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매체 언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그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은 학습 영역으로서 영어 교육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4903
-
2009년
Korean
매체 언어 교육 ; media education of Australia ; language education ; second language(L2) ; school of Korean education ; overseas Korean ;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 language arts curriculum Korean education in Australia ; Korean educa ; 미디어 교육 ; 호주의 매체 언어 교육 ; 호주의 자국어 교육 ; 호주의 교육과정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매체 언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그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은 학습 영역으로서 영어 교육의 ...
이 연구의 목적은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매체 언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그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은 학습 영역으로서 영어 교육의 성격, 텍스트와 언어 교육 영역, 성취 수준에 대해 진술하고 있다. 호주 교육과정에서 영어는 학생들이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며, 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학습 영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텍스트의 범주는 문학, 실용문, 매체로 구분하고, 각 텍스트에 대해 맥락 이해, 언어 구조와 특징, 전략으로 세분화하여 언어 교육 영역 및 성취 수준을 제시하였다.
매체 텍스트는 맥락 이해, 언어 구조와 특징, 전략의 범주로 나뉘어 학습 목표와 내용이 각각 제시되어 있다. 매체 언어 교육을 위한 학습 영역 구분도 주(state)별로 다른 양상을 띠는데, 주로 이해 과정으로서 ‘보기’와 표현 과정으로서의 ‘쓰기’ 영역 설정이 일반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goals, contents and aspect of media education in Australian English Curriculum. It is mentioned about English as an area of learning, texts & languages strand, bands in A Statement on English for Australian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goals, contents and aspect of media education in Australian English Curriculum.
It is mentioned about English as an area of learning, texts & languages strand, bands in A Statement on English for Australian schools. English is that area of the curriculum where students study and use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Texts strand includes literature, mass media are everydays texts and language strand involves contextual understanding, linguistic structures and features and strategies. The Bands are divided from A to D.
The areas for media educ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state, but generally 'viewing' area is set up for understanding of media massages and 'writing' area is fixed for production of media 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