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년층의 기회 공정성 인식 분절화: 지역과 젠더 관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년의 교육기회와 취업기회 공정성 인식이 청년 집단 내 분화되는 양상과 원인을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2019년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군집분석과 다항로짓분석으로 20∼30대 청년 3,058명을 분석한 결과, 첫째, 청년층의 교육기회와 취업기회 공정성 인식이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음이 포착된다. 군집분석 결과를 개괄적으로 정리해보면, 3명중 1명은 두 기회가 모두 대체로 공정하다고 인식하지만, 다른 1명은 두 기회중 하나만 대체로 공정하다고 평가하고, 나머지 한명은 두 기회 모두 대체로 불공정하거나 매우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적지 않은 청년들이 기회 불공정에 따른 누적적 영향을 체감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기회 공정성 인식에서 지역 효과가 발견된다. 비수도권 청년이 수도권 청년보다 상대적으로 교육기회와 취업기회를 더 불공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비수도권 청년이 현실을 불공정한 불평등으로 생각하고 있을 개연성을 보여준다. 셋째, 기회 공정성 인식의 지역 효과가 젠더별로 차별화되고 있다. 거주지역과 젠더를 교차하여 분석한 결과, 비수도권 청년남성은 두 기회가 모두 전혀 공정하지 않다고 볼 가능성이 큰 반면에, 비수도권 청년여성은 두 기회 모두 별로 공정하지 않다고 인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파악된다. 수도권 청년여성이 교육기회는 약간 공정하나 취업기회는 별로 공정하지 않다고 인식할 확률이 높은 반면에, 수도권 청년남성은 교육기회는 별로 공정하지 않으나 취업기회는 약간 공정하다고 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기회 공정성 인식이 계층지위 의존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 생각할수록 기회가 공정하게 주어지고 있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다. 청년층 계층인식이 하향화 추세라면 기회 불공정 인식과 불평 등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확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년의 교육기회와 취업기회 공정성 인식이 청년 집단 내 분화되는 양상과 원인을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2019년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군집분석과 다항...

      본 연구는 청년의 교육기회와 취업기회 공정성 인식이 청년 집단 내 분화되는 양상과 원인을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2019년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군집분석과 다항로짓분석으로 20∼30대 청년 3,058명을 분석한 결과, 첫째, 청년층의 교육기회와 취업기회 공정성 인식이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음이 포착된다. 군집분석 결과를 개괄적으로 정리해보면, 3명중 1명은 두 기회가 모두 대체로 공정하다고 인식하지만, 다른 1명은 두 기회중 하나만 대체로 공정하다고 평가하고, 나머지 한명은 두 기회 모두 대체로 불공정하거나 매우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적지 않은 청년들이 기회 불공정에 따른 누적적 영향을 체감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기회 공정성 인식에서 지역 효과가 발견된다. 비수도권 청년이 수도권 청년보다 상대적으로 교육기회와 취업기회를 더 불공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비수도권 청년이 현실을 불공정한 불평등으로 생각하고 있을 개연성을 보여준다. 셋째, 기회 공정성 인식의 지역 효과가 젠더별로 차별화되고 있다. 거주지역과 젠더를 교차하여 분석한 결과, 비수도권 청년남성은 두 기회가 모두 전혀 공정하지 않다고 볼 가능성이 큰 반면에, 비수도권 청년여성은 두 기회 모두 별로 공정하지 않다고 인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파악된다. 수도권 청년여성이 교육기회는 약간 공정하나 취업기회는 별로 공정하지 않다고 인식할 확률이 높은 반면에, 수도권 청년남성은 교육기회는 별로 공정하지 않으나 취업기회는 약간 공정하다고 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기회 공정성 인식이 계층지위 의존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 생각할수록 기회가 공정하게 주어지고 있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다. 청년층 계층인식이 하향화 추세라면 기회 불공정 인식과 불평 등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확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nd why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fairnes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may be differentiated and fragmented from the social structure perspective. Using data from the ‘2019 Social Integration Survey’, we examine them with cluster analysis and multilogistic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es about 3,058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young people’s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is diverse. One in three perceives that both opportunities are broadly fair, another third considers one of them fair and the others think both opportunities unfair. Second, geographical effects are found to significant in the perception of fairness of opportunity. Results show young people in metropolitan areas perceive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more fair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s less unfair than those in non-metropolitan areas. Third, the geographical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opportunity is differentiated by gender. Young men from non-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view both opportunities as not fair at all, whereas young women from non-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both opportunities as not very fair. Young women from 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educational opportunities are slightly fair but employment opportunities are not very fair, whereas young men in 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view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not very fair but job opportunities as slightly fair. Finally, the perception of fairness of opportunity is found to be dependent on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one’s socioeconomic status is perceived, the higher the likelihood that one will view that opportunities are being given fairly. If the downward trend in the perception of class among young people continues, it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of inequity of opportunity will be strengthened and doubts over the legitimacy of inequality may be increas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nd why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fairnes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may be differentiated and fragmented from the social structure perspective. Using data from the ‘2019 Social In...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nd why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fairnes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may be differentiated and fragmented from the social structure perspective. Using data from the ‘2019 Social Integration Survey’, we examine them with cluster analysis and multilogistic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es about 3,058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young people’s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is diverse. One in three perceives that both opportunities are broadly fair, another third considers one of them fair and the others think both opportunities unfair. Second, geographical effects are found to significant in the perception of fairness of opportunity. Results show young people in metropolitan areas perceive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more fair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s less unfair than those in non-metropolitan areas. Third, the geographical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opportunity is differentiated by gender. Young men from non-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view both opportunities as not fair at all, whereas young women from non-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both opportunities as not very fair. Young women from 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educational opportunities are slightly fair but employment opportunities are not very fair, whereas young men in metropolitan areas are more likely to view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not very fair but job opportunities as slightly fair. Finally, the perception of fairness of opportunity is found to be dependent on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one’s socioeconomic status is perceived, the higher the likelihood that one will view that opportunities are being given fairly. If the downward trend in the perception of class among young people continues, it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of inequity of opportunity will be strengthened and doubts over the legitimacy of inequality may be increa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이론적 논의
      • Ⅲ.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이론적 논의
      • Ⅲ.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우진, "환경의 불평등과 개인 성취의 불평등 샤플리값 분해 방법의 적용" 1-21, 2016

      2 김재우, "한국인의 주관적 사회계층,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삶의 만족도: 성별・연령집단별 매개과정과 조절작용" 한국행정연구소 57 (57): 97-127, 2019

      3 한준, "한국의 사회동향 2020" 통계청 358-366, 2020

      4 박종민,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 나남출판 153-196, 1997

      5 신동준, "한국사회의 공정성 1990∼2011"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65-193, 2013

      6 이성균, "한국사회 고등학생의 기회불평등의식" 사회과학연구소 47 (47): 3-26, 2016

      7 신지섭, "한국노동패널과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한 소득기회불평등의 장기추세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학회 69 (69): 51-95, 2021

      8 신광영, "한국 중장년 세대 내 불평등과 격차" 사회과학연구소 47 (47): 53-74, 2016

      9 김성식, "학생 배경에 따른 대학진학 기회의 차이: 성별, 가정배경, 지역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9 (9): 27-47, 2008

      10 변금선,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의 계층화- 1970-80년대 출생코호트의 청년기 노동궤적 비교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113-137, 2018

      1 이우진, "환경의 불평등과 개인 성취의 불평등 샤플리값 분해 방법의 적용" 1-21, 2016

      2 김재우, "한국인의 주관적 사회계층,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삶의 만족도: 성별・연령집단별 매개과정과 조절작용" 한국행정연구소 57 (57): 97-127, 2019

      3 한준, "한국의 사회동향 2020" 통계청 358-366, 2020

      4 박종민,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 나남출판 153-196, 1997

      5 신동준, "한국사회의 공정성 1990∼2011"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65-193, 2013

      6 이성균, "한국사회 고등학생의 기회불평등의식" 사회과학연구소 47 (47): 3-26, 2016

      7 신지섭, "한국노동패널과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한 소득기회불평등의 장기추세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학회 69 (69): 51-95, 2021

      8 신광영, "한국 중장년 세대 내 불평등과 격차" 사회과학연구소 47 (47): 53-74, 2016

      9 김성식, "학생 배경에 따른 대학진학 기회의 차이: 성별, 가정배경, 지역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9 (9): 27-47, 2008

      10 변금선,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의 계층화- 1970-80년대 출생코호트의 청년기 노동궤적 비교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113-137, 2018

      11 김현철, "학교급별 소득효과 제거 사교육비 시계열의 변동양상" 한국교육개발원 47 (47): 63-98, 2020

      12 권혁진, "청년층의 학교에서 고용으로의 이행 특성: 성・학력별 이행과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31, 2011

      13 박미희,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유형과 그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21-49, 2014

      14 이희정, "청년층 계층인식 변화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학회 52 (52): 119-164, 2018

      15 이희정, "청년여성의 학교-직장 이행 유형과 결정요인 연구" 한국인구학회 42 (42): 27-63, 2019

      16 권수빈, "청년세대 연구에 지역이라는 교차로 놓기:‘지방대학생/지방청년’에 관한 학술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평화연구소 7 (7): 53-90, 2020

      17 김선기, "청년 연구과제 개발을 위한기초연구: 연구동향의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고함20 청년연구소 2016

      18 김이수,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공정성 인식의 결정요인에 관한탐색적 연구: 국회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123-152, 2016

      19 홍성우, "지방대학 여대생의 노동시장 이행과정 분석" 한국지역사회학회 20 (20): 55-69, 2012

      20 추주희, "좌절과 불안을 마주하는 지역청년들의 대응과 전략: 구직 중 ‘자기반성’ 서사를 중심으로" 한국융합인문학회 8 (8): 141-168, 2020

      21 황경식, "존 롤스의 정의론" 쌤앤파커스 2018

      22 성문주, "젠더와 교육기회 불평등: 고등교육 이수기회에 나타난 젠더와 가족배경 효과" 여성학연구소 4 (4): 7-42, 2011

      23 권혁진,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24 추주희, "전남지역 청년여성의 고용 불안과 일 경험에 대한 연구" 여성연구소 27 (27): 105-148, 2017

      25 구교준, "우리는 기회가 균등한 사회에 살고 있는가?" 한국행정연구소 54 (54): 31-59, 2016

      26 신동준, "우리 사회는 공정한가: 통계와 사례로 바라본 한국 사회의 공정성" 한국경제신문 한경BP 161-218, 2012

      27 조정인, "소득분배의 불평등과 기회 불평등 인식이 한국인들의 재분배정책 선호에 끼치는 영향력" 한국정치정보학회 17 (17): 175-196, 2014

      28 조귀동, "세습중산층 사회" 생각의 힘 2020

      29 신광영, "서문 《생애주기별 기회불평등 연구》" 동그라미재단 1-7, 2016

      30 이병훈, "사회계층의식의 변동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70) : 111-140, 2006

      31 최필선, "부모의 교육과 소득수준이 세대 간 이동성과 기회불균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22 (22): 31-56, 2015

      32 문정주, "배제의 법칙으로서의 입시제도: 사회적 계층 수준에 따른 대학 입시제도 인식 분석" 한국사회학회 53 (53): 175-215, 2019

      33 조동현, "무엇이 한국인을 불행하게 만드는가?: 소득불평등, 기회불평등, 그리고 행복의 균열구조"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1 (31): 5-39, 2016

      34 강우진, "무엇이 기회균등 인식을 결정하는가?" 한국정당학회 19 (19): 37-61, 2020

      35 김은선, "대학생의 기회불평등인식이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8 (8): 115-136, 2018

      36 조옥라, "대학생은 어떻게 ‘을’의식을 갖게 되었는가?: 서울 소재 대학생들에 대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26 (26): 245-295, 2018

      37 김영철, "대학 진학 격차의 확대와 기회형평성 제고방안" 23 : 2012

      38 류유선, "대전지역 여대생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좋은 일자리’정책방안 연구》" 대전세종연구원 2018

      39 이순미, "노동경력과 가족경로 분석을 통해 본 청년기 연장(long youth)의 젠더 차이" 한국여성학회 33 (33): 181-244, 2017

      40 김문길, "기회의 불평등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41 방하남, "기회와 불평등 : 고등교육 기회에 있어서 사회계층간 불평등의 분석" 한국사회학회 36 (36): 193-222, 2002

      42 권혁용, "기회균등지수연구" 동그라미재단 2015

      43 이병훈,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157-179, 2017

      44 최영준, "교육 불평등 해소방안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71) : 165-202, 2014

      45 장상수, "교육 기회의 불평등 : 가족 배경이 학력 성취에 미치는 영향" 34 (34): 671-708, 2000

      46 박원익, "공정하지 않다-90년대생들이 정말 원하는 것" 지와인 2019

      47 김영미,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사회과학연구소 47 (47): 27-52, 2016

      48 교육부, "경제·사회 양극화에 대응한 교육복지 정책의 방향과 과제"

      49 오성재, "가구환경과 교육성취의 기회: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이용한 연구" 한국재정학회 9 (9): 1-32, 2016

      50 정성조, "‘청년 세대’ 담론의 비판적 재구성: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23) : 12-39, 2019

      51 Anderson, E. S., "What is the Point of Equality?" 109 (109): 287-337, 1999

      52 Dworkin, R., "What is Equality? Part 2: Equality of Resources" 10 (10): 283-345, 1981

      53 Scheffler, S., "What is Egalitrianism?" 31 (31): 5-39, 2003

      54 Ferreira, F. H., "The Measurement of Inequality of Opportunity: Theory and an Application to Latin America" 57 (57): 622-657, 2011

      55 Dworkin, R., "Sovereign Virtue: The Theory and Practice of Equalit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56 Kim, H., "Socioeconomic Status, Perceived Inequality of Opportunity, and Attitudes toward Redistribution" 55 (55): 300-312, 2018

      57 Jost, J. T., "Political Conservatism as Motivated Social Cognition" 129 (129): 339-375, 2003

      58 Cohen, G. A., "On the Currency of Egalitarian Justice" 99 (99): 906-944, 1989

      59 Rawls, J., "Justice as Fairness: A Restate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60 Checchi, D.,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Italy" 8 (8): 429-450, 2010

      61 Shepelak, N. J., "Ideological Stratification: American Beliefs about Economic Justice" 3 (3): 217-231, 1989

      62 Roemer, J. E., "Handbook of Income Distribution Vol. 2A" Elsevier 217-300, 2015

      63 Fleurbaey, M., "Ex Ante Versus Ex Post Equality of Opportunity" 80 (80): 118-130, 2013

      64 Arneson, R. J., "Equality and Equal Opportunity for Welfare" 56 (56): 77-93, 1989

      65 Chambers, C., "Each Outcome is Another Opportunity: Problems with the Moment of Equal Opportunity" 8 (8): 374-400, 2009

      66 이희정, "Civil Repair and Boundary Tension Between Civil Sphere and Economic Sphere: The Cases of Credit Amnesty and Credit Information Breach" 한국문화사회학회 23 : 47-100, 2017

      67 Fishkin, J., "Bottlenecks: A New Theory of Equal Opportun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68 Kluegel, J. R., "Beliefs about Stratification" 7 (7): 29-56, 1981

      69 Rawls, J.,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70 Roemer, J. E., "A Pragmatic Theory of Responsibility for the Egalitarian Planner" 22 (22): 146-166, 1993

      71 통계청, "2020 청소년 통계"

      72 신우진, "2000년 이후 한국의 기회불평등 추이" 한국국제경제학회 21 (21): 83-108,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2.07 2.56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