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들은 1960년의 3ㆍ15부정선거 규탄 시위와 1979년의 부마항쟁, 그리고 1980년 5ㆍ18항쟁 등 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영웅적으로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에게 늘 종속되었고, 여성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26404
2012
-
5ㆍ18 소설 ; 여성 주체 ; 하위주체 ; 자매애 ; 퀴어 ; Ficton of 5ㆍ18 ; female subject ; subaltern ; sisterhood ; queer
3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9-182(2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여성들은 1960년의 3ㆍ15부정선거 규탄 시위와 1979년의 부마항쟁, 그리고 1980년 5ㆍ18항쟁 등 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영웅적으로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에게 늘 종속되었고, 여성으로...
여성들은 1960년의 3ㆍ15부정선거 규탄 시위와 1979년의 부마항쟁, 그리고 1980년 5ㆍ18항쟁 등 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영웅적으로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에게 늘 종속되었고, 여성으로서의 ‘정상적인’ 역할과 행동양식에만 국한되었다. 우리는 민주화운동을 제재로 한 텍스트 전체를 다시 읽고 작품 속에서 침묵되거나 주변으로 밀려나거나 이데올로기적으로 왜곡되어 표상되고 있는 것-특히 여성성의 문제를 명백하게 이끌어내고 확장하여 그것들에 목소리를 부여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민주화담론은 민주주의와 인간의 존엄이라는 궁극적 목표에 온전히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기획의 한 부분으로 홍희담과 공선옥의 5ㆍ18 소설들의 ‘다시 읽기’를 시도했다.
홍희담의「깃발」에서 무엇보다 뚜렷한 것은 5월의 참상을 고발하는 한편 항쟁의 주체를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는 점에 있다. 그런데 이 두 가지는 5월을 대상으로 한 여타의 소설에서도 겹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소설만의 특장이라고 주목할 것은 없다. 71퍼센트의 무산자 계급, 이들 하위 주체들이 거의 분노라는 단일하면서도 경직된 성격으로서만 제시되고 있는 점은 이 소설이 갖는 약점이다. 오히려 역사의 폭력성을 화해와 포옹의 여성성으로 감싸 안으려 한다는 점과 함께 하위 주체로서의 여성적 글쓰기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주목해야할 지점이다.
공선옥의「목마른 계절」에서의 여성-어머니들은 그녀들의 아이들을 충분하게 보살피지 못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연민과 죄책감을 느낀다. 이들 여성들은 스스로에게 완벽한 어머니에 대한 환상을 강요하며 어머니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못하는 스스로를 무화시킨다. 이와 같은 모성성의 신화는 남성 중심적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기능을 하며, 어머니라는 기능을 통해서만 여성의 존재의미를 규정하기에 여성과 어머니를 모두 비현실적인 관념의 벽에 가둔다. 따라서 이 소설에는 모성-어머니는 있으나 여성-여성성은 없다. 그러나「목마른 계절」의 여성들이 자매애(Sisterhood)를 통해 자신들의 상처를 극복하려 한다는 점에서 우리는 5월의 트라우마(trauma)를 치유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주목했다.
홍희담의「깃발」과 공선옥의 「목마른 계절」은 둘 다 작가의 과도한 관념이 인물들의 실제 삶의 세부를 압도하여 이들 여성인물들-하위 주체들이 거의 분노라는 단일하면서도 경직된 성격으로서만 제시되고 있는 약점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으로 스스로를 동일시하는 수많은 다양한 주체들이 여성임을 긍정하고 자매애적 연대를 이룰 때, 거기에서 생산적이고 변혁적인 힘을 발견할 때, 5월에 살아남은 이들-특히 여성들이 안고 있는 폭력적 상황과 그로인한 상처의 치유가 일정 부분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3.15 in 1960 to denounce women protest election fraud and the sire of 1979 Uprising, and the 1980 uprising, including 5.18 of the heroic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despite always subordinate to men, and women as a ‘normal’ ...
3.15 in 1960 to denounce women protest election fraud and the sire of 1979 Uprising, and the 1980 uprising, including 5.18 of the heroic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despite always subordinate to men, and women as a ‘normal’ ‘roles and behavior patterns have been limited. We are a democratic movement to sanction re-read the entire text in the works or feel silenced or pushed around and having ideologically distorted representation - in particular clarify the issue of women would lead them to expand the effort to give voice need to pay. By doing so, the democratization of the discourse of democracy and human dignity, the ultimate goal will be reached on the full.
Major women writers of this article, ie, honghuidamgwa gongseonok deungdanjak or their representative of the small facility in May, “flags” and “thirsty season,” I tried to read the back.
“Flag” is pronounced more than anything in the complaint in May, while horrors of protest, and to the point where the subject is presented clearly. However, a 5-month against two other novels in an overlapping Features Why is the novel because there is nothing remarkable. 71% of the nots class, and these sub-subjects, while almost as a single rigid nature of anger is presented only as a weak point is the two novels. Availability of the history of violence and embrace reconciliation rather than of a woman wrapped around the castle with a lower point that aneuryeo aspects of writing the feminine subject is shown as a point to note is the point.
“Thirsty Season” at the women - the mother of their children adequately look after her is not compassion, and I feel guilty about. These women with their own fantasies about the perfect mother, and as a mother forced to not function properly makes himself atomization. Such a male-dominated patriarchal ideology of motherhood myth province the ability to reproduce and, through a feature called her women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presence of women and mothers all traps on the walls of an unrealistic notion. Therefore, in a novel maternal-mother, but women - does not have the women. However, the “thirsty season” of women jamaeae (Sisterhood) by trying to overcome their injuries in that Trauma May we (trauma) in the treatment room for the one paid attention to.
Honghuidam “flag” and Kongseonok the “thirsty season,” both over-the notion of the artist of the people overwhelmed by the details of real life figures, these women - almost angry child as a single subject, while being presented only with the rigid nature have weaknesses. Nevertheless, the women identified themselves as many different subjects which are positive that the woman reaches the age jamaeaejeok, and from there to find productive and transforming force in May, the survivors - especially women facing violent situations and in a certain portion of the resulting wound healing is thought possibl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자, "후기근대의 페미니즘 담론" 여이연 2004
2 김경희, "한국 현대소설의 모성성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5
3 앤 부룩스, "포스트페미니즘과 문화 이론" 한나래 2003
4 이정옥, "페미니즘과 모성-거부와 찬양의 변증법, In 모성의 담론과 현실-어머니의 성ㆍ삶ㆍ정체성" 나남신서 1999
5 캐롤린 라마자노글루, "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인가" 문예출판사 1997
6 태혜숙,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한국여성학회 13 (13): 1997
7 박미선, "지구지역시대 젠더이론의 쟁점 : 여성, 민족, 국가, 그리고 재기억의 텍스트 정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08
8 이성욱, "오래 지속될 미래, 단절되지 않는 ‘광주’의 꿈, In 5․18민중항쟁과 문학․예술" 5․18기념재단 2006
9 이덕화, "여성문학에 나타난 근대체험과 타자의식" 예림기획 2005
10 죠지 카치아피카스, "여성과 민주화운동" 경인문화사 2004
1 이수자, "후기근대의 페미니즘 담론" 여이연 2004
2 김경희, "한국 현대소설의 모성성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5
3 앤 부룩스, "포스트페미니즘과 문화 이론" 한나래 2003
4 이정옥, "페미니즘과 모성-거부와 찬양의 변증법, In 모성의 담론과 현실-어머니의 성ㆍ삶ㆍ정체성" 나남신서 1999
5 캐롤린 라마자노글루, "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인가" 문예출판사 1997
6 태혜숙,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한국여성학회 13 (13): 1997
7 박미선, "지구지역시대 젠더이론의 쟁점 : 여성, 민족, 국가, 그리고 재기억의 텍스트 정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08
8 이성욱, "오래 지속될 미래, 단절되지 않는 ‘광주’의 꿈, In 5․18민중항쟁과 문학․예술" 5․18기념재단 2006
9 이덕화, "여성문학에 나타난 근대체험과 타자의식" 예림기획 2005
10 죠지 카치아피카스, "여성과 민주화운동" 경인문화사 2004
11 강현아, "여성과 민주화운동" 경인문화사 2004
12 마리아 미스․반다나 시바, "에코페미니즘" 창비 2000
13 베레나 카스트, "애도" 궁리 2007
14 김형중, "봄날 이후, In 5․18민중항쟁과 문학예술" 5․18기념재단 2006
15 팸 모리스, "문학과 페미니즘" 문예출판사 1997
16 공선옥, "목마른 계절, In 5월광주대표소설집" 풀빛 1995
17 류보선, "망각이라는 폭력, 그리고 망각의 기원" 문학동네 2000
18 이희원,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 페미니즘, In 페미니즘, 차이와 사이" 문학동네 2011
19 홍희담, "깃발" 창작과비평사 2003
20 방민호, "광주항쟁의 소설화, In 5․18민중항쟁과 문학․예술" 5․18기념재단 2006
21 정문권, "광주민중항쟁의 문학적 형상화 - 홍희담의 『깃발』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회 (66) : 259-278, 2008
22 김태현, "광주민중항쟁과 문학" 실천문학사 1990
23 고 은, "광주5월민중항쟁 이후의 문학, In 광주5월 민중항쟁" 풀빛 1990
24 김양선, "광주 민중 항쟁 이후의 문학과 문화 - 젠더를 축으로 한 다시 읽기의 정치학" 한국여성문학학회 (17) : 7-30, 2007
25 이덕화, "공선옥론 2 : 반란의 시학, 삶의 거리 지키기, In 문학 속의 여성" 문학 속의 여성 2002
26 김미영, "공선옥 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 고찰" 현대문학이론학회 (24) : 95-120, 2005
27 윤광옥, "공선옥 소설 연구-여성, 약자, 자연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13 : 2003
28 한순미, "고통, 말할 수 없는 것 : 역사적 기억에 대해 문학은 말할 수 있는가" 호남학연구원 1 (1): 91-131, 2009
29 황정현, "80년대 소설론-중․단편을 중심으로, In 5․18민중항쟁과 문학․예술" 5․18기념재단 2006
30 장세진, "80년대 문학의 사회사적 의미" 한국비평문학회 3 : 1989
31 이춘희, "5월항쟁에 있어서 여성활동, In 광주민중항쟁과 여성" 5월 여성연구회,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91
32 심영의, "5․18과 기억, 그리고 소설" 한국문화사 2009
33 안혜련, "5.18문학의 대안적 여성성 구현 양상 연구공선옥.송기숙.최윤.홍희담의 소설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2 (2): 261-280, 2002
34 차원현, "5.18과 한국소설" 한국현대문학회 31 (31): 439-467, 201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9-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1 | 0.555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