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공무원 보직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여성공무원 보직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ntecedents of Position Satisfaction among Women Public Service in the Local Gove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58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지방자치단체 남녀 공무원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보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직배치의 공정성, 승진과의 연계성, 보직의 중요도, 보직배치의 장애요인 등이 도출되었으며, 보직배치의 공정성과 보직의 중요도가 보직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 성별 보직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인식은 크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응답자의 직급이 높을수록 보직만족도가 높았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보직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보직관리에 있어서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급이나 성별 차이보다는 업무특성과 개인의 역량에 따른 공정한 경력개발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지방자치단체 남녀 공무원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보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직배치의 공정성, 승...

      본 연구는 보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지방자치단체 남녀 공무원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보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직배치의 공정성, 승진과의 연계성, 보직의 중요도, 보직배치의 장애요인 등이 도출되었으며, 보직배치의 공정성과 보직의 중요도가 보직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 성별 보직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인식은 크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응답자의 직급이 높을수록 보직만족도가 높았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보직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보직관리에 있어서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급이나 성별 차이보다는 업무특성과 개인의 역량에 따른 공정한 경력개발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2005 survey, this study compares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osition satisfaction of local public service, and offers implications for effective rotation and position distribution practices in Korea. This study shows that perceived equity in position rotation and perceived position importance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o the level of position satisfaction. In addition to that finding, the grade level in the organization positively affects position satisfaction, and male respondents perceive higher level of position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Being sensitive to how organizational level and gender difference affect position satisfaction, each local governments should prepare for the worst scenario carefully. The authors emphasize that more objective system be employed in the local government that can enable position rotation by job characteristics, individual career objectives, and individual competencies.
      번역하기

      Based on 2005 survey, this study compares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osition satisfaction of local public service, and offers implications for effective rotation and position distribution practices in Korea. This study shows that perceived ...

      Based on 2005 survey, this study compares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osition satisfaction of local public service, and offers implications for effective rotation and position distribution practices in Korea. This study shows that perceived equity in position rotation and perceived position importance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o the level of position satisfaction. In addition to that finding, the grade level in the organization positively affects position satisfaction, and male respondents perceive higher level of position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Being sensitive to how organizational level and gender difference affect position satisfaction, each local governments should prepare for the worst scenario carefully. The authors emphasize that more objective system be employed in the local government that can enable position rotation by job characteristics, individual career objectives, and individual competenc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문제 제기
      •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 연구
      • Ⅲ. 연구 설계
      • Ⅳ. 여성공무원 보직만족도 영향요인
      • 초록
      • Ⅰ. 문제 제기
      •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 연구
      • Ⅲ. 연구 설계
      • Ⅳ. 여성공무원 보직만족도 영향요인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