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동해 초국경 개발협력과 해항도시의 관계 =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자루비노항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03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환동해의 결절지역이고 해항도시이며 중계항인 북한의 나진항과 러시아의 자루비노항 간의 관계가 향후 어떻게 형성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동시에 기존의 동북아시아 내 접경지역경제협력이 유엔의 對북 경제제재, 중국이 추진 중인 중 몽 러 경제회랑과 더불어 러시아의 극동개발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분석한다.
      한국 정부는 중국의 일대일로 중 하나인 중 몽 러 경제회랑과 동북아(환동해) 협력의 관건은 북한과의 관계에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2018년 평창올림픽 이후, 북 미간의 관계가 개선되고 비핵화가 진전되면, 두만강 유역을 포함한 다자간 초국경협력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측면에서 환동해지역의 중층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평면적이고 구조적으로 살펴보는 다자주의 이론보다는 역내외 관계의 행위자, 구조 및 역동적 과정을 동시에 설명하는 관계망 이론이 보다 설명력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환동해 경제적 관계의 발전을 위해 창춘-훈춘-자루비노-나진을 연결하는 초국경 산업지대를 구축해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대외여건이 조성되면, 북한과도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프리모리예 Ⅰ, Ⅱ 프로젝트가 사실 러, 중 특정 물류기업이 독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형편이다. 물류루트의 확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물류서비스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는 것도 요구된다.
      한국의 입장에서는 북한의 대외개방화 정책에 발맞추어 북한의 동해안에서 나진의 항만 개발에 최우선적으로 역점을 두는 선택과 집중뿐만 아니라 단계적 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향후 물동량과 시간 및 거리 등에 따라 환동해의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자루비노항 간에는 경쟁적 관계뿐만 아니라 보완적 관계도 있을 것으로 예상됨으로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환동해의 결절지역이고 해항도시이며 중계항인 북한의 나진항과 러시아의 자루비노항 간의 관계가 향후 어떻게 형성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동시에 기존의 동북아...

      본고에서는 환동해의 결절지역이고 해항도시이며 중계항인 북한의 나진항과 러시아의 자루비노항 간의 관계가 향후 어떻게 형성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동시에 기존의 동북아시아 내 접경지역경제협력이 유엔의 對북 경제제재, 중국이 추진 중인 중 몽 러 경제회랑과 더불어 러시아의 극동개발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분석한다.
      한국 정부는 중국의 일대일로 중 하나인 중 몽 러 경제회랑과 동북아(환동해) 협력의 관건은 북한과의 관계에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2018년 평창올림픽 이후, 북 미간의 관계가 개선되고 비핵화가 진전되면, 두만강 유역을 포함한 다자간 초국경협력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측면에서 환동해지역의 중층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평면적이고 구조적으로 살펴보는 다자주의 이론보다는 역내외 관계의 행위자, 구조 및 역동적 과정을 동시에 설명하는 관계망 이론이 보다 설명력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환동해 경제적 관계의 발전을 위해 창춘-훈춘-자루비노-나진을 연결하는 초국경 산업지대를 구축해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대외여건이 조성되면, 북한과도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프리모리예 Ⅰ, Ⅱ 프로젝트가 사실 러, 중 특정 물류기업이 독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형편이다. 물류루트의 확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물류서비스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는 것도 요구된다.
      한국의 입장에서는 북한의 대외개방화 정책에 발맞추어 북한의 동해안에서 나진의 항만 개발에 최우선적으로 역점을 두는 선택과 집중뿐만 아니라 단계적 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향후 물동량과 시간 및 거리 등에 따라 환동해의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자루비노항 간에는 경쟁적 관계뿐만 아니라 보완적 관계도 있을 것으로 예상됨으로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iscus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jin Port in North Korea and the Zarubino Port in Russia as node cities would be formed in the near future. At the same time it analyzes how the existing economic cooperation in the border region in Northeast Asia has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UN"s economic sanctions against the North Korea, the China-Mongolia-Russia economic corridor, and Russia"s Far East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s that the key to China-Mongolia-Russia economic corridor, one of China"s One Belt-One Road Initiatives, and the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ncluding East Sea Rim) lies in it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fter the 2018 PyeongChang Olympics, if the bilateral rel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is improved and the denuclearization progresses, the multilateral cross-border cooperation in East Sea Rim including the Tumen River basin would be likely to be activated. In this respect, it seems that the theory of relational network which simultaneously explains the actors, structure, and dynamic process is more persuasive and valid than multilateralism which is merely multidimensional and structural.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rans-boundary industrial zone connecting Changchun-Hunchun-Zarubino-Rajin for the development of economic relations in East Sea Rim. This could be linked to North Korea if the external conditions would be created. In fact, Primorye Ⅰ and Ⅱ project have been operated by certain logistics companies exclusively. In order to expand the logistics route, it is also required to form conditions that various logistics service companies can participate. For South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policy in North Korea, it would be necessary to not only adopt selection and concentration, but also put the most priority with phased strategies on the port development of Rajin in East Coast of North Korea rather than Zarubino in Russia. It is expected to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s well as a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ajin port and Zarubino port resting on the volume of trade, time and distance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discus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jin Port in North Korea and the Zarubino Port in Russia as node cities would be formed in the near future. At the same time it analyzes how the existing economic cooperation in the border r...

      This paper aims to discus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jin Port in North Korea and the Zarubino Port in Russia as node cities would be formed in the near future. At the same time it analyzes how the existing economic cooperation in the border region in Northeast Asia has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UN"s economic sanctions against the North Korea, the China-Mongolia-Russia economic corridor, and Russia"s Far East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s that the key to China-Mongolia-Russia economic corridor, one of China"s One Belt-One Road Initiatives, and the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ncluding East Sea Rim) lies in it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fter the 2018 PyeongChang Olympics, if the bilateral rel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is improved and the denuclearization progresses, the multilateral cross-border cooperation in East Sea Rim including the Tumen River basin would be likely to be activated. In this respect, it seems that the theory of relational network which simultaneously explains the actors, structure, and dynamic process is more persuasive and valid than multilateralism which is merely multidimensional and structural.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rans-boundary industrial zone connecting Changchun-Hunchun-Zarubino-Rajin for the development of economic relations in East Sea Rim. This could be linked to North Korea if the external conditions would be created. In fact, Primorye Ⅰ and Ⅱ project have been operated by certain logistics companies exclusively. In order to expand the logistics route, it is also required to form conditions that various logistics service companies can participate. For South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policy in North Korea, it would be necessary to not only adopt selection and concentration, but also put the most priority with phased strategies on the port development of Rajin in East Coast of North Korea rather than Zarubino in Russia. It is expected to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s well as a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ajin port and Zarubino port resting on the volume of trade, time and distance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이론적 접근
      • Ⅲ. 환동해 국가별 지역개발정책
      • Ⅳ. 초국경 개발협력
      • Ⅴ. 배후 거점지(도시)
      • Ⅰ. 들어가며
      • Ⅱ. 이론적 접근
      • Ⅲ. 환동해 국가별 지역개발정책
      • Ⅳ. 초국경 개발협력
      • Ⅴ. 배후 거점지(도시)
      • Ⅵ. 환동해 북방의 주요 해항 비교
      • Ⅶ. 나가며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주, "환동해권 성장을 위한 지역개발 및 물류시장 협력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및 국토연구원 2018

      2 현재열, "해항도시 개념과 해항도시 문화교섭학 연구의 방향성: 아젠다 수행을 위한 제언" 국제해양문제연구소 (6) : 225-254, 2012

      3 이백진, "해외출장복명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4 이현주, "한반도와 북방지역 연계강화를 위한 접경지역 개발협력 방안 연구: 훈춘 일대를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및 국토연구원 2017

      5 안국산, "중국 지린성 대상의 자루비노항 경유물동량 전망" 한국통상정보학회 18 (18): 81-105, 2016

      6 이현주, "중⋅몽⋅러 경제회랑 건설의 협력여건 분석-교통⋅물류 인프라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9 (29): 27-55, 2017

      7 "정부, 러시아에 ‘나진 하산 프로젝트 중단’ 통보"

      8 우양호, "접경된 해항도시들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 ‘창지투(長吉圖)’와 ‘나선특구’를 중심으로"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5) : 213-240, 2016

      9 Summa Group, "자루비노 복합 신항만 개발"

      10 엄구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과 역내 교통 협력 전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 전망" 191 : 2014

      1 이현주, "환동해권 성장을 위한 지역개발 및 물류시장 협력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및 국토연구원 2018

      2 현재열, "해항도시 개념과 해항도시 문화교섭학 연구의 방향성: 아젠다 수행을 위한 제언" 국제해양문제연구소 (6) : 225-254, 2012

      3 이백진, "해외출장복명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4 이현주, "한반도와 북방지역 연계강화를 위한 접경지역 개발협력 방안 연구: 훈춘 일대를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및 국토연구원 2017

      5 안국산, "중국 지린성 대상의 자루비노항 경유물동량 전망" 한국통상정보학회 18 (18): 81-105, 2016

      6 이현주, "중⋅몽⋅러 경제회랑 건설의 협력여건 분석-교통⋅물류 인프라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9 (29): 27-55, 2017

      7 "정부, 러시아에 ‘나진 하산 프로젝트 중단’ 통보"

      8 우양호, "접경된 해항도시들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 ‘창지투(長吉圖)’와 ‘나선특구’를 중심으로"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5) : 213-240, 2016

      9 Summa Group, "자루비노 복합 신항만 개발"

      10 엄구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과 역내 교통 협력 전망: 한국의 나진-하산 철도 사업 참여의 함의 전망" 191 : 2014

      11 류연산, "연변대 교수의 라선시 방문기" 152 : 2013

      12 "속초-자루비노-훈춘 항로 ‘운항 중단’"

      13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14 양문수, "북한의 경제 특구 개발구 지원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15 이창주, "북방리포트" 돌베개 2014

      16 강태호, "북방리포트" 돌베개 2014

      17 이성우, "북방 물류시장과 나진항 연계 가능성 검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5

      18 김엄지, "북극항로 활성화를 위한 러시아 항만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 지연" KMI 2017

      19 이종운, "북·중 접경지역의 경제교류 실태와 거래관행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20 문성휘, "북, 라선시 돌파구 마련에 부심"

      21 "북, 가스관 협상 가능성 열어둬"

      22 "북 금광-러 김정은 전용기 맞교환"

      23 원동욱, "변경의 정치경제학: 중국 동북지역 개발과 환동해권 국제협력 구상" 국제지역연구원 22 (22): 27-62, 2015

      24 "문대통령 충칭행 ‘일석다조’…中과 유대강화 임정법통 확인"

      25 신범식, "러시아의 신(新)동방정책과 동북아 지역정치" 2015

      26 신범식,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협상전략 비교" 아태지역연구센터 39 (39): 153-190, 2015

      27 최태강, "러시아 연해주 자유항의 현황과 과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1 (31): 219-258, 2016

      28 박성준, "러시아 숨마그룹, DP월드와 손잡고 러시아 극동개발 본격화" KMI 2016

      29 이영형, "러시아 동해연안 항구의 역동성과 해상협력을 위한 한국의 선택" 한국-시베리아센터 21 (21): 51-84, 2017

      30 이경하, "러시아 나진-하산 철도 대북수출량 95% 증가"

      31 "러, 북한 가스관 건설에 北채무 재투자 방침"

      32 우양호, "동북아시아 해항도시의 초국경 교류와 협력방향 구상:덴마크와 스웨덴 해협도시의 성공경험을 토대로" 21세기정치학회 22 (22): 375-395, 2012

      33 최장호, "동북아 초국경 인프라 개발과 재원조달:중국 동북지역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34 이창주, "동북아 신네트워크" 산지니 2014

      35 윤영관, "네트워크로 보는 세계 속 북한" 늘품플러스 2015

      36 이덕희, "네트워크 이코노미" 동아시아 2008

      37 백성호, "국토연구원 2017년 한중워크숍 발표자료"

      38 김민곤, "국토연구원 2017년 한중워크숍 발표자료"

      39 김원배, "격동하는 동북아 지형" 나남 2018

      40 "中훈춘-北나진-닝보 연결 육로해상노선 재개"

      41 우양호, "‘동해(東海)의 출구’를 둘러싼 다국적 경쟁과 협력의 구조: 중국과 북한의 ‘두만강 초국경 지역개발’ 사례"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109-133, 2016

      42 "Will Russia Be First to Build Eldon Musk's Hyperloop"

      43 Tirnoveanu, D., "Russia, China and Far East Question"

      44 Brown, Duncan, "Russia Seeks Far East Realignment: Domestic Initiatives"

      45 Kucera, J., "China's Russian Invasion"

      46 Louppova, J., "China to Develop a Grain Terminal to Russia"

      47 Collins, Gabe, "China Looms over Russia Far East"

      48 Freeman, Linton C.,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1 : 1979

      49 Niu, Qiyang, "Can Russia Save Northeast China's Economy"

      50 공영덕, "2017년 1∼4월, 중-러 훈춘철도통상구 화물 수송량 100만 톤돌파" KMI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62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