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후방 십자인대 대치형 Medial Pivot Knee와 Nexgen(R) LPS 슬관절 전치환술의 단기 추시 결과 비교 = A Comparison of the Short-term Results between the PCL Sacrificing Medial Pivot Knee and Nexgen(R) LPS Total Knee Arthroplasty후방 십자인대 대치형 Medial Pivot Knee와 Nexgen(R) LPS 슬관절 전치환술의 단기 추시 결과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2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후방 십자 인대 대치형 (PCL sacrificing, PS) Medial Pivot Knee (MPK)와 Nexgen(R) LPS 슬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PS ADVANCE(R) MPK (1군)와 Nexgen(R) LPS (2군)...

      목적: 후방 십자 인대 대치형 (PCL sacrificing, PS) Medial Pivot Knee (MPK)와 Nexgen(R) LPS 슬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PS ADVANCE(R) MPK (1군)와 Nexgen(R) LPS (2군)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고 2년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군 48명 70예와 2군 45명 67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후 운동범위, 슬관절 점수와 기능 점수, 대퇴경골간 내외반 변형 및 술 후 합병증에 관해 알아보았다. 결과: 슬관절 운동범위는 제 1군에서 술 전 평균 굴곡구축 6.3o, 후속굴곡 116.4o에서 술후 1.9o, 120.5o로, 제 2군에서 각각 술 전 12.6o, 117.6o에서 술 후 0.9o, 123.0o로 향상되었다. 슬관절 점수와 기능 점수는 제 1군에서 각각 46점, 37점에서 87점, 83점으로, 제 2군에서 각각 50점, 48점에서 87점, 83점으로 호전되었다. 대퇴 경골간 각은 제 1군에서 평균 내반 4.0o에서 외반 5.5o로, 제 2군에서 내반 4.1o에서 외반 5.3o로 개선되었다. 합병증으로 1군에서 슬개 치환물 주변의 슬개골 골절 2예(2.8%)와 경골 치환물의 실패 1예 (1.4%)가 있었으며, 2군에서 대퇴골 치환물의 조기 실패 1예(1.5%)와 관절섬유증 1예(1.5%)가 있었다. 결론: PS MPK 슬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2년 이상의 추시 결과 Nexgen(R) LPS와 유사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대퇴부의 골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치환물인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perform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the PCL sacrificing (PS) Medial Pivot Knee (MPK) and the Nexgen(R) LP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knees in 48 patients after T...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perform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the PCL sacrificing (PS) Medial Pivot Knee (MPK) and the Nexgen(R) LP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knees in 48 patients after TKA with the PS ADVANCE(R) MPK (group I) and 67 knees in 45 patients with the Nexgen(R) LPS (group II)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All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2 years. The evaluations include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ROM), the Knee Society (KS) scores, the tibiofemoral angle an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For group I, the ROM increased from a mean flexion contracture of 6.3o and further flexion of 116.4o to 1.9o and 120.5o, respectively, and for group II, from 12.6o and 117.6o to 0.9o and 123.0o, respectively. For group I, the KS knee and function scores increased from 46 and 37 to 87 and 83, respectively, and for group II, from 50 and 48 to 87 and 83, respectively. For group I, the tibiofemoral angle changed from varus 4.0o to valgus 5.5o, respectively, and for group II, from varus 4.1o to valgus 5.3o, respectively. The complications were 2 knees (2.8%) with periprosthetic patellar fractures and 1 knee (1.4%) with a tibial component failure in group I, and 1 knee (1.5%) with early femoral component failure and 1 knee with arthrofibrosis (1.5%) in group II. Conclusion: The minimum 2-year follow-up results of PS MPK TKA were comparable to those of Nexgen(R) LPS TKA. However, we think that the MPK system has the advantage of more bony preservation at the femoral intercondylar notch are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