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漢字辭典의 현재적 의미와 개선 방안 = The Contemporary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and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dern Sinosphere, comprehensive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with the function of encyclopedia were competitively compiled and published. What follows are the notable dictionaries: the Dai Kan-Wa Jiten (大漢和辞典, The Great Chinese–Japanese Dictionary) compiled by Tetsuji Morohashi in 1960, the Zhongwen Da Cidian (中文大辭典, the Encyclopaedic Dictionary of the Chinese Language)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advanced Chinese studies of Taiwan in 1962, the Hanyu Da Cidian (漢語大詞典, Comprehensive Chinese Word Dictionary) published by Hanyudacidian bianjiweiyuanhui (漢語大詞典編輯委員會) and Hanyudacidian bianzuanchu (漢語大詞 典編纂處) of China in 1993, Han-Han Dae Sajeon published by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at Dankook university of Korea in 2008. Among them, Han-Han Dae Sajeon is estimated to be the most comprehensive work at the present time. However, it also needs improvement in some respects.
      (1)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for modern readers should not only preserve the traditional functions they had, but also respond to the changes of environment of reading.
      a. each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by its meaning, form and pronunciation, and meaning with sources cited.
      b. the major concepts of culture, history and natural science should be dealt with.
      c. the function of rhyme dictionary should be included.
      d. the Sinic culture peculiar to Korea should be considered in selecting entries and defining the words.
      e. It should be designed to be a reference book as well as a reading material for pleasure for the readers of present day.
      (2) It should aim to be an idealistic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ith its micro- and macro-structure designed reasonably.
      a. the selection of a radical system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 each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by its definition not by Xun (訓) style interpretation.
      c. the genealogy of each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with its genealogical tree.
      d. the improvement of the way of citing sources should be considered with deliberation.
      (3) In case of revising entries,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considered.
      a. the entries suggested by various dictionaries in present time should be referred.
      b. Korean Literature in Literary Chinese including poetry and prose,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rhyme dictionaries, category books (類書), scholarly essays (雜考) should be referred.
      c. Saeokpyeon published by Sahoe Kwahagwŏn Kojŏn Yŏnʾguso of North Korea in 1963 should be referred while improving its standard of selection of meaning, form and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its adoption of “clerical reading” (idu, 吏讀) as entry word.
      (4)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newly edited for the information ag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two aspects.
      a. the common vocabularies in classical Chinese in Sinosphere should be researched.
      b. Sino-Korean vocabularies should be researched as a part of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of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It is needed to change the editorial policy of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epochally including entry selection, the content of definition, the systematization of entries etc. under highly developed internet environment.
      번역하기

      In modern Sinosphere, comprehensive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with the function of encyclopedia were competitively compiled and published. What follows are the notable dictionaries: the Dai Kan-Wa Jiten (大漢和辞典, The Great Chinese–Japan...

      In modern Sinosphere, comprehensive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with the function of encyclopedia were competitively compiled and published. What follows are the notable dictionaries: the Dai Kan-Wa Jiten (大漢和辞典, The Great Chinese–Japanese Dictionary) compiled by Tetsuji Morohashi in 1960, the Zhongwen Da Cidian (中文大辭典, the Encyclopaedic Dictionary of the Chinese Language)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advanced Chinese studies of Taiwan in 1962, the Hanyu Da Cidian (漢語大詞典, Comprehensive Chinese Word Dictionary) published by Hanyudacidian bianjiweiyuanhui (漢語大詞典編輯委員會) and Hanyudacidian bianzuanchu (漢語大詞 典編纂處) of China in 1993, Han-Han Dae Sajeon published by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at Dankook university of Korea in 2008. Among them, Han-Han Dae Sajeon is estimated to be the most comprehensive work at the present time. However, it also needs improvement in some respects.
      (1)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for modern readers should not only preserve the traditional functions they had, but also respond to the changes of environment of reading.
      a. each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by its meaning, form and pronunciation, and meaning with sources cited.
      b. the major concepts of culture, history and natural science should be dealt with.
      c. the function of rhyme dictionary should be included.
      d. the Sinic culture peculiar to Korea should be considered in selecting entries and defining the words.
      e. It should be designed to be a reference book as well as a reading material for pleasure for the readers of present day.
      (2) It should aim to be an idealistic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ith its micro- and macro-structure designed reasonably.
      a. the selection of a radical system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 each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by its definition not by Xun (訓) style interpretation.
      c. the genealogy of each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with its genealogical tree.
      d. the improvement of the way of citing sources should be considered with deliberation.
      (3) In case of revising entries,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considered.
      a. the entries suggested by various dictionaries in present time should be referred.
      b. Korean Literature in Literary Chinese including poetry and prose,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rhyme dictionaries, category books (類書), scholarly essays (雜考) should be referred.
      c. Saeokpyeon published by Sahoe Kwahagwŏn Kojŏn Yŏnʾguso of North Korea in 1963 should be referred while improving its standard of selection of meaning, form and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its adoption of “clerical reading” (idu, 吏讀) as entry word.
      (4)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newly edited for the information ag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two aspects.
      a. the common vocabularies in classical Chinese in Sinosphere should be researched.
      b. Sino-Korean vocabularies should be researched as a part of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of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It is needed to change the editorial policy of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epochally including entry selection, the content of definition, the systematization of entries etc. under highly developed internet enviro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자문화권에서는 현대에 들어와 백과사전의 기능을 겸한 사전(辭典, 詞典)을 경쟁적으로 편찬, 간행해 왔다. 현대 거질의 한자어 사전의 편찬은 모로하시 데쓰지(諸橋轍次)가 1960년 완간한 『대한화사전(大漢和辞典)』, 중화민국(대만) 중국학술원이 1962년 간행한 『중문대사전(中文大辭典)』, 인민중국의 중국한어대사전편찬위원회와 한어대사전편찬처가 1993년 완간한 『한어대사전(漢語大詞典)』에 이어, 한국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이2008년 완간한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을 꼽을 수 있다. 현재로서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의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이 가장 방대한 규모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 사전은 개선되어야 할 점도 있다.
      (1) 현대 사회의 한자사전은 종래의 한자사전이 지향하던 목표를 계승하면서 독서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새로운 목표도 함께 설정해야 한다.
      ⓐ 형·음·의 세 방면을 모두 해설하고 자의는 출전을 제대로 밝혀야 한다.
      ⓑ 문화와 역사, 자연과학의 주요 개념들을 망라해야 한다.
      ⓒ 운서(韻書)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 한국 한자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제항을 선정하고 훈석을 해야 한다.
      ⓔ 새로운 인식의 참조준거가 되면서 독서물로서 완상될 수 있게 구성해야 한다(2) 이상적 한자사전은 대구조와 소구조가 합리적이어야 한다.
      ⓐ 부수법(部首法)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 정의식(定義式) 훈석(訓釋)을 지향해야 한다.
      ⓒ 자의(字義)의 파생(派生) 내력을 망라하는 보계수(譜系樹)식 구성을 취해야 한다.
      ⓓ 인용 원문의 제시 방식 개선에 주의해야 한다.
      (3) 한자사전의 표제항을 새로 선정할 때는 다음 사안들을 검토해야 한다.
      ⓐ 현대의 다양한 사전들이 제시한 표제항을 참고해야 한다.
      ⓑ 한국의 시문, 자전, 운서, 유서(類書), 잡고(雜考)를 함께 참고해야 한다.
      ⓒ 북한 과학원 고전연구소의 새옥편(1963년)을 참고로 하면서 한자의 자형을 심사한 방식, 한자음을 심정한 방식, 이두자를 올림자로 채택한 방식을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4) 웹 시대 동아시아의 새로운 한자사전은 다음 두 방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공통의 고전 한자 어휘를 재정리해야 한다.
      ⓑ 국고(國故) 정리의 일환으로서 한국한자문화내의 독특한 용례를 지닌 어휘들을 정리해야 한다.
      앞으로 한자사전을 편찬할 때에는 웹의 발달에 대응하여 항목의 선정과 서술 내용, 항목의 체계화 등과 관련하여 획기적인 전환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한자문화권에서는 현대에 들어와 백과사전의 기능을 겸한 사전(辭典, 詞典)을 경쟁적으로 편찬, 간행해 왔다. 현대 거질의 한자어 사전의 편찬은 모로하시 데쓰지(諸橋轍次)가 1960년 완간한 ...

      한자문화권에서는 현대에 들어와 백과사전의 기능을 겸한 사전(辭典, 詞典)을 경쟁적으로 편찬, 간행해 왔다. 현대 거질의 한자어 사전의 편찬은 모로하시 데쓰지(諸橋轍次)가 1960년 완간한 『대한화사전(大漢和辞典)』, 중화민국(대만) 중국학술원이 1962년 간행한 『중문대사전(中文大辭典)』, 인민중국의 중국한어대사전편찬위원회와 한어대사전편찬처가 1993년 완간한 『한어대사전(漢語大詞典)』에 이어, 한국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이2008년 완간한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을 꼽을 수 있다. 현재로서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의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이 가장 방대한 규모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 사전은 개선되어야 할 점도 있다.
      (1) 현대 사회의 한자사전은 종래의 한자사전이 지향하던 목표를 계승하면서 독서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새로운 목표도 함께 설정해야 한다.
      ⓐ 형·음·의 세 방면을 모두 해설하고 자의는 출전을 제대로 밝혀야 한다.
      ⓑ 문화와 역사, 자연과학의 주요 개념들을 망라해야 한다.
      ⓒ 운서(韻書)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 한국 한자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제항을 선정하고 훈석을 해야 한다.
      ⓔ 새로운 인식의 참조준거가 되면서 독서물로서 완상될 수 있게 구성해야 한다(2) 이상적 한자사전은 대구조와 소구조가 합리적이어야 한다.
      ⓐ 부수법(部首法)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 정의식(定義式) 훈석(訓釋)을 지향해야 한다.
      ⓒ 자의(字義)의 파생(派生) 내력을 망라하는 보계수(譜系樹)식 구성을 취해야 한다.
      ⓓ 인용 원문의 제시 방식 개선에 주의해야 한다.
      (3) 한자사전의 표제항을 새로 선정할 때는 다음 사안들을 검토해야 한다.
      ⓐ 현대의 다양한 사전들이 제시한 표제항을 참고해야 한다.
      ⓑ 한국의 시문, 자전, 운서, 유서(類書), 잡고(雜考)를 함께 참고해야 한다.
      ⓒ 북한 과학원 고전연구소의 새옥편(1963년)을 참고로 하면서 한자의 자형을 심사한 방식, 한자음을 심정한 방식, 이두자를 올림자로 채택한 방식을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4) 웹 시대 동아시아의 새로운 한자사전은 다음 두 방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공통의 고전 한자 어휘를 재정리해야 한다.
      ⓑ 국고(國故) 정리의 일환으로서 한국한자문화내의 독특한 용례를 지닌 어휘들을 정리해야 한다.
      앞으로 한자사전을 편찬할 때에는 웹의 발달에 대응하여 항목의 선정과 서술 내용, 항목의 체계화 등과 관련하여 획기적인 전환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王力, "理想的字典" (33) : 1945

      2 "龍蟲倂彫齋文集 1책"

      3 한국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 2008

      4 최환, "한중 유서 문화 개관" 영남대학교출판부 2008

      5 심경호, "한국한문기초학사" 태학사 1-3, 2012

      6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7 박형익, "한국의 자전" 한국어학회 (23) : 1-22, 2004

      8 강신항, "한국의 운서" 太學社 2000

      9 정경일, "한국운서의이해" 아카넷 2003

      10 이병근, "한국어 사전의 역사와 방향" 태학사 2000

      1 王力, "理想的字典" (33) : 1945

      2 "龍蟲倂彫齋文集 1책"

      3 한국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 2008

      4 최환, "한중 유서 문화 개관" 영남대학교출판부 2008

      5 심경호, "한국한문기초학사" 태학사 1-3, 2012

      6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7 박형익, "한국의 자전" 한국어학회 (23) : 1-22, 2004

      8 강신항, "한국의 운서" 太學社 2000

      9 정경일, "한국운서의이해" 아카넷 2003

      10 이병근, "한국어 사전의 역사와 방향" 태학사 2000

      11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시스템"

      12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Yugo Net"

      13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14 박형익, "한국 자전의 역사" 역락 2012

      15 하영삼, "중국 한자사전 부수배열 체계의 변천" 중국어문학회 10 : 1995

      16 심경호, "조선후기 변격시문에 관한 일고찰"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53 (53): 5-36, 2017

      17 박성종, "조선초기 고문서 이두문 역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8 장소원, "조선시대 국어학사 자료에 대한 기초연구" 서울대학교 2003

      19 심경호, "성호의 僿說과 지식 구축 방식(2)" 한국고전번역원 50 : 245-300, 2017

      20 심경호, "성호의 僿說과 지식 구축 방식(1)" 한국고전번역원 49 : 137-186, 2017

      21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한국경학자료시스템"

      2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3 과학원 고전연구소, "새옥편" 북한 과학원출판사 1983

      24 심경호, "북한의 말과 글" 을유문화사 1989

      25 심경호, "동아시아에서의 ‘千字文’ 類 및 ‘蒙求’ 類 流行과 漢字漢文 基礎敎育"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45, 2015

      26 權文海, "대동운부군옥 1~10" 소명출판 2003

      27 "남명학연구원"

      28 李瀷, "국역 성호사설" 민족문화추진회 1976

      2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정보시스템"

      30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KORCIS"

      31 "국립중앙도서관 통합검색 디브러리"

      32 이승재, "고려시대의 이두" 국어학회 1992

      3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3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문자코드연구센터"

      35 "고려대학교 도서관"

      36 杜佑, "通典(全五冊書圖)" 王文錦等點校, 中華書局 1992

      37 朱駿聲, "說文通訓定聲" 中華書局 1984

      38 徐鍇 傳釋, "說文解字繫傳通釋 17~18" 臺灣商務印書館 1965

      39 段玉裁,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8

      40 尾崎雄二郞, "訓讀說文解字注 8冊(金·石·絲·竹·匏·土·革·木)" 東海大學出版會 1986

      41 吉岡眞之, "言語と文字:列島の古代史, ひと·もの·こと" 岩波書店 2006

      42 인민중국 중국한어대사전편찬위원회, "漢語大詞典" 1993

      43 馬端臨, "景印文淵閣四庫全書" 臺灣商務印書館 1983

      44 長澤規矩也, "明淸俗語辭書集成" 汲古書院 1974

      45 崔南善 朝鮮光文會, "新字典" 新文館 1915

      46 전일주, "康熙字典과 韓國 初期 字典 比較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357-386, 2006

      47 張玉書, "康熙字典" 中華書局 1958

      48 "太平御覽" 中華書局 1960

      49 鎌田正, "大漢語林 語彙總覽" 大修館書店 1992

      50 모로하시 데쓰지(諸橋轍次), "大漢和辞典" 大修館書店 1960

      51 古典硏究會, "唐話辭書類集" 汲古書院 1969

      52 朱慶之, "佛典與中古漢語詞彙研究" 文津出版社 1992

      53 朴在淵, "中漢大辭典(전9책)" 鮮文大學校 中漢飜譯文獻硏究所 2002

      54 중화민국(대만) 중국학술원, "中文大辭典" 1962

      55 劉葉秋(劉叶秋), "中國字典史略" 中華書局 1983

      56 中國大百科全書編纂委員會, "中國大百科全書·語言文字"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88

      57 서수백, "『훈몽자회』와 『자전석요』의 한자 자석의 의미정보 수록 양상 비교 연구" 언어과학회 (55) : 117-140, 2010

      58 하강진,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한국문학회 (56) : 663-728, 2010

      59 日本京都大學 蔵書検索 KULINE, "http://www3.kulib.kyoto-u.ac.jp/"

      60 李圭景, "(국역분류)오주연문장전산고" 민족문화추진회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