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중고령기 재취업 일자리 결정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주된 일 퇴직 후 재취업을 ‘임금근로직 재취업’과 ‘비임금근로직 재취업’ 경로로 나누고, 경쟁사건사 분석을 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79695
2021
Korean
고령자 ; 재취업 ; 주된 일 ; 경쟁사건사 분석 ; the Old-aged ; Reemployment ; Major Career Job ; Competing Risk Analysis
KCI등재
학술저널
1-22(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고령기 재취업 일자리 결정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주된 일 퇴직 후 재취업을 ‘임금근로직 재취업’과 ‘비임금근로직 재취업’ 경로로 나누고, 경쟁사건사 분석을 하였...
이 연구는 중고령기 재취업 일자리 결정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주된 일 퇴직 후 재취업을 ‘임금근로직 재취업’과 ‘비임금근로직 재취업’ 경로로 나누고, 경쟁사건사 분석을 하였다. 활용한 자료는 한국노동패널 6~19차 데이터이며, 분석 대상은 노동패널 제6차 부가조사 시점(2003년)에 만 50~68세인 중고령자로 당시 생애 주된 일자리에 취업하고 있던 자 중 그 이후 퇴직한 776명이다. 이들의 주된 일 퇴직과 재취업 이력을 패널 데이터를 통해 총 13년간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노동이력의 경로의존성 경향은 종사상지위에 따라 나타난다. 즉, 생애 주된 일이 상용직 등 임금근로직인 중고령자는 다시 임금근로자로 조기 재취업하고, 자영업에 종사했던 자는 비임금근로직으로 빠르게 재취업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둘째, 중고령자 재취업 노동시장이 저학력 비임금근로직 중심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고학력자가 임금근로직으로 진입하는 효과는 없는 가운데, 비임금근로직에는 저학력자가 더 빨리 흡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가구 부채는 비임금근로직 재취업 발생 속도를 높여줄 뿐, 임금근로직 재취업에는 영향력이 없다. 이는 중고령자가 부채를 통해 새 사업을 시작하고 있을 가능성을 드러낸다. 넷째,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은 임금근로직과 비임금근로직 재취업에 모두 통계적 영향력을 미치지 못해 그 효과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중고령 인구의 인적자본이 노동시장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향후 사업 역량이 부족한 중고령자를 위한 창업 코칭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한편, 이들의 역량과 취업 욕구를 반영한 차별화된 직업훈련 과정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nalysis aims to investigate factors contributing to reemployment of old-aged workers under competing risk model. It is assumed that reemployment as a wage worker is the only event that competes with that as a self-employed worker after leaving a...
This analysis aims to investigate factors contributing to reemployment of old-aged workers under competing risk model. It is assumed that reemployment as a wage worker is the only event that competes with that as a self-employed worker after leaving a major career job. The data are drawn from the 6~19th waves files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arget population group is composed of the 776 persons aged 50 to 68 in 2003, who worked at the major career jobs then and left the careers after that time. Their career histories are tracked for thirteen years through the panel data. First, path dependency of unretirement process after lifetime career appears to the target population. The effect that workers reenter the same work statuses occurs to the employed and the self-employed. Second, the Korean labor market for the aged is structured by the low-educated and the self-employed. The high-educated are hard to rework as wage workers, and the low-educated are rapidly absorbed in the self-employed occupation. Third, those having household debts have higher failure rates of getting self-employed. Lastly, job training program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for reemployment as a wage worker and a non-wage worker at the stage of elder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2000"
2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2000"
3 김안국, "직업이동의 구조 분석-일 성격의 루틴/비루틴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4
4 이주영, "중・고령자의 주된 일 퇴직과 재취업 동학 분석 : 1997년 외환위기와 연공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9 (29): 29-62, 2020
5 박경숙, "중장년기 종사상 지위와 은퇴 과정의 다양성" 24 (24): 177-205, 2001
6 강순희, "중고령자 재취업의 결정요인, 일자리 만족도 및 고용안정성" 한국취업진로학회 6 (6): 112-135, 2016
7 장지연, "중고령자 노동시장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8 신동균, "중고령 남성 근로자들의 점진적 은퇴행위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9 (9): 1-41, 2009
9 박중호, "준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 및 욕구특성에 관한 연구 - 직업군인 전역자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87-97, 2012
10 박예은, "재취업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좋은 일자리 진입 영향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235-257, 2016
1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2000"
2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2000"
3 김안국, "직업이동의 구조 분석-일 성격의 루틴/비루틴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4
4 이주영, "중・고령자의 주된 일 퇴직과 재취업 동학 분석 : 1997년 외환위기와 연공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9 (29): 29-62, 2020
5 박경숙, "중장년기 종사상 지위와 은퇴 과정의 다양성" 24 (24): 177-205, 2001
6 강순희, "중고령자 재취업의 결정요인, 일자리 만족도 및 고용안정성" 한국취업진로학회 6 (6): 112-135, 2016
7 장지연, "중고령자 노동시장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8 신동균, "중고령 남성 근로자들의 점진적 은퇴행위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9 (9): 1-41, 2009
9 박중호, "준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 및 욕구특성에 관한 연구 - 직업군인 전역자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87-97, 2012
10 박예은, "재취업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좋은 일자리 진입 영향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235-257, 2016
11 성지미, "자영업 선택과 성과 간의 관계: 경력 초기 자영업 선택의 장기효과" 한국노동연구원 11 (11): 53-80, 2011
12 Beuret, L., "스위스의 실업 예방과 구직자 및 고용주 지원체계" 한국고용정보원 2018
13 박경숙, "노동시장의 연령차별구조와 고연령층의 취업생활" 23 (23): 241-263, 2000
14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참고1: 저소득 자영업자 대출 현황 및 건전성점검" 2019
15 박경숙, "고연령층의 직업이동과 소득수준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2002
16 방하남, "강요된 선택 :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재취업의 동학분석" 한국사회학회 45 (45): 73-108, 2011
17 Blanchflower, D. G., "What Makes an Entrepreneur?" 16 (16): 26-60, 1998
18 Bates, T., "The Changing Nature of Minority Business: A Comparative Analysis of Asian, Nonminority, and Black-owned Businesses" 18 (18): 25-42, 1989
19 Fairlie, R. W., "The Absence of the African-American Owned Business:An Analysis of the Dynamics of Self-Employment" 17 (17): 80-108, 1999
20 Taylor, M. P., "Survival of the Fittest? An Analysis of Self-Employment Duration in Britain" 109 (109): 140-155, 1999
21 Holtz-Eakin, D., "Sticking it Out:Entrepreneurial Survival and Liquidity Constraints" 102 (102): 53-75, 1994
22 Haapanen, M., "Self-employment Duration in Urban and Rural Locations" 41 (41): 2449-2461, 2009
23 Hout, M., "Self-Employment, Family Background, and Race" 35 (35): 670-692, 2000
24 통계청, "Self-Employment in Britain: When, Who and Why?" 11 : 139-173, 2004
25 Jovanovic, B., "Selection and the Evolution of Industry" 50 (50): 649-670, 1982
26 Pikios, D., "Putting Skills to Work in the Digital Labor Market" 한국고용정보원 2018
27 OECD, "Pensions at a glance" OECD Publishing 2019
28 Georgellis, Y., "Pecuniary and Non-pecuniary Aspects of Self-employment Survival" 47 (47): 94-112, 2007
29 Brüderl, J., "Network Support and the Success of Newly Founded Businesses" 10 (10): 213-225, 1998
30 Block, J., "Necessity and Opportunity Entrepreneurs and Their Duration in Self-employment: Evidence from German Micro Data" 9 (9): 117-137, 2009
31 Holmes, T. J., "Managerial Tenure, Business Age, and Small Business Turnover" 14 (14): 79-99, 1996
32 Hurst, E., "Liquidity Constraints, Household Wealth and Entrepreneurship" 112 (112): 319-347, 2004
33 Weiss, A., "Human Capital vs. Signalling Explanations of Wages" 9 (9): 133-154, 1995
34 Holtz-Eakin, D., "Horatio Alger Meets the Mobility Tables" 14 : 243-274, 2000
35 OECD, "Health at a Glance" OECD Publishing 2019
36 Oberschachtsiek, D., "Founders' Experience and Self-employment Duration: The Importance of Being a 'Jack-of-all-trades'. An Analysis Based on Competing Risks" 2008
37 Dunn, T., "Financial Capital, Human Capital, and the Transition to Self‐Employment: Evidence from Intergenerational Links" 18 (18): 282-305, 2000
38 Fairlie, R. W., "Families, Human Capital, and Small Business: Evidenc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Owners Survey" 60 (60): 225-245, 2007
39 Fairlie, R. W., "Entrepreneurship and Earning among Young Adults from Disadvantaged Families" 25 : 223-236, 2005
40 Bates, T., "Entrepreneur Human Capital Inputs and Small Business Longevity" 72 (72): 551-559, 1990
41 Hamilton, B., "Does Entrepreneurship Pay?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turns to Self‐Employment" 108 (108): 604-631, 2000
42 Millán, J., "Determinants of Self-employment Survival in Europe" 38 (38): 231-263, 2012
43 Glazer, N., "Beyond the Melting Pot: the Negroes, Puerto Ricans, Jews, Italians, and Irish of New York City" MIT Press 1970
44 Cleves, M., "An Introduction to Survival Analysis Using Stata" StataPress 2002
45 Evans, D. S., "An Estimated Model of Entrepreneurial Choice Under Liquidity Constraints" 97 (97): 808-827, 1989
46 Rees, H., "An Empirical Analysis of Self-Employment in the UK" 1 (1): 95-108, 1986
47 Kim, P. H., "Access (not) Denied: The Impact of Financial, Human, and Cultural Capital on Entrepreneurial Entry in the United States" 27 (27): 5-22, 2006
48 Fine, J. P., "A Proportional Hazards Model for Subdistribution of a Competing Risk" 94 (94): 496-509, 1999
49 통계청, "2020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 2020
50 통계청, "2020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2020
51 통계청, "2020 경제활동인구연보"
노인 재가돌봄 상황에서 공식돌봄서비스는 어떻게 활용되나?: 가족주돌봄제공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외국인 어머니의 모국문화정체성, 차별인식과 자녀의 회귀유학: 어머니의 모국어에 따른 인과구조 차이의 분석
청년층의 기회 공정성 인식 분절화: 지역과 젠더 관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4 | 1.34 | 1.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2.07 | 2.564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