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에 관한 사례 연구 -D대학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Support in the COVID-19 Situation -With a Focus on D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27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is support, and based on the results, to seek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ir online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potential spread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and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support neede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Method]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at D University, and based o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tend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and essence of human experiences and even their deep implications within various phenomen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view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y were receiving online education after applying for online education support and they desired different types of online education support according to their mainly used communication modes. At present, most universit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primarily use verbal communication, and in this case, they prefer shorthand interpretation. However, many students experienced the difficulty of not receiving the support they wanted due to a shortage of professional workers placed at D University. This lack of support lower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online educational content and they exhibited various limitations at school. Hence,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hope that workers supporting online education will also be changed in line with changes in primary communication method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areas for improvement in providing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it is recommended to make concrete efforts to improve the general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and create an environment of embracing them, secure the budget for developing online education support systems and deploy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 real-time subtitling systems, and continue to provide information to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 In order to provide online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ir online education support needs, and a procedure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online education support services is also needed.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is support, and based on the results, to seek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is support, and based on the results, to seek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ir online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potential spread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and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support neede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Method]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at D University, and based o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tend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and essence of human experiences and even their deep implications within various phenomen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view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y were receiving online education after applying for online education support and they desired different types of online education support according to their mainly used communication modes. At present, most universit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primarily use verbal communication, and in this case, they prefer shorthand interpretation. However, many students experienced the difficulty of not receiving the support they wanted due to a shortage of professional workers placed at D University. This lack of support lower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online educational content and they exhibited various limitations at school. Hence,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hope that workers supporting online education will also be changed in line with changes in primary communication method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areas for improvement in providing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it is recommended to make concrete efforts to improve the general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and create an environment of embracing them, secure the budget for developing online education support systems and deploy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 real-time subtitling systems, and continue to provide information to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 In order to provide online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ir online education support needs, and a procedure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online education support services is also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COVID-19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청각장애대학생에게 적절한 온라인 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그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지원 요구를 밝히는데 있다. [방법] D대학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대학생 4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현상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인간이 가지는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고 다양한 현상 안에 내포된 깊은 의미까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를 살펴보면, 자신이 희망하는 온라인 교육 지원을 신청하여 지원을 받고 있었으며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양식에 따라 희망하는 온라인 교육 지원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청각장애대학생 대부분의 경우 구어를 주요 의사소통으로 사용하는 학생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경우 속기 통역 지원을 희망하지만 현재 D대학에 배치된 전문 인력 부족으로 희망하는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다수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부족으로 인하여 온라인 교육 내용의 이해도는 떨어졌으며, 학교생활에서의 한계점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청각장애대학생들은 주요 의사소통 방법이 변화됨에 따라 온라인 교육 지원 인력 또한 변화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둘째,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시 개선과제를 살펴보면,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수용 환경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 안정적인 온라인 교육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예산 확보 및 전문 인력 배치, 실시간 자막 시스템 개발, 청각장애대학생에게 지속적인 안내 제공 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 청각장애대학생의 요구에 맞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온라인 교육 지원 요구를 조사해야 할 것이며, 또한 가장 적절한 온라인 교육 지원 서비스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COVID-19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청각장애대학생에게 적절한 온라인 교육...

      [목적] 본 연구는 COVID-19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청각장애대학생에게 적절한 온라인 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그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지원 요구를 밝히는데 있다. [방법] D대학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대학생 4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현상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인간이 가지는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고 다양한 현상 안에 내포된 깊은 의미까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를 살펴보면, 자신이 희망하는 온라인 교육 지원을 신청하여 지원을 받고 있었으며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양식에 따라 희망하는 온라인 교육 지원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청각장애대학생 대부분의 경우 구어를 주요 의사소통으로 사용하는 학생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경우 속기 통역 지원을 희망하지만 현재 D대학에 배치된 전문 인력 부족으로 희망하는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다수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부족으로 인하여 온라인 교육 내용의 이해도는 떨어졌으며, 학교생활에서의 한계점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청각장애대학생들은 주요 의사소통 방법이 변화됨에 따라 온라인 교육 지원 인력 또한 변화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둘째,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시 개선과제를 살펴보면,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수용 환경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 안정적인 온라인 교육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예산 확보 및 전문 인력 배치, 실시간 자막 시스템 개발, 청각장애대학생에게 지속적인 안내 제공 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 청각장애대학생의 요구에 맞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온라인 교육 지원 요구를 조사해야 할 것이며, 또한 가장 적절한 온라인 교육 지원 서비스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정란, "햇살대학의 장애학생지원 실제와 요구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2 이지연 ; 성은모 ; 이지은 ; 임규연 ; 한승연,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71-692, 2020

      3 교육부,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4 박미혜 ; 권순우,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경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1 (21): 125-154, 2020

      5 공선희, "청각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6 이필상, "청각장애아동교육의 이해" 학지사 2015

      7 권순황, "청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전략 특성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49-271, 2010

      8 권순우, "청각장애 대학생의 학습 지원 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71-92, 2017

      9 윤은희 ; 최성규, "청각장애 대학생들에게 통역이 주는 의미 - D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183-209, 2016

      10 교육부, "처음으로 초·중·고·특 신학기 온라인 개학 실시"

      1 곽정란, "햇살대학의 장애학생지원 실제와 요구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2 이지연 ; 성은모 ; 이지은 ; 임규연 ; 한승연,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71-692, 2020

      3 교육부,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4 박미혜 ; 권순우,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경험"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1 (21): 125-154, 2020

      5 공선희, "청각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6 이필상, "청각장애아동교육의 이해" 학지사 2015

      7 권순황, "청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전략 특성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49-271, 2010

      8 권순우, "청각장애 대학생의 학습 지원 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71-92, 2017

      9 윤은희 ; 최성규, "청각장애 대학생들에게 통역이 주는 의미 - D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183-209, 2016

      10 교육부, "처음으로 초·중·고·특 신학기 온라인 개학 실시"

      11 정상원 ; 김영천, "질적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글쓰기의 전략과 방법의 탐구" 교육연구소 20 (20): 5-42, 2014

      12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9

      13 김영천 ; 정상원,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문서분석" 교육연구소 21 (21): 253-285, 2015

      14 교육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에 따른 교육 분야 관련사항"

      15 하태용,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친밀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16 문은희,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17 김성애 ; 박찬웅 ; 이해균, "장애 대학생 학업성취 실태 및 대학생활 욕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335-357, 2003

      18 김태숙 ; 권순우,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경험과 자녀의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243-273, 2019

      19 김문락 ; 장현숙, "인공와우 착용아동의 휴대전화 사용시 말 지각 능력 평가"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18, 2006

      20 김영익 ; 권순우, "이중언어 환경에 놓인 청각장애아동의 언어발달과 사용 수단에 관한 종단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2 (22): 153-180, 2021

      21 McKenzie, L., "Taking colleges online: How smart institutionals and their leaders can approach online education now and in a postcoronavirus world" Inside Higher Ed 2020

      22 Lieberman, L. J., "Peer tutors’effects on activity levels of deaf students in inclusiv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7 (17): 20-39, 2000

      23 UNESCO, "Distance learning strategies in response to COVID-19 school closures. UNESCO COVID-19 Education Response Education Sector issue notes" 2020

      24 이현주 ; 이지연 ; 오은주 ; 장현숙, "COVID-19 상황에서 통합학급 청각장애 학생의 온라인 수업 실태와 요구도 조사" 특수교육연구소 36 (36): 327-348, 2020

      25 교육부, "2021 특수교육 통계" 교육부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