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카리브해의 해역네트워크와 도서국가의 지역적 통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034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카리브해의 소도서국가들은 공통된 역사 경험과 전통적 유대를 갖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카리브공동체(Caribbean Community)’ 혹은 ‘카리콤(CARICOM)’이라고 불리는 이 초국경 해역네트워크를 형성해 왔다. 1973년에 출범한 카리브공동체는 카리브해 지역의 경제와 사회통합을 목표로 출범한 다자간 초국경 협의체로서, 오늘날 소도서국가 간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급변하는 글로벌 정세와 상황 속에서 최근 국제사회와 강대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는 현대적 관점에 입각하여 카리브해 특유의 지리적 조건과 정치․경제․문화적 상황들이 해역공동체를 결성하는데 작용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논의를 진행한다. 우선 최근 자료를 토대로 카리브해의 주요 개관 및 분야별 현황을 살펴보고, 카리브해 초국경 네트워크의 형성과 특징을 분석한다. 그리고 협력체제의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면서, 향후 발전방향과 과제를 전망해 본다. 카리브공동체는 과거 식민통치, 약탈의 역사, 노예배상문제 등에서 우리나라와 닮은 점도 매우 많다. 현재 주변 강대국들과 우호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대외관계를 다각화시켜야 한다는 외교환경 또한 비슷하다. 따라서 결론에서는 국제사회의 협력과 신흥시장 개척 등에 힘을 쏟고 있는 우리나라와 카리브해의 미래 관계 설정 및 주요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카리브해의 소도서국가들은 공통된 역사 경험과 전통적 유대를 갖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카리브공동체(Caribbean Community)’ 혹은 ‘카리콤(CARICOM)’이라고 불리는 이 초국경 해역네트워크...

      카리브해의 소도서국가들은 공통된 역사 경험과 전통적 유대를 갖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카리브공동체(Caribbean Community)’ 혹은 ‘카리콤(CARICOM)’이라고 불리는 이 초국경 해역네트워크를 형성해 왔다. 1973년에 출범한 카리브공동체는 카리브해 지역의 경제와 사회통합을 목표로 출범한 다자간 초국경 협의체로서, 오늘날 소도서국가 간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급변하는 글로벌 정세와 상황 속에서 최근 국제사회와 강대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는 현대적 관점에 입각하여 카리브해 특유의 지리적 조건과 정치․경제․문화적 상황들이 해역공동체를 결성하는데 작용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논의를 진행한다. 우선 최근 자료를 토대로 카리브해의 주요 개관 및 분야별 현황을 살펴보고, 카리브해 초국경 네트워크의 형성과 특징을 분석한다. 그리고 협력체제의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면서, 향후 발전방향과 과제를 전망해 본다. 카리브공동체는 과거 식민통치, 약탈의 역사, 노예배상문제 등에서 우리나라와 닮은 점도 매우 많다. 현재 주변 강대국들과 우호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대외관계를 다각화시켜야 한다는 외교환경 또한 비슷하다. 따라서 결론에서는 국제사회의 협력과 신흥시장 개척 등에 힘을 쏟고 있는 우리나라와 카리브해의 미래 관계 설정 및 주요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in the Caribbean Sea are strongly linked by history and other traditional ties. The Caribbean Community(CARICOM) is an organization of fifteen Caribbean island developing states and dependencies whose main objective is to promote economic integration and cooperation among its members, to ensure that the benefits of integration are equitably shared, and to coordinate foreign policy. Focusing on the primary initiative in CARICOM,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cross border network and cooperation system in the Caribbean Sea reg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for cross border network and other transnational state apparatus, this study discussed the success and limitation for network and examine several important factors which will significantly influence on its future development in the Caribbean Sea region. As a consequence, this study provides some useful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cooperation initiative between Caribbean Community and Korea.
      번역하기

      The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in the Caribbean Sea are strongly linked by history and other traditional ties. The Caribbean Community(CARICOM) is an organization of fifteen Caribbean island developing states and dependencies whose main objective ...

      The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in the Caribbean Sea are strongly linked by history and other traditional ties. The Caribbean Community(CARICOM) is an organization of fifteen Caribbean island developing states and dependencies whose main objective is to promote economic integration and cooperation among its members, to ensure that the benefits of integration are equitably shared, and to coordinate foreign policy. Focusing on the primary initiative in CARICOM,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cross border network and cooperation system in the Caribbean Sea reg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for cross border network and other transnational state apparatus, this study discussed the success and limitation for network and examine several important factors which will significantly influence on its future development in the Caribbean Sea region. As a consequence, this study provides some useful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cooperation initiative between Caribbean Community and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카리브해 해역네트워크의 형성과 특징
      • Ⅲ. 카리브해 해역네트워크의 방향과 과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카리브해 해역네트워크의 형성과 특징
      • Ⅲ. 카리브해 해역네트워크의 방향과 과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양호, "해항도시간 국경을 초월한 통합의 성공조건: 북유럽 ‘외레순드(Oresund)’의 사례"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143-164, 2013

      2 "카리브해 서인도제도대학(UWI: University of West Indies)"

      3 "카리브국가연합(ACS: Association of Caribbean States)"

      4 "카리브공동체(CARICOM: Caribbean Community)"

      5 "카리브개발은행(CDB: Caribbean Development Bank)"

      6 우양호, "초국적 협력체제로서의 ‘해역(海域)’ : ‘흑해(黑海)’ 연안의 경험"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3) : 209-246, 2015

      7 "유엔(UN) 환경계획 산하 카리브해 연안 환경프로그램(UNEP The Caribbean Environment Program)"

      8 "유엔(UN) 국제기구산하지속가능개발지식플랫폼(UN Sustainable Development Knowledge platform)"

      9 "유엔(UN) 국제기구 산하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경제위원회(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10 우양호, "유럽 해항도시 초국경 네트워크의 발전과 미래: ‘외레순드’에서 ‘페마른 벨트’로"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0) : 239-264, 2014

      1 우양호, "해항도시간 국경을 초월한 통합의 성공조건: 북유럽 ‘외레순드(Oresund)’의 사례"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143-164, 2013

      2 "카리브해 서인도제도대학(UWI: University of West Indies)"

      3 "카리브국가연합(ACS: Association of Caribbean States)"

      4 "카리브공동체(CARICOM: Caribbean Community)"

      5 "카리브개발은행(CDB: Caribbean Development Bank)"

      6 우양호, "초국적 협력체제로서의 ‘해역(海域)’ : ‘흑해(黑海)’ 연안의 경험"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3) : 209-246, 2015

      7 "유엔(UN) 환경계획 산하 카리브해 연안 환경프로그램(UNEP The Caribbean Environment Program)"

      8 "유엔(UN) 국제기구산하지속가능개발지식플랫폼(UN Sustainable Development Knowledge platform)"

      9 "유엔(UN) 국제기구 산하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경제위원회(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10 우양호, "유럽 해항도시 초국경 네트워크의 발전과 미래: ‘외레순드’에서 ‘페마른 벨트’로"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0) : 239-264, 2014

      11 우양호, "월경한 해항도시간 권역에서의 국제교류와 성공조건 : 부산과 후쿠오카의 ‘초국경경제권’ 사례"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31-50, 2012

      12 "동카리브국가기구(OECS: Organization of Eastern Caribbean States)"

      13 "대한민국외교부"

      14 Braithwaite, S., "What Do Demand and Supply Shocks Say About Caribbean Monetary Integration?" 40 (40): 949-962, 2017

      15 Harding, A., "Trade between Caribbean Community(CARICOM) and Central American Common Market(CACM) Countries: The Role to Play for Ports and Shipping Services(Vol. 52)" United Nations Publications 56-98, 2003

      16 Heath-Brown, N., "The Statesman's Yearbook 2016: The Politics, Cultures and Economies of the World" Palgrave Macmillan 63-94, 2015

      17 Greenidge, K., "The External Public Debt in the Caribbean Community" 32 (32): 418-431, 2010

      18 Grenade, W. C., "The European Union and Regional Integration: A Comparative Perspective and Lessons for the Americas" University of Miami, Miami-Florida European Union Center of Excellence 167-184, 2005

      19 Jessen, A., "The Caribbean Community: Facing the Challenges of Regional and Global Integration" INTAL(Institute for the Integration of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ITD 1-104, 1999

      20 Ito, M., "The Caribbean Community Single Market and Economy" 26 : 63-97, 2016

      21 Grenade, W. C., "Regionalism and Sub-regionalism in the Caribbean:Challenges and Prospects: Any Insights from Europe?" 11 (11): 1-20, 2011

      22 Menon, P. K., "Regional Integration: A Case Study of the Caribbean Community(CARICOM)"

      23 Newstead, C., "Regional Governmentality: Neoliberalization and the Caribbean Community Single Market and Economy" 30 (30): 158-173, 2009

      24 Levitt, K., "Reclaiming Development: Independent Thought and Caribbean Community" Ian Randle Publishers 45-130, 2005

      25 Hall, K. O., "Re-inventing CARICOM: The Road to a New Integration, A Documentary Record" Ian Randle Publishers 11-301, 2003

      26 Toba, N., "Potential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the Caribbean Community. Assessing the Potential Consequences of Climate Destabilization in Latin America, In Assessing the Potential Consequences of Climate Destabilization in Latin America" World Bank 1-30, 2009

      27 Scobie, M., "Policy Coherence in Climate Governance in Caribbean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58 (58): 16-28, 2016

      28 Chakalall, B., "Governance of Fisheries and Other Living Marine Resources in the Wider Caribbean" 87 (87): 92-99, 2007

      29 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Economic Survey of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2016: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hallenges of Financing for Development" UN ECLAC 1-231, 2017

      30 Chakalall, B., "Current Issues in Fisheries Governance in the Caribbean Community(CARICOM)" 22 (22): 29-44, 1998

      31 Pomeroy, R. S., "Comparative Analysis of Coastal Resource Co-management in the Caribbean" 47 (47): 429-447, 2004

      32 Brown, D. N., "Co-management of Caribbean Community(CARICOM) Fisheries" 23 (23): 549-570, 1999

      33 Lowitt, K.,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More Integrated Regional Food Security Policy in the Caribbean Community" 3 (3): 368-378, 2016

      34 Caserta, S., "Caribbean Community-Revised Treaty of Chaguaramas-Freedom of Movement under Community Law-Indirect and Direct Effect of International Law-LGBT Rights" 110 (110): 533-540, 2016

      35 Bravo, K. E., "CARICOM, The Myth of Sovereignty, and Aspirational Economic Integration" 31 (31): 145-206, 2005

      36 Griffith, W. H., "CARICOM Countries and the Caribbean Basin Initiative" 17 (17): 33-54,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62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