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대형, "「최척전」의 이본(異本), 『삼국기봉(三國奇逢)』에 대한 연구" 한국고소설학회 (34) : 351-376, 2012
2 엄태식, "「남염부주지」의 패러디와 풍자- 남염부주의 모순적 형상을 중심으로 -" 동남어문학회 1 (1): 57-83, 2013
3 이필준, "「崔陟傳」의 필사본 비교와 작품의 분석 연구" 국어문학회 53 (53): 127-160, 2012
4 정환국, "李鈺의 인간학-傳을 대상으로-" 한국한문학회 (52) : 233-260, 2013
5 임형택, "한문서사의 영토" 태학사 2014
6 "한국국학진흥원소장 국학자료 목록집10 광산 김씨 유일재 종택" 한국국학진흥원 2011
7 엄태식, "한국 고전소설의 『전등신화』 수용 연구 - 전기소설과 몽유록을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67) : 155-187, 2014
8 신상필, "필기의 서사화 양상에 관한 연구 : 『용재총화』와 『어우야담』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9 김준형, "패설집 나타난 소수자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 한국어문교육학회 47 : 2013
10 황동권, "팔우헌 조보양의 골동록연구" 2013
11 신상필, "파리외방전교회가 남긴 동서양 문명교류의 흔적 – Grammaire Coréenne(1881) 소재 단형고전서사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37) : 349-380, 2014
12 정병호, "조선후기 중인층의 전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1
13 김정숙, "조선후기 재자가인소설 연구" 고려대 2005
14 김영진, "조선후기 사대부의 야담 창작과 향유의 일양상" 안암어문학회 37 : 1998
15 이종호, "조선의 문인이 걸어온길" 한길사 2004
16 김준형, "조선 후기 야담집에 나타난 서울과 지방의 풍경" 민족문학사학회 (51) : 287-316, 2013
17 홍상훈, "전통시기 중국의 서사론" 소명출판 2008
18 정출헌, "임진왜란과 전쟁포로, 굴절된 기억과 서사적 재구" 한국고전번역원 41 : 5-40, 2013
19 윤승준, "우언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 방안" 동아시아고대학회 (32) : 35-68, 2013
20 정명기, "완질 <溪西雜錄>(일사 (1)본)의 출현에 따른 제 문제" 열상고전연구회 (40) : 171-207, 2014
21 신태수, "여성 인물형상을 통해 본 <崔陟傳>의 창작의도" 어문연구학회 77 : 197-217, 2013
22 신익철, "어우야담의 비판적 정본 연구" 한국한문학회 29 : 2002
23 이채경, "야담집 소재 신라 및 경주 이야기 연구-『天倪錄』, 『雜記古談』, 『東稗洛誦』을 중심으로 -" 신라문화연구소 41 (41): 353-382, 2013
24 허원기, "심성우언소설에 나타난 구원관 -<천로역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27) : 69-96, 2012
25 한의숭, "신발굴 漢文小說 <巴陵奇事> 연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8 (38): 295-324, 2013
26 한영규, "신광현이 편찬한 『委衖瑣聞』의 내용과 특징" 한국한문학회 (55) : 95-123, 2014
27 김일환, "숨긴 것과 드러낸 것 ‘변호’의 텍스트로 「강도몽유록」 다시 읽기" 민족문학사학회 (51) : 257-286, 2013
28 김영진, "섬와만록자서를 통해 본 아전 출신 문인 김경천의 생애" 2014
29 김준형, "서울과 지방의 경계, 조선후기 아산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야담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41) : 7-41, 2014
30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 "서사문학의 시대와 그 여정" 소명 2013
31 송하준, "새로 발견된 한문필사본 <김영철전>의 자료적 가치" 한국고소설학회 (35) : 239-268, 2013
32 윤주필, "베트남 『전기신보(傳奇新譜)』와 『신전기록(新傳奇錄)』의 우언소설적 성격에 대하여" 동악어문학회 (63) : 217-240, 2014
33 양승민, "버클리대 소장 한문소설집 『白湖話談』에 대하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8 : 425-440, 2010
34 김경미,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다시 읽는 <최척전>ㆍ<김영철전>" 한국고전문학회 (43) : 165-192, 2013
35 안대회, "담배 문화사의 시각으로 본 담배 假傳의 세계" 한국한문학회 (55) : 153-184, 2014
36 이민희, "기억과 망각의 서사로서의 만주 배경 17세기 전쟁 소재 역사소설 읽기-최척전(崔陟傳)․강로전(姜虜傳)․김영철전(金英哲傳) 을 중심으로-" 만주학회 (11) : 209-241, 2011
37 김준형, "근대전환기 패설의 변환과 지향" 한국구비문학회 (34) : 87-117, 2012
38 "고전과 해석"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39 정명기, "고소설 유통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 -목활자본 『王慶龍傳』의 출현을 통해서 본-" 열상고전연구회 (33) : 157-192, 2011
40 임유경, "계곡(谿谷) 장유(張維) 우언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25 : 61-102, 2013
41 신상필, "게일의 『靑坡劇談』 英譯과 그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35) : 335-374, 2013
42 박희병, "韓國傳奇小說의 美學" 돌베개 1997
43 진재교, "越境과 敍事 - 동아시아의 서사 체험과 ‘이웃’의 記憶- 「崔陟傳」 독법의 한 사례 -" 한국한문학회 (46) : 129-162, 2010
44 김영진, "綺里叢話에 대한 일고찰편찬자 확정과 후대 야담집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28 : 2001
45 한의숭, "朝鮮後期 才子佳人小說 관련 논의의 비판적 검토와 전개 양상에 대한 試論" 인문과학연구소 (38) : 31-52, 2013
46 임완혁, "屛谷 權榘의 散文硏究- 『闡幽錄』의 著述意識과 性格에 대하여" 한국학연구원 (53) : 27-61, 2013
47 김진영, "佛敎敍事의 作話方式과 傳奇小說의 相關性(Ⅱ)" 어문연구학회 61 : 189-218, 2009
48 남궁윤, "『청구야담』의 한글번역 양상과 의미" 동양고전연구소 (30) : 95-131, 2014
49 이민호, "『영난몽뉴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7) : 294-321, 2012
50 정명기, "『부담(浮談)』의 발견과 패설사적 의의 - 자료 소개를 중심에 두고" 열상고전연구회 (38) : 170-203, 2013
51 이승현, "『기리총화』 연구" 성균관대 2009
52 윤주필, "『국순전』『국선생전』의 우언적 독해 -가전의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한국한문학회 (47) : 303-338, 2011
53 정길수, "『구운몽』 定本 구성의 방법과 실제" 한국고소설학회 (32) : 187-216, 2011
54 엄태식, "「용궁부연록」의 『전등신화』 수용 의미와금기의 소설적 형상화" 중앙어문학회 (59) : 147-175, 2014
55 한의숭, "〈神機圖〉의 敍事적 특징과 議論적 성향에 대한 연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40 (40): 443-470, 2014
56 박경남, "‘행운’과 ‘기회’의 땅으로서의 중국-16․17세기 對中國貿易 관련 野談에 형상화된 중국의 이미지-" 근역한문학회 37 : 189-217, 2013
57 한의숭, "<李花實傳>의 인물 형상과 그 의미" 인문과학연구소 33 (33): 7-27, 2012
58 엄태식, "<최척전>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81-124, 2012
59 박일용, "<주생전>의 환상성과 남․녀 주인공의 욕망"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5) : 399-426, 2013
60 정출헌, "<육신전>과 <원생몽유록> - 충절의 인물과 기억서사의 정치학 -" 한국고소설학회 (33) : 5-47, 2012
61 엄태식, "<원회록>과 『전등신화』 개작 소설" 한국고소설학회 (35) : 205-237, 2013
62 원용우, "<원생몽유록>의 등장인물 연구" 耘谷學會 5 : 2013
63 엄태식, "<운영전>의 양식적 특징과 소설사적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28) : 253-292, 2013
64 Zhou Lei, "<운영전>에서 표출된 임진왜란 후 사회계층의 신분구조 변동양상 및 작가의식 소고 -유영과 특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51) : 209-227, 2013
65 정명기, "<韋生傳>(<韋敬天傳>) 이본 연구" 한국어문학회 (95) : 441-467, 2007
66 정명기, "<韋生傳>(<韋敬天傳>) 교감의 문제점" 한국고소설학회 (22) : 67-92, 2006
67 김정녀, "<金華寺夢遊錄> 국문본의 유통 양상과 수용 층위" 우리문학회 (38) : 7-64, 2013
68 한정미, "<金英哲傳>에 나타난 異邦人의 형상" 이화어문학회 30 : 2012
69 신태수, "<周生傳> 硏究"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70 양승민, "<十二峰轉環記> 한문본 원작과 그 한글번역본" 한국고소설학회 (32) : 255-280, 2011
71 한의숭, "<一夕話>의 인물 형상과 서사 구도의 양상" 한국학연구원 (48) : 355-379, 2012
72 이병직, "20C초 몽유록의 현실 인식과 대응 방식" 한국문학회 (59) : 117-143, 2011
73 한의숭, "19세기 한문중단편소설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74 이승은, "19세기 패설의 변화와 『消閒細說』" 인문학연구소 33 (33): 61-85, 2014
75 김경미, "19세기 소설사의 쟁점과 전망" 한국고전연구학회 (23) : 329-357, 2011
76 한영규, "19세기 문인 申匡絢의 『委巷瑣聞』 편찬의식" 동방한문학회 (50) : 397-426, 2012
77 허찬, "1920년대 <운영전>의 여러 양상- 일역본 <운영전(雲英傳)>과 한글본 『연정 운영전(演訂 雲英傳)』,영화 <운영전-총희(雲英傳-寵姬)의 연(戀)>의 관계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38) : 541-573, 2013
78 趙普陽, "18세기 한 영남 남인의 지적 관심과 기록 -골동록-" 한국국학진흥원 2011
79 서신혜, "17세기 전쟁서사의 소설사적 특성과 의의" 동양고전연구소 (30) : 7-31, 2014
80 정출헌, "17세기 전반 재지사족의 자기정체성 확립과 기억의 정치학 : 黃石山城 전투에 대한 엇갈린 기억의 『龍門夢遊錄』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46) : 85-119,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