인론과 한반도의 연계성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7

      13 강성학, "유엔과 국제위기관리" 리북 1995

      14 심상용, "위기상황하의 정책분석과 정보의 역할에 관한 연구" 2 (2): 23-45, 2002

      15 김기중, "위기관리정책에서의 전략정보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4

      16 나기산, "위기 시 정책분석에 관한 연구" 35 (35): 129-152, 1992

      17 박종재, "안보정책 결정 과정에서 국가정보 생산자와 소비자 관계 고찰" 한국국가정보학회 7 (7): 7-58, 2014

      18 허태희, "미래 세계안보 및 정보환경 변화와 한국의 정보개혁방향" 2 (2): 41-93, 2009

      19 김명식, "미국에서의 국가정보 개념에 대한 논의" 미국헌법학회 20 (20): 377-407, 2009

      20 성낙양, "동아새국어사전" 두산동아 2011

      21 이기택, "국제정치사" 일신사 1993

      22 한용섭, "국방정책론" 박영사 2013

      23 윤태영, "국경안보체계와 국가정보의 역할" 6 (6): 85-128, 2013

      24 이기덕,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과제" 한국국가정보학회 6 (6): 165-214, 2013

      25 민진규, "국가정보학" 도서출판 배움 2010

      26 국가정보학회, "국가정보학" 박영사 2013

      27 최평길, "국가정보학" 박영사 2012

      28 한희원, "국가정보의 새로운 이해에 대한 연구: 정보 신이론과 현대적중요성" 3 (3): 123-154, 2010

      29 정찬권, "국가위기관리론" 대왕사 2012

      30 국가안전보장회의사무처,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서"

      31 김열수, "국가안보-위협과 취약성의 딜레마" 법문사 2010

      32 이용준, "게임의 종말, 북핵 협상 20년의 허상과 진실" 한울 2015

      33 Rosenau, James N., "World Politics an Introduction" Free Press 1976

      34 Nelson, Keith L., "Why W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9

      35 Kissinger, Henry, "White House Years" Simon &Schuster Paperbacks 1979

      36 Brown, Chris,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Palgrave Macmillan 2009

      37 Nye, Jr. Joseph S., "Understanding International Conflicts" Longman 2005

      38 Richelson, Jeffrey T., "The U.S. Intelligence Community" Ballinger 1985

      39 Sense, Paul D., "The Steps to War" Princetpn University Press 2008

      40 Northedge F.S., "The Foreign Politics of the Powers" The Free Press 1975

      41 Freedman, Lawrence, "The Evolution of Nuclear Strategy" The Macmillan Press 1968

      42 Deutsch, Karl W.,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Relations" Prenstice Hall 1978

      43 Weigley, Russel F., "The American Way of War-A History of United States Military Strategy and Policy" Indina University Press 1973

      44 Houghton, N. D., "Struggle Against History-U.S. foreign Policy in an Age of Revolution" A Clarion Book 1968

      45 Gaddis, John Lewis, "Strategies of Containment-A Critical Appraisal of Postwar American National Security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46 Kent, Sherman, "Strategic Intelligence for American World Poli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1

      47 Ellsberg, Daniel, "Secrets : A memoir of Vietnam and the Pentagon Paper" Penguin Books 2002

      48 Gelb, Leslie H., "Power Rules-How Common Sense Can Rescue American Foreign Policy" Haper Collins Publishers 2009

      49 Morgenthau, Hans J., "Politics Among Nations -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Alfred A. Knoff 1973

      50 Winham, Gilbert R., "New Issues in International Crisis Management" Westview Press 1988

      51 Midlarsky, Manus I., "Handbook of War Studies" Unwin Hyman 1989

      52 Lovell, John P., "Foreign Policy in perspective- Strategy Adaptation Decision Making"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970

      53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FM 34-52 Intelligence Interrogation"

      54 Allison, Graham, "Essence Decision-Explaining the Cuban Missile Crisis" Wesley Longman 1999

      55 Williams, Pill, "Crisis Management: Confrontation and Diplomacy in the Nuclear Age" Martin Robertson 1976

      56 Hermann, Charles F., "Crises in Foreign Policy : a Simulation Analysis" The Bobbs-Merrill Company, Inc 1969

      57 George, Alexander L., "Avoiding War: Problems fo Crisis Management" Westview Press 1991

      58 George, Roger Z., "Analyzing Intelligence-Origins, Obstacles, and Innovation" 한울아카데미 2010

      59 Betts, Richard K., "Analysis, War, and Decision: Why Intelligence Failures Are Inevitable" 31 (31): 88-, 1978

      60 Busan, Barry, "An Introduction to Strategic Studies- Military technolog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Macmillian Press 1987

      61 Jordan, Amos A., "American National Security- Policy and Proces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1

      62 Reichart, John F., "American Defense Polic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2

      63 Wright, Quincy, "A Study of Wa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64 전웅, "9/11 테러, 이라크 전쟁과 정보실패" 세종연구소 11 (11): 5-40, 2005

      65 정찬권, "21세기안보시대의 위기관리론" 대왕사 2012

      66 "2002년도 국회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속기록"

      67 "16대 국회 234차 국방위원회 속기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99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