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외감법 시행이라는 경영환경 변화에 맞춰 K社에서 수행한 PBL 방식의 감사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분석을 통해 내부감사 조직의 전문성 제고 및 역량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22897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1-168(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외감법 시행이라는 경영환경 변화에 맞춰 K社에서 수행한 PBL 방식의 감사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분석을 통해 내부감사 조직의 전문성 제고 및 역량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감법 시행이라는 경영환경 변화에 맞춰 K社에서 수행한 PBL 방식의 감사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분석을 통해 내부감사 조직의 전문성 제고 및 역량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社의 실전감사 교육인 모의감사(Mock-Audit) 프로그램의 개발-적용과정을 탐구하고, 현업적용도 인터뷰를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K社는 최초 요구분석을 통해 우선적으로 개발이 필요한 역량을 확인하여 학습목표를 설정하였고, 실제 진행되었던 감사사례를 기반으로 가상의 문제 및 학습자원을 개발하였다. 이후 Barrows와 Myers(1994)의 PBL 5단계 모형을 활용하여 교육을 설계․ 운영하였으며, 그 결과 학습자들의 감사역량이 향상되었다. 현업적용도 인터뷰 결과 역량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 핵심요인은 실제 업무상황과의 높은 유사성, 생생한 현장감으로 인한 몰입, 숙련된 코치의 실시간 조언, 보고서 작성 후 상호 비교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감사역량개발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PBL방식을 제안하고 주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enhancement of expertise and capacity development of the internal audit organiz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PBL-type audi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conducted by Company K. To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enhancement of expertise and capacity development of the internal audit organiz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PBL-type audi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conducted by Company K. To this end, we explored the development-application process of Mock-Audit program, which is company K's practical audit training, and verified learners' perception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job application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Company K established a learning goal by clarifying competencies needs to be developed firstly through the initial needs analysis, and developed a imaginary problem an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the actual audit case. After that, training program was designed and developed by using the 5-step PBL (Problem-Based Learning) model of Barrows and Myers (1994). As a result, the auditing competency of learners was improved. As a result of the job application interview, the critic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competency change were the high similarity with actual work situation, the engagement due to vivid sense of realism, real time advice from experienced coaches, and the intercomparison after writing the repor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oposed the PBL as a main learn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audit competency and discussed key implications.
참고문헌 (Reference)
1 흑자경영연구소, "흑자경영연구소 내부감사 공개강좌 교육과정 안내"
2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생산성본부 경영기획 내부감사 교육과정"
3 연합인포맥스, "한국거래소, 감사의견 거절 發 상장폐지 사유발생 잇따라"
4 김길모, "집단지성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23-32, 2011
5 Jan, D., "직접해보는 사례연구" 피와이메이트 2017
6 고명숙, "직무역량과 직무만족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22 (22): 27-52, 2020
7 송건섭, "지방자치단체 자체감사의 주요쟁점 분석" 한국정부학회 21 (21): 431-455, 2009
8 노승용, "지방자치단체 자체감사 효과성 제고"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195-215, 2010
9 이진구, "전략적 인재개발 프로세스를 적용한 핵심직무 전문가 양성사례"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1-26, 2013
10 유기웅, "적 연구방법의 이해-개정판" 박영사 2018
1 흑자경영연구소, "흑자경영연구소 내부감사 공개강좌 교육과정 안내"
2 한국생산성본부, "한국생산성본부 경영기획 내부감사 교육과정"
3 연합인포맥스, "한국거래소, 감사의견 거절 發 상장폐지 사유발생 잇따라"
4 김길모, "집단지성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23-32, 2011
5 Jan, D., "직접해보는 사례연구" 피와이메이트 2017
6 고명숙, "직무역량과 직무만족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22 (22): 27-52, 2020
7 송건섭, "지방자치단체 자체감사의 주요쟁점 분석" 한국정부학회 21 (21): 431-455, 2009
8 노승용, "지방자치단체 자체감사 효과성 제고"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195-215, 2010
9 이진구, "전략적 인재개발 프로세스를 적용한 핵심직무 전문가 양성사례"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1-26, 2013
10 유기웅, "적 연구방법의 이해-개정판" 박영사 2018
11 심호, "자체감사와 조직역량" 박영사 2013
12 이혜승, "자체감사기구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과제" 107-134, 2009
13 류인칠, "우리나라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내부통제제도 비교연구"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7 (17): 71-92, 2020
14 박동열,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63-87, 2006
15 매일경제, "신외감법 적용으로 2020년 달라지는 규정"
16 Yin, R.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6
17 박인옥, "문제중심학습(PBL)이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40 : 162-189, 2001
18 박은숙, "문제기반학습(PBL)" 2014
19 최정임,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3 (23): 35-65, 2007
20 정주영, "누구나 쉽게 활용하는 PBL과 액션러닝 가이드북: 술술 풀리는PBL과 액션러닝" 학지사 2012
21 이윤규, "내부감사 내부통제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공기업을 대상으로" 한국회계정보학회 20 (20): 19-42, 2020
22 김준희, "기업내 문제중심학습(PBL)에서 튜터의 인지적 역할과 학습전이의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21 (21): 177-200, 2019
23 강인애, "기업 내 의사소통과 정보공유 활성화를 위한 PBL 프로그램 사례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13 (13): 155-179, 2011
24 강인애, "구성주의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국내외 연구동향 비교" 한국교육공학회 22 (22): 105-135, 2006
25 오인경,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학지사 2005
26 유승현, "공공부문 자체감사인력의 감사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3 (23): 125-159, 2014
27 조형석, "공공부문 자체감사의 역량수준 변화 분석 : 법률 시행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2 (22): 125-154, 2013
28 신민철, "공공부문 자체감사기구 평가제도를 통한 역량진단에 관한 연구 : 서울시 투자·출연기관을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26 (26): 31-56, 2021
29 진상기, "공공기관 자체감사 역량 진단 및 개선에 관한 연구:상임감사 직무수행 실적 평가 대상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2 (22): 91-125, 2012
30 심광호, "공공감사의 품질과 수용도의 관계 연구: 조달행정에 대한 감사원 감사 및 자체감사에 대한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5 (15): 207-242, 2011
31 이혜승, "공공감사의 수용성 제고방안 : 협력적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감사연구원 2010
32 주현재, "고등교육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의 학습원칙에 기반한 PBL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419-448, 2011
33 윤세현, "경영이슈 해결을 위한 전략적 HRD Practice KT&G의‘Audit Expert Program’" 5 : 72-75, 2019
34 감사교육원, "감사교육원 교육과정안내"
35 Cho, Y. S., "Theoretic basis of PBL: View of knowledge and education value" 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Education Research 2003
36 Boud, D., "The challenge of problem-based learning"
37 Siddiqui, J., "The audit expectations gap and the role of audit education : the case of an emerging economy" 24 (24): 564-583, 2009
38 Huck, S. W., "Reading statistics and research" Pearson Education 2008
39 Arter, D. R., "Quality Audits for Improved Performance" ASQ 2002
40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1990
41 Barrows, H. S., "Problem-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Springer Pub. Co. 1980
42 Woods, D., "Problem-based learning: How to gain the most from PBL" McMaster University 1994
43 Barrows, H. S., "Problem-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Problem-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School, an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al 1994
44 Barrows, H.,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ine and beyond: A brief overview" 1996 (1996): 3-12, 1996
45 Israa M. Alkhasawneh, "Problem-based learning (PBL): Assessing students’ learning preferences using vark" Elsevier BV 28 (28): 572-579, 2008
46 Barrows, H.,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94
47 강인애, "PBL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2003
48 강인애, "PBL의 실천적 이해" 문음사 2007
49 장경원, "PBL(문제중심학습)로 수업하기"
50 IIA, "International Professional Practices Framework: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Internal Audit" IIA Research Foundation 2009
51 Delisle, R.,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7
52 현영섭, "Competency-based Curriculum(CBC)를 적용한 고객응대역량 모델링 및 CS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 H社의 판매 및 정비직을 대상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0 (10): 195-222, 2008
53 Eric N. J., "Challenges to Audit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A Survey of Curricula, Course Content, and Delivery Methods" American Accounting Association 18 (18): 241-263, 2003
54 Melinda Timea Fulop, "Audit education role in decreasing the expectation gap" Informa UK Limited 94 (94): 306-313, 2019
55 Elliott, R., "Assurance service opportunities: Implications for academia" 11 : 61-74, 1997
56 조동헌,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진로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 대한공업교육학회 44 (44): 190-208, 2019
57 강인애, "21세기 기업교육에 적합한 교육방법 :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9 : 68-71, 1996
직업상담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자율성, 경력개발지원 및 전문직업성의 구조적 관계
개인-직무 적합성이 전문직 자아개념을 통해 대화경찰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역할모호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비인격적 감독에 관한 메타 분석: 국내 실증 연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12-1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력개발연구 -> HRD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1 | 2.1 | 2.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8 | 2.1 | 3.561 | 0.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