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형 농촌전원학교 교육활동경험이 고등학교 진학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연구 = Qualitative study on influences of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in urban type rural school on decision to go on the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2624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2018.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050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iv, 75 p. ; 26 cm

      • 일반주기명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윤주

      • UCI식별코드

        I804:47017-20000010660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Qualitative study on influences
      of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in urban type rural school
      on decision to go on to high school

      Bae Hyun Suk

      Major in counselling psychology a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Academic advisor Lee Yoon Jo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at experiences middle school students in transformative environment have through various education activities of urban type rural schools which are easy to access as they are close to large cities, and what influences the education experiences have on decision to go on to high schools. In this study, urban type rural schools mean nature friendly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myun in terms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re close to cities in terms of transportation, and have beautiful landscape. They also mean the schools which make efforts to overcome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chools and attempt new education with their own educational ideology and original operation method within the public educational framework. As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24 students of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G in Dalseong-gu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interviewed from March, 2017 to February, 2018 in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by forming a certain theme for 4~8 participants. Depending on high schools to be attended, a total of 12 rounds were conducted as each rounds were conducted for group A(ordinary high schools), group B(special purpose high schools), group C (autonomous high schools), and group D(specialized high schools). In addition, as for the interview form, semi-open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prepared basic questions and necessary questions were additionally asked in accordance with the prepared analysis process. After the interview for group A was finish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group A, the interview for group B was conducted. The word-for-word record of the interview was repeatedly read to extract the concept of the minimum meaning unit and to induce categorization of the extracted concepts with common traits. The induced concepts and categorization were examined, common contents were confirmed and categorized again repeatedly. After the 1st analysis, when the 1st analysis results were examined, if problems to be resolved again are found or there are parts where concepts or categorization need to be revised, through the 2nd analysis modification was made, and the work of dividing concepts and categorization was conducted. In the 3rd analysis, changes about areas were made and categorization was confirmed. While the 3rd analysis results are examined again, the number of meaning data was check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checking th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inal examination process.
      This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G were induced from six categories such as 1) self-discovery, 2) competence improvement, 3) career search, 4) whole-person change, 5) self-directed learning, 6) close relationship building. The factors that thes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affect were categorized largely into two such as 1) personal factor, 2) social factor.
      The conclusions earned from the factors which provided thes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in the uniqu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s in the urban type rural schools, not from the text books study of simply memorizing knowledge, but directly experiencing through various activities other than text books study, students naturally had positive experiences of self-discovery, competence improvement, career search, whole-person change, self-directed learning, and close relationship building.
      Second, as for the influences that uniqu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s of urban type rural schools have on the decision about high schools, students initially had difficulties because of lack of time, increased academic load, and insufficient ability to utilize time, but changed in a positive way and grew further. In the process, they came to learn by themselves, and think deeply, and they determined high schools among ordinary high schools,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utonomous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they want to go as they grew further through whole-person changes.
      In summary. urban type rural schools' nature friendly school environment and the differentiated and uniqu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from other schools, which allow students to grow with balanced knowledge and sensibility with the goal of making students to have cultural ability, maximized desire for exploration, and creative courage to be prepared for the future provided students with positive influences. Not academic performance, but personal factors such as interest, ability, value development as well as influences from schools and regional community made students to determine which high school they would go in a self-directed way.
      번역하기

      Abstract Qualitative study on influences of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in urban type rural school on decision to go on to high school Bae Hyun Suk Major in counselling psychology a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Academic ...

      Abstract

      Qualitative study on influences
      of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in urban type rural school
      on decision to go on to high school

      Bae Hyun Suk

      Major in counselling psychology a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Academic advisor Lee Yoon Jo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at experiences middle school students in transformative environment have through various education activities of urban type rural schools which are easy to access as they are close to large cities, and what influences the education experiences have on decision to go on to high schools. In this study, urban type rural schools mean nature friendly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myun in terms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re close to cities in terms of transportation, and have beautiful landscape. They also mean the schools which make efforts to overcome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chools and attempt new education with their own educational ideology and original operation method within the public educational framework. As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24 students of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G in Dalseong-gu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interviewed from March, 2017 to February, 2018 in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by forming a certain theme for 4~8 participants. Depending on high schools to be attended, a total of 12 rounds were conducted as each rounds were conducted for group A(ordinary high schools), group B(special purpose high schools), group C (autonomous high schools), and group D(specialized high schools). In addition, as for the interview form, semi-open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prepared basic questions and necessary questions were additionally asked in accordance with the prepared analysis process. After the interview for group A was finish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group A, the interview for group B was conducted. The word-for-word record of the interview was repeatedly read to extract the concept of the minimum meaning unit and to induce categorization of the extracted concepts with common traits. The induced concepts and categorization were examined, common contents were confirmed and categorized again repeatedly. After the 1st analysis, when the 1st analysis results were examined, if problems to be resolved again are found or there are parts where concepts or categorization need to be revised, through the 2nd analysis modification was made, and the work of dividing concepts and categorization was conducted. In the 3rd analysis, changes about areas were made and categorization was confirmed. While the 3rd analysis results are examined again, the number of meaning data was check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checking th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inal examination process.
      This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G were induced from six categories such as 1) self-discovery, 2) competence improvement, 3) career search, 4) whole-person change, 5) self-directed learning, 6) close relationship building. The factors that thes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affect were categorized largely into two such as 1) personal factor, 2) social factor.
      The conclusions earned from the factors which provided thes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in the uniqu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s in the urban type rural schools, not from the text books study of simply memorizing knowledge, but directly experiencing through various activities other than text books study, students naturally had positive experiences of self-discovery, competence improvement, career search, whole-person change, self-directed learning, and close relationship building.
      Second, as for the influences that uniqu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s of urban type rural schools have on the decision about high schools, students initially had difficulties because of lack of time, increased academic load, and insufficient ability to utilize time, but changed in a positive way and grew further. In the process, they came to learn by themselves, and think deeply, and they determined high schools among ordinary high schools,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utonomous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they want to go as they grew further through whole-person changes.
      In summary. urban type rural schools' nature friendly school environment and the differentiated and uniqu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from other schools, which allow students to grow with balanced knowledge and sensibility with the goal of making students to have cultural ability, maximized desire for exploration, and creative courage to be prepared for the future provided students with positive influences. Not academic performance, but personal factors such as interest, ability, value development as well as influences from schools and regional community made students to determine which high school they would go in a self-directed w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 초록

      도시형농촌전원학교교육활동경험이고등학교 진학의사결정에미치는영향에 관한 질적연구

      배 현 숙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지도교수 이 윤 주

      본 연구는 전환기적 환경에 놓여 있는 중학생들이 대도시와 인접해 교통이 편리한 도시형 농촌 농촌전원학교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이 학교교육활동경험들을 통해 고등학교 진로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시형 농촌전원학교라 함은 행정구역상 면지역에 위치하며 교통여건상 도시와 가까운 농촌학교로 자연 경관이 아름다운 자연 친화적인 학교로, 공교육 틀 안에서 교육이념 및 운영 방식의 독창성을 가지고 기존의 학교교육이 지닌 근본적인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며 새로운 교육을 시도하는 학교를 말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소재 G중학교 3학년 24명을 연구 대상자로 2017년 3월부터 2018년 2월까지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방법으로 특정한 목적의 주제를 4명~8명의 참여자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진학 예정 고등학교 유형별로 A그룹(일반고), B그룹(특목고), C그룹(자율고), D그룹(특성화고) 각 3회씩 총 1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또한 인터뷰 형식은 반개방형으로 진행하여 미리 준비한 기본적인 질문을 바탕으로 필요한 질문을 추가로 제시하여 인터뷰를 이끌어가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미리 계획된 분석과정을 따라 이루어졌다. A그룹 인터뷰가 끝난 후 A그룹 분석결과를 기초로 B그룹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의 축어록을 반복해서 읽으며 최소한의 의미 자료 단위인 개념을 추출하고, 추출한 개념 중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갖는 것끼리 묶어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개념과 범주에 대해 검토하고 공통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재분류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1차 분석 후, 1차 분석 결과를 검토하면서 다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견되거나 개념 및 범주 수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2차 분석을 통해 수정하였고, 개념과 법주에 대한 영역을 나누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졌다. 3차 분석에서 영역에 대한 수정과 개념, 범주에 대한 확정을 하였다. 3차 분석 결과를 다시 검토하면서 의미자료 수를 체크하였고, 이를 대조하고 점검하는 작업을 하면서 최종 검토과정을 거치며 질적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 G중학교 학생들의 교육활동 경험의 특징은 1) 자아발견, 2) 역량개발, 3) 진로탐색, 4) 전인적 변화, 5) 주도적 학습, 6) 친밀한 관계형성의 여섯 가지 범주에서 도출되었다. 이러한 교육활동 경험이 고등학교 진학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은 크게 1) 개인적 요인, 2) 사회적 요인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특징과 영향을 준 요인들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활동경험에서 단순히 지식을 암기해서 외우는 방식의 교과공부가 아닌, 교과 공부 외에 다양한 활동을 통해 스스로 부딪혀보고, 직접 경험하는 과정의 연속선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학생들은 자아발견, 역량개발, 진로탐색, 전인적 변화, 주도적 학습, 친밀한 관계형성의 긍정적인 경험들을 하였다.
      둘째,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활동경험이 고등학교 진학결정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여유부족, 늘어난 학습량과 부족한 시간활용능력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하게 되었다. 그 속에서 많은 것을 체득하고 깊게 생각할 줄 알게 되면서 한 뼘 더 성장하게 되어 전인적 변화를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적성에 맞는 일반고, 특목고, 자율고, 특성화고등학교로 진학을 결정했다.
      이를 종합해 보면,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자연친화적인 학교환경과 학생들이 미래 사회를 대비해 문화적 역량과 탐구의욕을 극대화하여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용기 있는 학생을 교육목표로 삼아, 지성과 감성이 균형 있게 성장할 수 있도록 타학교와 차별화 된 특색 있는 교육활동경험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단순히 성적으로 고등학교를 결정하지 않고 흥미, 능력, 가치의 발달과 같인 개인요인 뿐만 아니라 학교 및 지역사회 등의 영향을 받아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찾아 고등학교 진학결정을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국문 초록 도시형농촌전원학교교육활동경험이고등학교 진학의사결정에미치는영향에 관한 질적연구 배 현 숙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지도교수 이 윤 주 본 연구는 전환...

      국문 초록

      도시형농촌전원학교교육활동경험이고등학교 진학의사결정에미치는영향에 관한 질적연구

      배 현 숙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지도교수 이 윤 주

      본 연구는 전환기적 환경에 놓여 있는 중학생들이 대도시와 인접해 교통이 편리한 도시형 농촌 농촌전원학교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이 학교교육활동경험들을 통해 고등학교 진로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시형 농촌전원학교라 함은 행정구역상 면지역에 위치하며 교통여건상 도시와 가까운 농촌학교로 자연 경관이 아름다운 자연 친화적인 학교로, 공교육 틀 안에서 교육이념 및 운영 방식의 독창성을 가지고 기존의 학교교육이 지닌 근본적인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며 새로운 교육을 시도하는 학교를 말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소재 G중학교 3학년 24명을 연구 대상자로 2017년 3월부터 2018년 2월까지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방법으로 특정한 목적의 주제를 4명~8명의 참여자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진학 예정 고등학교 유형별로 A그룹(일반고), B그룹(특목고), C그룹(자율고), D그룹(특성화고) 각 3회씩 총 1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또한 인터뷰 형식은 반개방형으로 진행하여 미리 준비한 기본적인 질문을 바탕으로 필요한 질문을 추가로 제시하여 인터뷰를 이끌어가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미리 계획된 분석과정을 따라 이루어졌다. A그룹 인터뷰가 끝난 후 A그룹 분석결과를 기초로 B그룹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의 축어록을 반복해서 읽으며 최소한의 의미 자료 단위인 개념을 추출하고, 추출한 개념 중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갖는 것끼리 묶어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개념과 범주에 대해 검토하고 공통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재분류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1차 분석 후, 1차 분석 결과를 검토하면서 다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견되거나 개념 및 범주 수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2차 분석을 통해 수정하였고, 개념과 법주에 대한 영역을 나누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졌다. 3차 분석에서 영역에 대한 수정과 개념, 범주에 대한 확정을 하였다. 3차 분석 결과를 다시 검토하면서 의미자료 수를 체크하였고, 이를 대조하고 점검하는 작업을 하면서 최종 검토과정을 거치며 질적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 G중학교 학생들의 교육활동 경험의 특징은 1) 자아발견, 2) 역량개발, 3) 진로탐색, 4) 전인적 변화, 5) 주도적 학습, 6) 친밀한 관계형성의 여섯 가지 범주에서 도출되었다. 이러한 교육활동 경험이 고등학교 진학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은 크게 1) 개인적 요인, 2) 사회적 요인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특징과 영향을 준 요인들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활동경험에서 단순히 지식을 암기해서 외우는 방식의 교과공부가 아닌, 교과 공부 외에 다양한 활동을 통해 스스로 부딪혀보고, 직접 경험하는 과정의 연속선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학생들은 자아발견, 역량개발, 진로탐색, 전인적 변화, 주도적 학습, 친밀한 관계형성의 긍정적인 경험들을 하였다.
      둘째,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활동경험이 고등학교 진학결정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여유부족, 늘어난 학습량과 부족한 시간활용능력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하게 되었다. 그 속에서 많은 것을 체득하고 깊게 생각할 줄 알게 되면서 한 뼘 더 성장하게 되어 전인적 변화를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적성에 맞는 일반고, 특목고, 자율고, 특성화고등학교로 진학을 결정했다.
      이를 종합해 보면,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자연친화적인 학교환경과 학생들이 미래 사회를 대비해 문화적 역량과 탐구의욕을 극대화하여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용기 있는 학생을 교육목표로 삼아, 지성과 감성이 균형 있게 성장할 수 있도록 타학교와 차별화 된 특색 있는 교육활동경험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단순히 성적으로 고등학교를 결정하지 않고 흥미, 능력, 가치의 발달과 같인 개인요인 뿐만 아니라 학교 및 지역사회 등의 영향을 받아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찾아 고등학교 진학결정을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8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8
      • 1. 도시형 농촌전원학교 8
      • 2. 진로의사결정 10
      • 3. 교육경험 12
      • 4. LTI(Learning Through Internship, 인턴쉽 학습) 프로젝트 19
      • 5. 체험학습 22
      • 6. 핵심역량 24
      • 7. 도시형 농촌전원학교 관련 선행연구 27
      • Ⅲ. 연구방법 29
      • 1. 연구 참여자 29
      • 2. 포커스 그룹 인터뷰 32
      • 3. 자료수집 33
      • 4. 분석과정 34
      • Ⅳ. 연구결과 35
      • 1.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교육활동에서 학생들의 경험 35
      • 2.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교육활동이 고등학교 진학결정에 미친 영향 49
      • Ⅴ. 논의 56
      • Ⅵ. 요약 및 결론 60
      • 1. 요약 60
      • 2. 결론 63
      • 3. 제언 64
      • 참고문헌 66
      • Abstract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