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VID-19 백신 보도의 정치화와 극화: 주요 언론의 사설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32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기술 위험 이슈에 대한 언론 보도의 정치화와 극화 연구는 최근 과학커뮤니케이션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정치화·극화된 언론 보도는 과학기술 위험 이슈를 정치 쟁...

      과학기술 위험 이슈에 대한 언론 보도의 정치화와 극화 연구는 최근 과학커뮤니케이션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정치화·극화된 언론 보도는 과학기술 위험 이슈를 정치 쟁점화하고 여론을 정파적으로 분화시켜 합리적인 여론 형성과 대안 도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이 연구는 현재 가장 첨예한 위험 이슈이자 과학기술적 쟁점인 COVID-19 백신과 관련된 주요 신문의 사설을 분석함으로써, 감염병 관련 언론 보도가 정치화 되고 극화된 양상을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전략 프레임의 비중과 정치인 취재원의 활용 정도를 통해 정치화를 분석했으며, 대상에 따른 논조 방향과 강도의 차이를 통해 보도의 극화 양상을 분석했다.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등 4개 언론사에 보도된 COVID-19 백신 관련 사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정치화 분석을 위해 전략 프레임 활용 정도를 살펴본 결과, 조선일보가 전략 프레임을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한 가운데, 나머지 언론사는 이슈의 책임 소재와 대안에 초점을 맞추는 이슈 프레임을 더 비중 있게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선일보가 전략 프레임으로 보도한 사설의 대부분은 백신 문제를 과학기술 위험 이슈가 아닌 제도정치권의 쟁점 사안으로 접근했다. 둘째, 취재원 분석 결과, 4개 언론사 모두 전체 취재원 대비 정치인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COVID-19 백신이 과학기술 및 의학적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정치인의 등장 비율이 높다는 점은 백신 보도의 정치화를 보여주는 단적인 특징이다. 셋째, 극화 분석 결과 4개 매체 모두 COVID-19 백신 관련 보도가 정치적으로 분화됐음을 확인했다. 단일 매체 내에서뿐만 아니라 매체 간에도 보도 대상의 정파성에 따라 논조의 방향이 상이해지는 양상이 관찰됐다. 이 결과를 토대로, COVID-19 백신 보도의 정치화와 극화가 여론 형성과 정책 결정에 미칠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liticization and polarization in the news cover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risk issues have recently emerged as a major concern for scientific communication researchers. Politicized and polarized media coverage may turn science/technology-based ri...

      Politicization and polarization in the news cover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risk issues have recently emerged as a major concern for scientific communication researchers. Politicized and polarized media coverage may turn science/technology-based risk issues into political controversies, leading public opinion divided along a partisan lin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d how the news coverage of the current pandemic has been politicized and polarized by analyzing the editorials of the COVID-19 vaccines published by the four leading national newspapers(Kyunghyang, Dong-A, Chosun, and Hankyoreh) from January 2020 to June 2021. Specifically, politicization was analyzed as the proportion of strategic frames and that of politicians utilized as major sources. Polarization was examined in terms of how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coverage tone differed depending on the partisan affiliation of the target of the ne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first, the Chosun Ilbo overwhelmingly used the strategic frame, while the rest of the newspapers mainly used issue frames focusing on responsibility and possible alternatives related to vaccine issues. In particular, most of the strategic editorials in the Chosun Ilbo approached the issue of the COVID-19 vaccine as a inter-political debate, rather than as a scientific risk issue.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atterns of sourcing, the proportion of politician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medical experts or other scientists in all four newspapers, which is a strong indicator of the politicization of the vaccine coverage. Third, the editorial"s tone(positive versus negative) was differentiated by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main target of the coverage. This was observed not only within a newspaper but also among newspape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of were discussed in detai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 1. 서론
      • 2.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영기, "한국 언론의 신종플루 보도 연구: 진단과 예후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30-54, 2011

      2 송현주, "정성 개념의 정교화와 정치 커뮤니이션 연구에서의 함의" 한국언론학회 11 (11): 176-212, 2015

      3 양정혜, "위험사회의 의미 구성하기 -국내 언론의 신종플루 프레이밍 방식 분석"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7) : 169-212, 2010

      4 김영욱,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5 심준섭,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5 (45): 173-202, 2011

      6 정운갑, "원자력 이슈에 대한 언론의 정파성 분석: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비교" 분쟁해결연구센터 14 (14): 5-37, 2016

      7 박주현, "언론의 이념성향에 따른 ‘코로나19’ 보도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회 64 (64): 40-85, 2020

      8 Daniel Goldstein, "Who Do You Trust? The Consequences of Partisanship and Trust in Government for Public Responsiveness to COVID-19" Elsevier BV 2020

      9 Nyhan B., "When Corrections Fail: The Persistence of Political Misperceptions" 32 (32): 303-310, 2010

      10 Hart, P. S., "Threat Without Efficacy? Climate Change on U.S. News" 36 (36): 325-351, 2014

      1 주영기, "한국 언론의 신종플루 보도 연구: 진단과 예후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30-54, 2011

      2 송현주, "정성 개념의 정교화와 정치 커뮤니이션 연구에서의 함의" 한국언론학회 11 (11): 176-212, 2015

      3 양정혜, "위험사회의 의미 구성하기 -국내 언론의 신종플루 프레이밍 방식 분석"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7) : 169-212, 2010

      4 김영욱,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5 심준섭,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5 (45): 173-202, 2011

      6 정운갑, "원자력 이슈에 대한 언론의 정파성 분석: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비교" 분쟁해결연구센터 14 (14): 5-37, 2016

      7 박주현, "언론의 이념성향에 따른 ‘코로나19’ 보도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회 64 (64): 40-85, 2020

      8 Daniel Goldstein, "Who Do You Trust? The Consequences of Partisanship and Trust in Government for Public Responsiveness to COVID-19" Elsevier BV 2020

      9 Nyhan B., "When Corrections Fail: The Persistence of Political Misperceptions" 32 (32): 303-310, 2010

      10 Hart, P. S., "Threat Without Efficacy? Climate Change on U.S. News" 36 (36): 325-351, 2014

      11 Gitlin, T., "The Whole World is Watch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12 Dunlap, R. E., "The Political Divide on Climate Change: Partisan Polarization Widens in the US. Environment" 58 : 4-23, 2016

      13 Rekker R., "The Nature and Origins of Political Polarization over Science" 30 (30): 352-368, 2021

      14 Bolsen, T., "The Influence of Partisan Motivated Reasoning on Public Opinion" 36 (36): 235-262, 2014

      15 Valkenburg, P. M., "The Effects of News Frames on Readers' Thoughts and Recall" 26 (26): 550-569, 1999

      16 Cappella, J. N., "The Cognitive Bases for Framing Effect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7 Iyengar, S., "Television News and Citizen’s Explanations of National Affairs" 81 : 815-831, 1987

      18 진달용, "TV 뉴스의 과학기술위험 보도태도 분석 : 부안과 경주 방폐장 TV뉴스 분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 (20): 5-45, 2012

      19 Klemm, C., "Swine Flu and Hype: A Systematic Review of Media Dramatization of the H1N1 Influenza Pandemic" 19 (19): 1-20, 2016

      20 Sears, D. O., "Selective Exposure to Information : A Critical Review" 31 (31): 194-213, 1967

      21 Beck, U., "Risk Society : Towards a New Modernity" Sage 1992

      22 Wilkins, L., "Risk Analysis and the Construction of News" 37 (37): 80-92, 1987

      23 Pew Research Center, "Republicans Remain Far Less Likely than Democrats to View COVID-19 as a Major Threat to Public Health"

      24 Iyengar, S., "Red Media, Blue Media: Evidence of Ideological Selectivity in Media Use" 59 (59): 19-39, 2009

      25 Prior, M., "Post-broadcast Democracy : How Media Choice Increases Inequality in Plitical Involvement and Polarizes Elec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6 Chinn, S., "Politicization and Polarization in Climate Change News Content, 1985-2017" 42 (42): 112-129, 2020

      27 Hart, P. S., "Politicization and Polarization in COVID-19 News Coverage" 42 (42): 679-697, 2020

      28 Slothuus, R., "Political Parties, Motivated Reasoning, and Issue Framing Effects" 72 (72): 630-645, 2010

      29 Marcus Painter, "Political Beliefs affect Compliance with COVID-19 Social Distancing Orders" Elsevier BV 2020

      30 Feldman, L., "Polarizing news? Representations of Threa and ㅜEfficacy in Leading US Newspapers' Coverage of Climate Change" 26 (26): 481-497, 2015

      31 Allcott, H., "Polarization and Public Health: Partisan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ing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NBER 2020

      32 Gadarian, S. K., "Partisanship, Health Behavior, and Policy Attitudes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VID-19 Pandemic" 2020

      33 Brüggemann, M., "Oxford Encyclopedia of Climate Change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34 Patterson, T., "Out of Order" Vintage Books 1993

      35 Druckman J. N., "No Need to Watch: How the Effects of Partisan Media can Spread via Interpersonal Discussions" 62 (62): 99-112, 2018

      36 Gamson, W. A., "Media Discourse and Public Opinion on Nuclear Power" 95 : 1-37, 1989

      37 Wimmer, R. D., "Mass Media Research: An Introduction" Wadsworth 1997

      38 Tuchman, G.,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Free 1978

      39 Iyengar, S.,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40 Dixon, G. N., "Heightening Uncertainty around Certain Science: Media Coverage, False Balance, and the Autism-Vaccine Controversy" 35 : 358-382, 2013

      41 Ungar, S., "Global Bird Flu Communication: Hot Crisis and Media Reassurance" 29 (29): 472-497, 2008

      42 Entman, R. M.,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43 (43): 51-58, 1993

      43 Scheufele, A., "Framing as a Theory of Media Effects" 49 (49): 103-122, 1999

      44 Semetko, H., "Framing European Politics : A Content Analysis of Press and Television News" 50 (50): 93-109, 2000

      45 Entman, R. M., "Framing Bias: Media in the Distribution of Power" 57 (57): 163-173, 2007

      46 Pan, Z., "Framing Analysis: An Approach to News Discourse" 10 (10): 5-75, 1993

      47 Goffman, E.,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48 Green, J., "Elusive Consensus : Polarization in Elite Communication on the COVID-19 Pandemic" 6 (6): eabc2717-, 2020

      49 Jamieson, K. H., "Echo Chamber : Rush Limbaugh and the Conservative Media Establish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50 Bolsen, T., "Counteracting the Politicization of Science" 65 : 745-769, 2015

      51 Edelman, M., "Constructing the Political Spectac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52 Boykoff., "Climate Change and Journalistic Norms: A Case-Study of US Mass-Media Coverage" 38 (38): 1190-1204, 2007

      53 Koehler, D. J., "Can Journalistic “False Balance” Distort Public Perception of Consensus in Expert Opinion?" 22 : 24-38, 2016

      54 World Health Organization, "COVID-19 Virtual Press Conference"

      55 Bennett, J., "Bringing Science to Life: A Synthesis of the Research Evidence on the Effects of Context-Based and STS Approaches to Science Teaching" 91 : 347-370, 2007

      56 Fallows, J., "Breaking the News: How American Media Undermine Democracy" 85 (85): 43-44, 1996

      57 Sabina Mihelj, "Audience Engagement with COVID-19 News: The Impact of Lockdown and Live Coverage, and the Role of Polarization" Informa UK Limited 1-19, 2021

      58 Gallup, "American’ Face Mask Usage Varies Greatly by Demographics"

      59 Rahn, W. M., "Activation and Application of Political Party Stereotypes : The Role of Television" 13 (13): 195-212, 1996

      60 Festinger, L.,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기술학연구회 -> 한국과학기술학회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6 1.08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