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재가돌봄 상황에서 공식돌봄서비스는 어떻게 활용되나?: 가족주돌봄제공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이 노인재가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노인을 돌보는 가족이 현재 공식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량은 어떤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와 활용시간을 종속변수로 하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2018년 한국 노인 및 아동돌봄 가족조사 자료의 499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노인의 기능제한, 주돌봄자의 돌봄기간과 돌봄선호시간량,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도움과, 다른 가족원의 돌봄분담 기여도이었다. 공식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에서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주돌봄자가 여성인 경우, 나이가 어린 경우, 그리고 주돌봄자의 실제돌봄시간이 길수록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이 짧았다. 즉 가구의 돌봄가용력이 존재할 경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이 제한되는 상황이다. 그에 비해,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돌봄지원이 존재하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은 길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이 공식돌봄서비스와 공조하고 있는 가족의 맥락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인 돌봄이 공식돌봄과 조율되는 과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이 노인재가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노인을 돌보는 가족이 현재 공식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이 노인재가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노인을 돌보는 가족이 현재 공식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량은 어떤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와 활용시간을 종속변수로 하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2018년 한국 노인 및 아동돌봄 가족조사 자료의 499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노인의 기능제한, 주돌봄자의 돌봄기간과 돌봄선호시간량,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도움과, 다른 가족원의 돌봄분담 기여도이었다. 공식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에서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주돌봄자가 여성인 경우, 나이가 어린 경우, 그리고 주돌봄자의 실제돌봄시간이 길수록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이 짧았다. 즉 가구의 돌봄가용력이 존재할 경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이 제한되는 상황이다. 그에 비해,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돌봄지원이 존재하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은 길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이 공식돌봄서비스와 공조하고 있는 가족의 맥락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인 돌봄이 공식돌봄과 조율되는 과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nd when families decide to utilize formal care services. This study used data of 499 family caregivers employed from 2018 Korean Elderly and Child Care Family Survey. Based o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elderly’s bad health status, the longer duration of caregiving, and the shorter hours of the preferred time of the main caregive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using formal care service and the amount of hours used for paid servic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lderly recipients’ LTCI grade, duration of care, preferred amount of care time, other family memeber’s financial and intstrumental support was associated with formal care service utility. Tobit analysis revealed that caregiver’s sex, age, and the amount of actual care hours ar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ormal care service utility. If the caregiver was female, relatively young, and spent longer care hours, care service hours were short. However, the hours of use of care services were long if there was financial help from other family members. Results ma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and context of coordinating formal care with informal family ca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nd when families decide to utilize formal care services. This study used data of 499 family caregivers employed from 2018 Korean Elderly and Child Care Family Survey. Based on the logistic regression m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nd when families decide to utilize formal care services. This study used data of 499 family caregivers employed from 2018 Korean Elderly and Child Care Family Survey. Based o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elderly’s bad health status, the longer duration of caregiving, and the shorter hours of the preferred time of the main caregive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using formal care service and the amount of hours used for paid servic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lderly recipients’ LTCI grade, duration of care, preferred amount of care time, other family memeber’s financial and intstrumental support was associated with formal care service utility. Tobit analysis revealed that caregiver’s sex, age, and the amount of actual care hours ar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ormal care service utility. If the caregiver was female, relatively young, and spent longer care hours, care service hours were short. However, the hours of use of care services were long if there was financial help from other family members. Results ma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and context of coordinating formal care with informal family ca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Ⅰ.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현, "한국여성 노인의 가족 돌봄과 생활만족도" 한국인구학회 39 (39): 49-70, 2016

      2 김정석,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분석" 30 (30): 1-24, 2007

      3 임정기, "재가노인요양서비스 종류별 이용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6 (16): 193-234, 2009

      4 유선영,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가족의 부양죄책감과 우울" 한국노인간호학회 16 (16): 276-287, 2014

      5 모선희,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가족의 부양부담 변화"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40) : 7-31, 2013

      6 윤현옥,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노인돌봄 가족의 돌봄 부담과 삶의 질에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2019

      7 이석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부양자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4 (14): 157-194, 2012

      8 김영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이용자 가족의 가족관계만족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재가서비스 이용자가족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6) : 115-136, 2012

      9 이진숙,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가족의 돌봄부담을 완화하는가? : 현금급여와 가족요양보호사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6 (26): 126-150, 2014

      10 이진아,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가 수급자 가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근로와 여가활동 경험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70) : 81-112, 2015

      1 김주현, "한국여성 노인의 가족 돌봄과 생활만족도" 한국인구학회 39 (39): 49-70, 2016

      2 김정석,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분석" 30 (30): 1-24, 2007

      3 임정기, "재가노인요양서비스 종류별 이용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6 (16): 193-234, 2009

      4 유선영,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가족의 부양죄책감과 우울" 한국노인간호학회 16 (16): 276-287, 2014

      5 모선희,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가족의 부양부담 변화"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40) : 7-31, 2013

      6 윤현옥,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노인돌봄 가족의 돌봄 부담과 삶의 질에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2019

      7 이석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부양자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4 (14): 157-194, 2012

      8 김영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이용자 가족의 가족관계만족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재가서비스 이용자가족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6) : 115-136, 2012

      9 이진숙,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가족의 돌봄부담을 완화하는가? : 현금급여와 가족요양보호사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6 (26): 126-150, 2014

      10 이진아,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가 수급자 가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근로와 여가활동 경험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70) : 81-112, 2015

      11 김복남,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들의 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12 박금령, "노인의 미충족 돌봄과 미충족 의료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40-56, 2018

      13 통계청, "노인의 기능 상태 제한 현황"

      14 김은정, "노인의 가족유형별 돌봄서비스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22 (22): 1-30, 2010

      15 정진경,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의 선택경험과 돌보미와의 관계의 질이 서비스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67) : 7-32, 2015

      16 이승호, "노인 재가서비스의 확대가 가족의 생활시간에 미친 영향: 삼중차이 방법의 적용" 한국사회정책학회 23 (23): 227-256, 2016

      17 신경아, "노인 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 재가노인과 시설거주 노인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회 45 (45): 64-96, 2011

      18 최희경, "노부모를 돌보는 아들의 돌봄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5) : 7-32, 2012

      19 염지혜, "노노(老老)케어의 빛과 그늘: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269-297, 2016

      20 이순미, "남성노인의 배우자 돌봄에 대한 연구: 부부가구 노인의 생애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1 (21): 63-94, 2009

      21 차승은,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본 노년기 여성의 배우자 돌봄경험" 한국가족치료학회 29 (29): 59-87, 2021

      22 김미연, "공적 노인돌봄제도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8 (8): 93-114, 2019

      23 함선유,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관계- 재가 노인 돌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203-225, 2017

      24 하석철, "고독사 위험과 대비에 대한 인식이 독거노인의 시설 돌봄 선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4 (74): 147-176, 2019

      25 양난주, "가족요양보호사의 발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가족은 왜 요양보호사가 되었나?"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97-129, 2013

      26 Geerts, J., "Transitions in Formal and Informal Care Utilization amongst Older Europeans: The Impact of National Contexts" 9 (9): 27-37, 2012

      27 Jiménez-Martín, S., "The Trade-off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are in Spain" 13 (13): 461-490, 2012

      28 Da Roit, B., "The Netherlands: The Struggle between Universalism and Cost Containment" 20 (20): 228-237, 2012

      29 Li, Y., "The Impact of Private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Use of Long-term Care" 48 (48): 34-50, 2011

      30 Lera, J., "Socioeconomic Inequality in the Use of Long-Term Care among European Older Adults:An Empirical Approach Using the SHARE Survey" 18 (18): 20-,

      31 Floridi, G.,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ome-care Use Across Regional Long-term Care Systems in Europe" 76 (76): 121-132, 2021

      32 한성윤, "SERVQUAL 모형을 통한 노인돌봄서비스 이용자만족도요인분석" 155-167, 2012

      33 Twigg, J., "Models of Carers: How Do Social Care Agencies Conceptualise Their Relationship with Informal Carers?" 18 (18): 53-66, 1989

      34 Firgo, M., "Informal, Formal, or Both? Assessing the Drivers of Home Care Utilization in Austria Using a Simultaneous Decision Framework" 52 (52): 4440-4456, 2020

      35 Suanet, B., "Informal and Formal Home-care Use among Older Adults in Europe: Can Cross-national Differences be Explained by Societal Context and Composition?" 32 (32): 491-515, 2012

      36 Zigante, V., "Informal Care in Europe: Exploring Formalisation, Availability and Quality" European Commission 4-38, 2018

      37 Van Houtven, C. H., "Informal Care and Medicare Expenditures: Testing for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s" 27 (27): 134-156, 2008

      38 Van Houtven, C. H., "Informal Care and Health Care Use of Older Adults" 23 (23): 1159-1180, 2004

      39 Bakx, P., "Going Formal or Informal, Who Cares? The Influence of Public Long term Care Insurance" 24 (24): 631-643, 2015

      40 Lyons, K. S., "Formal and Informal Support: The Great Divide" 14 (14): 183-192, 1999

      41 Wija, P., "Formal and Informal Long-term Care and the Role of Family Carers: Czech Republic" 10 (10): 233-244, 2015

      42 Paraponaris, A., "Formal and Informal Care for Disabled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An Appraisal of French Care Composition and Costs" 13 (13): 327-336, 2012

      43 Bonsang, E., "Does Informal Care from Children to their Elderly Parents Substitute for Formal Care in Europe?" 28 (28): 143-154, 2009

      44 Carrino, L., "Demand of Long‐term Care and Benefit Eligibility across European Countries" 27 (27): 1175-1188, 2018

      45 국민건강보험, "2020 상반기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2.07 2.56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