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공간연출 디자인 요소에 적용된 미술적 모티브 이미지에 관한 연구 -“-graph”와 “iconology”의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rt-Images Applied to Elements of Space Design as a Visual Motif -from the Viewpoint of “-graph” and “ico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42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seek cases of Art-Images which was applied to Elements of Display Design & Space Design as a visual motif after defining of Art-Image as a visual Motif and Elements of Display Design. Recently, in the field of design, there is a growing trend which is based on rejection a fixed style such as, classic, modern, post-modern, etc. and supports of high-tech industries, many designers try therefore to apply art images to their design as a visual motif. The art image can be an important keyword of a design motif because the art had existed since a human history began, and verified as beautiful and valuable works. It is no wonder that people feel familiar and closer looking at popular art works, for examples, Gogh`s Sunflower`, Mondrian`s `Composition` or Salvador Dali`s `The persistence of memory`. Based on the reason, the art-image has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deriving sympathy from a design as a design motif or visual motif. So this study has analyzed cases of art-images which is applied to elements of display design from the view point of `-graph` and `iconology` which relate to the semiotic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seek cases of Art-Images which was applied to Elements of Display Design & Space Design as a visual motif after defining of Art-Image as a visual Motif and Elements of Display Design. Recently, in the field of design, there is a gr...

      This study aimed to seek cases of Art-Images which was applied to Elements of Display Design & Space Design as a visual motif after defining of Art-Image as a visual Motif and Elements of Display Design. Recently, in the field of design, there is a growing trend which is based on rejection a fixed style such as, classic, modern, post-modern, etc. and supports of high-tech industries, many designers try therefore to apply art images to their design as a visual motif. The art image can be an important keyword of a design motif because the art had existed since a human history began, and verified as beautiful and valuable works. It is no wonder that people feel familiar and closer looking at popular art works, for examples, Gogh`s Sunflower`, Mondrian`s `Composition` or Salvador Dali`s `The persistence of memory`. Based on the reason, the art-image has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deriving sympathy from a design as a design motif or visual motif. So this study has analyzed cases of art-images which is applied to elements of display design from the view point of `-graph` and `iconology` which relate to the semio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홍,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외피의 복합적 의미체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2 이주영, "현대 디스플레이 표현에 있어서 미술사조와의 상호 연계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산업대학원 1998

      3 김춘일, "조형의 기초와 분석" 미진사 1996

      4 정한나, "정크아트(Junk Art)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5 한재용, "정보기기류의 전시ㆍ판매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95

      6 김윤배, "세미오틱디자이너 & 이미지전략가를 위한 시각이미지 읽고쓰기" 미담북스 2004

      7 김철중, "설치미술적 조형특성을 적용한 도시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7

      8 "두산백과사전"

      9 권희선, "데스틸의 조형원리에 대한 이해와 실내환경 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94

      10 신상연, "공공 엔터렉티브 미디어 시스템(EMS)정보표현 지원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7

      1 김도홍,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외피의 복합적 의미체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2 이주영, "현대 디스플레이 표현에 있어서 미술사조와의 상호 연계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산업대학원 1998

      3 김춘일, "조형의 기초와 분석" 미진사 1996

      4 정한나, "정크아트(Junk Art)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5 한재용, "정보기기류의 전시ㆍ판매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95

      6 김윤배, "세미오틱디자이너 & 이미지전략가를 위한 시각이미지 읽고쓰기" 미담북스 2004

      7 김철중, "설치미술적 조형특성을 적용한 도시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7

      8 "두산백과사전"

      9 권희선, "데스틸의 조형원리에 대한 이해와 실내환경 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94

      10 신상연, "공공 엔터렉티브 미디어 시스템(EMS)정보표현 지원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7

      11 권영걸, "공간디자인 16講" 도서출판 국제 2001

      12 Kazuaki Seki, "速度空間-일본 인테리어의 諸相" 六耀社 1990

      13 "http://www.yankodesign.com/2009/06/30/pop-up-box-in-a-crate"

      14 "http://www.tvian.com/Popup/tviews_print.aspx?newsidx=1474"

      15 "http://www.telegraph.co.uk/sport/rugbyunion/club/3174591"

      16 "http://www.superfuture.com/supernews/?m=200903&paged=2"

      17 "http://www.superfuture.com/supernews/?m=200903&paged=2"

      18 "http://www.potfest.co.uk/parkreview07.htm"

      19 "http://www.potfest.co.uk/parkreview07.htm"

      20 "http://www.metamanda.com/blog/archives/beautification"

      21 "http://www.koweekly.co.uk/news.php?code=&mode=view&num=6405&page=2"

      22 "http://www.koweekly.co.uk/news.php?code=&mode=view&num=6405&page=2"

      23 "http://www.ilounge.com/index.php/gallery/image_med/16481"

      24 "http://www.icantwaittovote.org/blog/handbags-and-purses/chanel-yves-klein-bleu-patent-python."

      25 "http://www.flatlandonsphericalspace.com"

      26 "http://www.designhousestockholm.com/collection/furniture/umbrella_stand.html"

      27 "http://www.askoxford.com"

      28 "http://www.artinliverpool.com/blog/2010/01/kandinsky-on-stage-at-lipa"

      29 "http://style-files.com/page/11"

      30 "http://printeresting.wordpress.com/2008/08"

      31 "http://olofjakobina.blogspot.com/2008/09/innskotsbor-fr-1927.html"

      32 "http://kimair.blogspot.com/2005_09_01_archive.html"

      33 "http://homegallerydesign.com/?s=judd"

      34 "http://happy.design.co.kr/in_magazine"

      35 Noël Riley, "The Elements of Design" Mitchell Beazley 2003

      36 John F.Pile, "Interior Design, 4th edition" Pearson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Essays on Floral Art
      KCI등재후보
      2005-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8 0.3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