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과 한국 문화 적응 양상 연구 = A study on Korean proficiency and Uzbek students’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60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advanced level of Korean among Uzbek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he results of an in-depth interview with three Uzbek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Uzbek students learned Korean through acquaintances and media even before coming to Korea and showed strength in speaking but difficulty in writ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Second, Uzbek students regularly interacted and formed close relationships with Koreans. Third, Uzbek students had a high understanding of Korean food-related idioms and culture, tried to actively accept Korean-style personnel culture, and above all, enjoyed Korean dramas.
      However, they were not familiar with the culture of young Koreans who spoke informally and quickly when they became close. Fourth, Uzbek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adapt to food containing pork for religious reasons, and they felt awkward because the Korean language learned in their hometown or through the media was radically different from that used by young Koreans. They also had difficulties dealing with school administration and adapting to portal sites, and they faced substantial difficulties getting a part-time job.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advanced level of Korean among Uzbek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he results of an in-depth interview with three Uzbek students are as follow...

      This study explored th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advanced level of Korean among Uzbek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he results of an in-depth interview with three Uzbek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Uzbek students learned Korean through acquaintances and media even before coming to Korea and showed strength in speaking but difficulty in writ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Second, Uzbek students regularly interacted and formed close relationships with Koreans. Third, Uzbek students had a high understanding of Korean food-related idioms and culture, tried to actively accept Korean-style personnel culture, and above all, enjoyed Korean dramas.
      However, they were not familiar with the culture of young Koreans who spoke informally and quickly when they became close. Fourth, Uzbek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adapt to food containing pork for religious reasons, and they felt awkward because the Korean language learned in their hometown or through the media was radically different from that used by young Koreans. They also had difficulties dealing with school administration and adapting to portal sites, and they faced substantial difficulties getting a part-time job.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유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중 한국어 고급 수준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한 한국 문화 적응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3명의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에 오기 전부터 한국어를 지인과 미디어를 통해 익혔고,말하기에 강점을 보였으나 글쓰기와 한자 습득에 어려움을 보였다.둘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인과 정기적으로 교류하며 친밀한 관계 형성하고 있었다.셋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 음식과 관련된 관용구와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편이었으며,한국식 인사 문화에도 잘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고,무엇보다 한국의 드라마를 좋아하였다.그러나 친해지면 우즈베키스탄보다 반말을 빠르게 사용하는 한국 젊은이들의 문화에는 익숙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넷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가 들어간 음식은 적응하기가 어렵다고 하였고,고향에서 배우거나 미디어를 통해 배운 한국어와 실제 한국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말이 많이 달라 어색함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이들은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부분에서는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학교 행정이나 포털 사이트 적응에 어려움을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유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중 한국어 고급 수준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한 한국 문화 적응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3명의 우즈베키스탄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유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중 한국어 고급 수준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한 한국 문화 적응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3명의 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에 오기 전부터 한국어를 지인과 미디어를 통해 익혔고,말하기에 강점을 보였으나 글쓰기와 한자 습득에 어려움을 보였다.둘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인과 정기적으로 교류하며 친밀한 관계 형성하고 있었다.셋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한국 음식과 관련된 관용구와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편이었으며,한국식 인사 문화에도 잘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고,무엇보다 한국의 드라마를 좋아하였다.그러나 친해지면 우즈베키스탄보다 반말을 빠르게 사용하는 한국 젊은이들의 문화에는 익숙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넷째,우즈베키스탄 학생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가 들어간 음식은 적응하기가 어렵다고 하였고,고향에서 배우거나 미디어를 통해 배운 한국어와 실제 한국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말이 많이 달라 어색함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이들은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부분에서는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학교 행정이나 포털 사이트 적응에 어려움을 보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진호, "홀리스틱 교육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4 (14): 23-42, 2010

      2 "한국교육개발원(KDI) 통계자료"

      3 신경림, "질적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4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5 Merriam, S. B.,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교우사 2005

      6 갈라노바딜노자 ; 김영순,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이 경험한 상호문화소통의 공간별 의미 탐색"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65-87, 2021

      7 김영순,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인문사회 21 8 (8): 547-564, 2017

      8 아지조바 피루자,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17-531, 2018

      9 장미선 ; 이숙진 ; 남은영 ; 박혜란, "우즈베키스탄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다문화연구소 12 : 89-105, 2022

      10 최권진,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한국언어문화 적응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3 : 151-178, 2019

      1 고진호, "홀리스틱 교육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4 (14): 23-42, 2010

      2 "한국교육개발원(KDI) 통계자료"

      3 신경림, "질적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4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5 Merriam, S. B.,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교우사 2005

      6 갈라노바딜노자 ; 김영순,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이 경험한 상호문화소통의 공간별 의미 탐색"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65-87, 2021

      7 김영순,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인문사회 21 8 (8): 547-564, 2017

      8 아지조바 피루자,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17-531, 2018

      9 장미선 ; 이숙진 ; 남은영 ; 박혜란, "우즈베키스탄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다문화연구소 12 : 89-105, 2022

      10 최권진,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한국언어문화 적응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3 : 151-178, 2019

      11 아지조바 피루자 ; 오영훈,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대학생활에서의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55-382, 2019

      12 압둘라예바 닐루파르 ; 고장완, "우즈베키스탄 대학원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 분석"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10 (10): 67-86, 2019

      13 최은숙,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4 (14): 223-251, 2017

      14 박은경,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와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1 (1): 113-139, 2011

      15 장미정, "대학 생활 문화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의 교육 요구도 분석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63-784, 2019

      16 민혜경 ; 이영희, "국내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문화충격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76) : 321-350, 2020

      17 최문홍 ; Nilufar, Djabbarova, "Uzbek Study-Abroad Students’ Motivation,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L2 Korean Proficiency" 인문과학연구소 44 (44): 123-148, 2023

      18 Berry, J. W.,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 a new society" 30 : 69-85, 1992

      19 Berry, J. W.,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3 (3): 291-326,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