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장애 자녀의 연령에 따라 장애인 가족 지원에 대한 부모의 욕구는 어떠한지 집단별 분석하여 전생애주기에 걸친 장애인 가족 지원의 체계적 시스템 구축 및 적절한 지원 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92712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3-67(3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장애 자녀의 연령에 따라 장애인 가족 지원에 대한 부모의 욕구는 어떠한지 집단별 분석하여 전생애주기에 걸친 장애인 가족 지원의 체계적 시스템 구축 및 적절한 지원 방...
[목적] 본 연구는 장애 자녀의 연령에 따라 장애인 가족 지원에 대한 부모의 욕구는 어떠한지 집단별 분석하여 전생애주기에 걸친 장애인 가족 지원의 체계적 시스템 구축 및 적절한 지원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시사점 및 함의점을 도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부모 자신의 삶을 중심 관점으로 하여 장애 자녀와 함께 지내는 부모의 가족 지원 욕구에 대해 장애 자녀 연령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목적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으며, 장애 자녀의 생애주기별로 나누어 영유아기, 초등 학령기, 중등 학령기, 성인 초기(전공과 포함), 성인 중기의 다섯 집단으로 구분하여 총 23명이 참여하였으며, 집단별 별도로 다섯 번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초점집단면담 분석 결과 5개 면담 집단에서 모두 (1)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 지원, (2) 비장애 자녀에 대한 관심과 지원, (3) 활동지원 서비스의 세 가지 요구가 공통적인 쟁점으로 도출되었다. 이 세 가지 요구는 세부적으로 집단별로 생애주기에 따라 내용 측면에서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지원 서비스의 경우, 모든 집단에서 동일한 문제점을 지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가족 지원 시 장애 당사자 뿐 아니라 부모와 비장애 형제자매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는 체계적 시스템 정착을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as a basic study to establish a systematic system of family supports with disabilities throughout their entire life cycle and to seek appropriate support directions by analyzing the needs of par...
[Purpose]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as a basic study to establish a systematic system of family supports with disabilities throughout their entire life cycle and to seek appropriate support directions by analyzing the needs of parents for family suppor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age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by focusing on the life of the parents themsel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arents' family support needs fo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ross their age. [Method] In order to derive resul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which divid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five life cycles: early childhood, elementary school age, middle and high school age, early adulthood, and adulthood. A total of 23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groups, and f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separately for each group. [Results] As a result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three requests were identified as common issues in all five interview groups: (1) parenting stress and self-support, (2) interest and support for non-disabled children, and (3) activity support service. These three needs were found to show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ntent according to the life cycle of each group in detail. In the case of the activity support service, it was analyzed that the same problem was pointed out by all group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system including support for parents and non-disabled siblings as well as individuals with disbailites was suggested when supporting disabled familie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은영 ; 박성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중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실태"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37, 2018
2 신준섭 ; 이강훈 ; 김경수 ; 이용일, "장애인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 - 충북지역 거주 재가 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7) : 361-385, 2011
3 임종호, "장애인복지론" 학지사 2010
4 이영미, "장애인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성과의 관계에서 조부모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5) : 59-81, 2014
5 김영란, "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부모를 위한 돌봄 지원방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6 김기룡 ; 강경숙 ; 이명희, "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 이용 현황 및 만족도 조사" 특수교육연구소 15 (15): 205-229, 2016
7 서정아, "장애아동・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장애아동・청소년 가족 지원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8 유영준 ; 이명희 ; 백은령 ; 최복천, "장애아동․청소년 가족의 양육부담 및 가족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0 (10): 209-234, 2011
9 구자현 ; 한경임, "장애아동 비장애 형제 생활경험의 근거이론적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99-218, 2008
1 강은영 ; 박성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중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실태"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37, 2018
2 신준섭 ; 이강훈 ; 김경수 ; 이용일, "장애인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 - 충북지역 거주 재가 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7) : 361-385, 2011
3 임종호, "장애인복지론" 학지사 2010
4 이영미, "장애인가족의 돌봄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성과의 관계에서 조부모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5) : 59-81, 2014
5 김영란, "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부모를 위한 돌봄 지원방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6 김기룡 ; 강경숙 ; 이명희, "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 이용 현황 및 만족도 조사" 특수교육연구소 15 (15): 205-229, 2016
7 서정아, "장애아동・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장애아동・청소년 가족 지원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8 유영준 ; 이명희 ; 백은령 ; 최복천, "장애아동․청소년 가족의 양육부담 및 가족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0 (10): 209-234, 2011
9 구자현 ; 한경임, "장애아동 비장애 형제 생활경험의 근거이론적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99-218, 2008
10 양경애, "장애아동 가족의 지원서비스에 대한 욕구조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11 김영숙, "장애아가족의 가족지원제도의 요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ㆍ제도적 개선방안"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95-418, 2010
12 김승권, "인구 및 가족정책의 당면과제와 발전방향" 62 : 54-64, 2001
13 백은령 ; 오혜경 ; 전동일, "여성장애인의 취업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223-248, 2007
14 이연재 ; 임혜경, "언어 네트워크를 활용한 발달장애인 가족지원 연구동향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5 (25): 171-200, 2021
15 김진희 ; 이상진, "성인 발달장애인 가족의 가족지원 서비스 이용현황 및 개선 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 31 (31): 149-173, 2021
16 양숙미, "발달장애인의 보호제공자 (caregiver) 를 위한 가족지지모델(family support modes) 고찰" 5 : 73-93, 2000
17 나장함, "교과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타당도 확보 기법에 대한 고찰 -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감사추적을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70 : 233-254, 2017
18 이미경, "가족지원정책유형에 따른 아동수당제도 비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19 이경아, "가족복지와 자녀양육관련 정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0 김유경, "가족ㆍ아동ㆍ장애인복지 현황과 정책과제" 2016 (2016): 66-80, 2016
21 Meyer, D., "Sibshops. In Workshops for sibling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rookes 1994
22 Trainor, A. A., "Evaluating rigor in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dissemination" 35 (35): 267-274, 2014
23 Burke, P., "Brothers and sisters of disabled children : The experience of disability by association" 40 (40): 1681-1699, 2010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특수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국내 보편적 학습설계(UDL)중재연구 분석: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에 관한 사례 연구 -D대학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2-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5-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8-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 |
2006-06-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 |
2006-05-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3 | 1.33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8 | 1.518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