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저동맥 동맥류에 대한 치료 결과 = Treatment Results for Basilar Artery Aneurys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533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우리는 지난 2년간 기저동맥에 발생한 파열성과 비파열성 뇌동맥류의 최신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혈관내 수술과 미세현미경 수술로 기저동맥 뇌동맥류를 치료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분석을 하였다. 90% 이상 막힌 경우를 성공적인 색전술로 정의하였다. 임상결과는 6개월에 글라스고우 결과 등급으로 측정하였으며, 추적 혈관촬영은 6 - 12개월에 시행하였다.
      결과 : 헌터와 헤스 등급에 기초하여, 환자군은 비파열성 뇌동맥류 환자 8명 (38.1%) 을 포함하여, 2등급 3명, 3등급, 6명, 4등급,2명, 5등급 2명이었다. 미세현미경하 동맥류 결찰술은 3명의 파열성 뇌동맥류 환자들에게 시행되었으며, 나머지 다른 환자는 혈관내 수술방법으로 치료하였다. 임상결과는 글라스고우 결과 등급 5등급이 5명 (38.5%) 이었고, 4등급은 1명 (7.7%), 3등급은 3명 (23.1%) 으로 나타났으며, 2명 (15.4%) 의 환자는 사망하였다. 혈관내 수술을 받은 환자들 중, 10명(55.6%) 에서 성공적인 색전술을 보였다. 추적 혈관 촬영에서 재교통은 3명 (17.6%) 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환자들은 추가적인 혈관내 수술을 통하여 재치료를 받았다.
      결론 : 혈관내 코일 색전술은 기저동맥 동맥류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수술적인 치료 방법은 파열된 뇌동맥류의 제한적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번역하기

      목적 : 우리는 지난 2년간 기저동맥에 발생한 파열성과 비파열성 뇌동맥류의 최신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혈관내 수술과 미세현미경 수술로 기저...

      목적 : 우리는 지난 2년간 기저동맥에 발생한 파열성과 비파열성 뇌동맥류의 최신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혈관내 수술과 미세현미경 수술로 기저동맥 뇌동맥류를 치료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분석을 하였다. 90% 이상 막힌 경우를 성공적인 색전술로 정의하였다. 임상결과는 6개월에 글라스고우 결과 등급으로 측정하였으며, 추적 혈관촬영은 6 - 12개월에 시행하였다.
      결과 : 헌터와 헤스 등급에 기초하여, 환자군은 비파열성 뇌동맥류 환자 8명 (38.1%) 을 포함하여, 2등급 3명, 3등급, 6명, 4등급,2명, 5등급 2명이었다. 미세현미경하 동맥류 결찰술은 3명의 파열성 뇌동맥류 환자들에게 시행되었으며, 나머지 다른 환자는 혈관내 수술방법으로 치료하였다. 임상결과는 글라스고우 결과 등급 5등급이 5명 (38.5%) 이었고, 4등급은 1명 (7.7%), 3등급은 3명 (23.1%) 으로 나타났으며, 2명 (15.4%) 의 환자는 사망하였다. 혈관내 수술을 받은 환자들 중, 10명(55.6%) 에서 성공적인 색전술을 보였다. 추적 혈관 촬영에서 재교통은 3명 (17.6%) 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환자들은 추가적인 혈관내 수술을 통하여 재치료를 받았다.
      결론 : 혈관내 코일 색전술은 기저동맥 동맥류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수술적인 치료 방법은 파열된 뇌동맥류의 제한적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We report our recent treatment results of ruptured and unruptured basilar artery aneurysms during the last 2 year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21 patients with basilar artery aneurysms managed with endovascular and microsurgical treatment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8. Successful embolization was defined as more than 90% occlusion. Clinical outcome was evaluated using the Glasgow Outcome Scale (GOS) at 6 months, and follow-up angiography was obtained at 6 to 12 months. RESULTS: Based on the Hunt and Hess grading scale, the patient population included 8 patients (38.1%) with unruptured aneurysms, 3 patients with grade II, 6 with grade III, 2 with grade IV, and 2 with grade V. Microsurgical clipping was done in 3 patients with ruptured aneurysms, and the other patients were treated by the endovascular method. Clinical outcome was revealed 5 patients (38.5%) with GOS 5, 1 (7.7%) with GOS 4, 3 (23.1%) with GOS 3, and 2 patients (15.4%) died. Of all the patients that underwent endovascular treatment, 10 patients (55.6%) had successful embolization. On angiographic follow-up, recanalizations developed in 3 patients (17.6%) and these patients were treated by repeat embolizations. CONCLUSIONS: Endovascular coil embolization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in basilar artery aneurysms although occasionally require repeat embolizations. Surgical treatment was indicated in restricted number of ruptured cases.
      번역하기

      OBJECTIVES: We report our recent treatment results of ruptured and unruptured basilar artery aneurysms during the last 2 year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21 patients with basilar artery aneurysms managed with endovascular and ...

      OBJECTIVES: We report our recent treatment results of ruptured and unruptured basilar artery aneurysms during the last 2 year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21 patients with basilar artery aneurysms managed with endovascular and microsurgical treatment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8. Successful embolization was defined as more than 90% occlusion. Clinical outcome was evaluated using the Glasgow Outcome Scale (GOS) at 6 months, and follow-up angiography was obtained at 6 to 12 months. RESULTS: Based on the Hunt and Hess grading scale, the patient population included 8 patients (38.1%) with unruptured aneurysms, 3 patients with grade II, 6 with grade III, 2 with grade IV, and 2 with grade V. Microsurgical clipping was done in 3 patients with ruptured aneurysms, and the other patients were treated by the endovascular method. Clinical outcome was revealed 5 patients (38.5%) with GOS 5, 1 (7.7%) with GOS 4, 3 (23.1%) with GOS 3, and 2 patients (15.4%) died. Of all the patients that underwent endovascular treatment, 10 patients (55.6%) had successful embolization. On angiographic follow-up, recanalizations developed in 3 patients (17.6%) and these patients were treated by repeat embolizations. CONCLUSIONS: Endovascular coil embolization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in basilar artery aneurysms although occasionally require repeat embolizations. Surgical treatment was indicated in restricted number of ruptured c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Material and Methods
      • Results
      • Results of microsurgical clipping
      • Results of endovascular treatment
      • Introduction
      • Material and Methods
      • Results
      • Results of microsurgical clipping
      • Results of endovascular treatment
      • Retreatment
      • Discussion
      • Clinical outcomes of endovascular treatment
      • Angiographic outcomes of endovascular treatment
      • Conclusion
      • 국문초록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