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연합(EU)의 입법절차에서 영향평가위원회 (the Impact Assessment Board)의 역할 및 운영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le and the Operation of the Impact Assessment Board in the European Union`s New Legislative Proces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법은 국가정책을 실현하고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법을 통하여 국민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좋은 법의 제정이 필요하며, 좋은 법을 제정하기 위해서는 입법과정에서 면밀한 입법영향평가(입법평가, 입법영향분석)이 요구된다. 1993년 11월 1일 정식 발족한 유럽연합(EU)의 주요 과제 중의 하나가 각종 규범의 개선이었다. 유럽연합에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의 결과 2003년 새로운 영향평가(impact assessment)제도를 도입하였다. 유럽연합의 영향평가제도는 입법제안과 정책제안을 모두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통상의 입법영향평가 보다는 넓다. 그리고 영향평가 대상의 약 70% 정도가 입법제안임을 고려할 때, 유럽연합의 영향평가는 실질적으로는 입법영향평가 제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유럽연합에서는 유럽위원회(the European Commission)가 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영향평가보고서를 준비하는데, 유럽위원회의 영향평가제도의 실무적 운영을 돕기 위하여 2005년 6월 15일 영향평가가이드라인(Impact Assessment Guidelines)을 제정하였다. 그리고 영향 평가에 대한 독립적인 질적 통제 및 질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2006년 말에 “영향평가 위원회(Impact Assessment Board)”를 설치하였다. 영향평가위원회의 설치목적은 유럽위원회의 영향평가에 대해 독립적인 질적 통제를 하고 유럽위원회의 영향평가를 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영향평가위원회는 “영향평가위원회 절차규칙(Rules for Procedure of the Impact Assessment Board)”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영향평가위원회는 정책입안 부서(policy making departments)와는 독립적이며, 유럽위원회의 각 담당부서가 준비한 모든 영향평가 보고서 초안에 대하여 질적 수준을 심사하고, 영향평가의 개선사항에 대한 권고를 포함하는 의견서(opinion)를 채택하여 영향평가기관에 제출하고 발표한다. 영향평가위원회는 심사를 위한 회의를 개최할 수 있는데,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된다. 영향평가위원회의 의견서는 구속력은 없지만, 영향평가위원회의 의견서와 최종 영향평가보고서는 유럽위원회의 전 의사결정과정에서 정책제안(입법제안)서에 수반되어지며, 정책제안(입법제안)이 채택되면 대중에게 공표된다. 2010년 9월 유럽감사원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영향평가위원회는 영향평가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데 기여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유럽정책연구소(the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 (CEPS))의 연구결과에서도 유럽위원회는 영향평가제도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영향평가위원회의 설치는 영향평가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에서도 멀지 않아 일부 제한적으로 입법영향평가제도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입법유럽연합의 영향평가제도 및 영향평가위원회는 유럽연합의 입법절차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입법 영향평가를 제도화할 때, 영향평가위원회의 설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법은 국가정책을 실현하고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법을 통하여 국민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좋은 법의 제정이 필요...

      법은 국가정책을 실현하고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법을 통하여 국민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좋은 법의 제정이 필요하며, 좋은 법을 제정하기 위해서는 입법과정에서 면밀한 입법영향평가(입법평가, 입법영향분석)이 요구된다. 1993년 11월 1일 정식 발족한 유럽연합(EU)의 주요 과제 중의 하나가 각종 규범의 개선이었다. 유럽연합에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의 결과 2003년 새로운 영향평가(impact assessment)제도를 도입하였다. 유럽연합의 영향평가제도는 입법제안과 정책제안을 모두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통상의 입법영향평가 보다는 넓다. 그리고 영향평가 대상의 약 70% 정도가 입법제안임을 고려할 때, 유럽연합의 영향평가는 실질적으로는 입법영향평가 제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유럽연합에서는 유럽위원회(the European Commission)가 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영향평가보고서를 준비하는데, 유럽위원회의 영향평가제도의 실무적 운영을 돕기 위하여 2005년 6월 15일 영향평가가이드라인(Impact Assessment Guidelines)을 제정하였다. 그리고 영향 평가에 대한 독립적인 질적 통제 및 질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2006년 말에 “영향평가 위원회(Impact Assessment Board)”를 설치하였다. 영향평가위원회의 설치목적은 유럽위원회의 영향평가에 대해 독립적인 질적 통제를 하고 유럽위원회의 영향평가를 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영향평가위원회는 “영향평가위원회 절차규칙(Rules for Procedure of the Impact Assessment Board)”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영향평가위원회는 정책입안 부서(policy making departments)와는 독립적이며, 유럽위원회의 각 담당부서가 준비한 모든 영향평가 보고서 초안에 대하여 질적 수준을 심사하고, 영향평가의 개선사항에 대한 권고를 포함하는 의견서(opinion)를 채택하여 영향평가기관에 제출하고 발표한다. 영향평가위원회는 심사를 위한 회의를 개최할 수 있는데,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된다. 영향평가위원회의 의견서는 구속력은 없지만, 영향평가위원회의 의견서와 최종 영향평가보고서는 유럽위원회의 전 의사결정과정에서 정책제안(입법제안)서에 수반되어지며, 정책제안(입법제안)이 채택되면 대중에게 공표된다. 2010년 9월 유럽감사원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영향평가위원회는 영향평가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데 기여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유럽정책연구소(the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 (CEPS))의 연구결과에서도 유럽위원회는 영향평가제도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영향평가위원회의 설치는 영향평가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에서도 멀지 않아 일부 제한적으로 입법영향평가제도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입법유럽연합의 영향평가제도 및 영향평가위원회는 유럽연합의 입법절차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입법 영향평가를 제도화할 때, 영향평가위원회의 설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도, "주요국가의 입법평가 관련제도(Ⅰ) (EU의 영향평가제도)" 한국법제연구원 2007

      2 강현철, "입법평가제도화를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한국법제연구원 2012

      3 윤계형, "입법평가 적용사례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2

      4 김기표, "입법영향평가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5 김기표, "입법영향평가의 명칭과 개념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법제연구원 (5) : 2011

      6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영향분석을 통한 좋은 법률 만들기" 국회입법조사처 2012

      7 윤계형, "유럽연합의 입법절차와 영향평가" 한국법제연구원 (5) : 2011

      8 박균성, "유럽연합과 프랑스에서의 입법영향평가" 유럽헌법학회 (2) : 2007

      9 "The Evaluation Partnership, Evaluation of the Commission’s Impact Assessment System" 2007

      10 "The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 CEPS Working Document ‘Regulatory quality in the European Commission and the UK: Old questions and new findings’"

      1 박영도, "주요국가의 입법평가 관련제도(Ⅰ) (EU의 영향평가제도)" 한국법제연구원 2007

      2 강현철, "입법평가제도화를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한국법제연구원 2012

      3 윤계형, "입법평가 적용사례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2

      4 김기표, "입법영향평가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5 김기표, "입법영향평가의 명칭과 개념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법제연구원 (5) : 2011

      6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영향분석을 통한 좋은 법률 만들기" 국회입법조사처 2012

      7 윤계형, "유럽연합의 입법절차와 영향평가" 한국법제연구원 (5) : 2011

      8 박균성, "유럽연합과 프랑스에서의 입법영향평가" 유럽헌법학회 (2) : 2007

      9 "The Evaluation Partnership, Evaluation of the Commission’s Impact Assessment System" 2007

      10 "The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 CEPS Working Document ‘Regulatory quality in the European Commission and the UK: Old questions and new findings’"

      11 European Court of Auditors, "Impact assessments in the EU institutions: do they support decision-making?" 2010

      12 Criag Robertson, "Impact Assessment in the European Union" 한국법제연구원 2008

      13 한국법제연구원, "Dr. Craig Robertson’s Impact Assessment in the European Union 번역" 한국법제연구원 2008

      14 European Commission, "Communication from the European Commission on Better Regulation for Growth and Jobs in the European Union of 16 March 2005, COM(2005) 97 final" European Commission 2013

      15 European Commission,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on Impact Assessment"

      16 European Commission, "Action plan "Simplifying and improving the regulatory environ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ongik law re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0.69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