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 傳統書藝에 內在된 生態的 思惟 = Ecological Thought in Traditional Calligraphy and Its Future Dir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437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書藝’는 글씨의 예술이다. 즉, 문자를 매개로 하여 자신의 사상과 정감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장르이다. 이를 광의적 측면에서 보면 藝와 道와 法과 學의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

      ‘書藝’는 글씨의 예술이다. 즉, 문자를 매개로 하여 자신의 사상과 정감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장르이다. 이를 광의적 측면에서 보면 藝와 道와 法과 學의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협의적 측면에서 보면 書藝 · 書道 · 書法 · 書學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협의적 개념에서의 ‘書藝’는 審美를 추구하고, ‘書道’는 人格陶治와 修養을 지향하며, ‘書法’은 法則과 理致를 중시하고, ‘書學’은 實技와 理論을 종합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이렇듯 서예는 예 · 도 · 법 · 학을 통해 형태의 아름다움을 탐색하는 동시에, 정신적으로 고상한 인격완성을 추구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물론 이러한 개념설정은 時空에 따라서 해석의 차이도 있다. 한국에서는 ‘서예’, 중국에서 ‘서법’, 일본에서는 ‘서도’라 지칭한다. 예컨대 한국에서 ‘서예’라고 명명했을 때 ‘서법’과 ‘서도’의 개념이 없지 않으며, 중국과 일본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특정 국가나 주창자가 지향하는 바에 따라 용어가 상이할 뿐, 내용적으로는 대동소이하다.
      한국의 전통서예는 실용의 목적에서 출발하여 점차 예술서예로 전이되었다. 물론 실용에서 시작하였더라도 이미 그 가운데 예술성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래서 실용성과 예술성을 명확하게 가늠할 수 없을 뿐더러, 구분할 성질의 것도 아니다. 굳이 한국 전통서예의 전개양상을 순차적으로 나열하자면 實用→藝術→實用中藝術로 정리할 수 있겠다.
      한국의 전통서예는 크게 기록의 수단, 수양의 방법, 심미의 대상으로써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즉, 학습과정에서 경전과 시문을 기록하는 일에서부터 각종 공문서나 서신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쓰였고 글씨를 쓰면서 정신을 집중시키는 동시에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는 역할도 하였으며, 단순한 書寫뿐만 아니라 아름다움을 추구함으로써 고상한 심미취향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한국의 전통서예는 삼국시대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우리민족의 정서와 특성에 맞도록 소화하여 萌芽 · 變化 · 定着되었다. 삼국시대는 ‘三國體’의 萌芽期로, 통일신라시대는 ??한 ‘統一新羅體’의 分化期로, 고려시대는 沈着한 ‘高麗體’의 形成期로, 조선시대는 典雅한 ‘朝鮮體’의 擡頭 · 成立 · 確立期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훈민정음의 창제(1443 년)로 인해 우리 고유의 한글서체가 새롭게 탄생되었으며, 한글서예는 창제이후 급속도로 전파되면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찬란한 문예의 꽃을 피우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변천과정에서 한국의 전통서예는 이른바 생태적 사유를 지향해왔다. 즉, 서예로써 藝術에 도달할 수 있다는 ‘以藝致藝論’, 서예로써 道理에 도달할 수 있다는 ‘以藝致道論’, 서예로써 法則에 도달할 수 있다는 ‘以藝致法論’, 서예로써 學問에 도달할 수 있다는 ‘以藝致學論’ 등이다. 우리는 이러한 한국 전통서예의 생태사상을 통해 우리 선조들이 남겨놓은 우수한 정신유산의 가치와 계승의 필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序言
      • 2. 韓國 傳統書藝의 展開樣相
      • 3. 韓國 傳統書藝의 生態思想
      • 4. 結語
      • 〈參考文獻〉
      • 1. 序言
      • 2. 韓國 傳統書藝의 展開樣相
      • 3. 韓國 傳統書藝의 生態思想
      • 4. 結語
      • 〈參考文獻〉
      • 김광욱 교수의 〈韓國 傳統書藝에 內在된 生態的 思惟〉에 대한 토론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