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중한사전 작업의 새로운 모색 및 활용 방안 -『다락원 중한사전』의 편찬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w Approach and Application of Chinese-Korean Dictionary Work:Focused on the Compositions of Darakwon Chinese-Korean Dictionary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ain and introduce the status of the publication of the Chinese-Korean dictionaries, and to explain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of Daragwon Publishing, to be published in the future.
      Even though the influence of publishing a bilingual dictionary on the academic world and the learning market, the work of compiling it is very meaningful. However, it must be difficult to compile the authentic Chinese-Korean dictionary because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experts on the dictionary. Thus,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by Daragwon certainly has the same meaning as a milestone in the Korean Chinese learning market.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is like a work of comprehensive art, requiring linguistic, cultural and anthropological knowledge, and a high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if it is lacking i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system and processes. I hope that in the future, this work will be done with the encouragement and support of many interested people.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plain and introduce the status of the publication of the Chinese-Korean dictionaries, and to explain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of Daragwon Publishing, to be published in the future. Even though the influence of publishing a b...

      This paper aims to explain and introduce the status of the publication of the Chinese-Korean dictionaries, and to explain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of Daragwon Publishing, to be published in the future.
      Even though the influence of publishing a bilingual dictionary on the academic world and the learning market, the work of compiling it is very meaningful. However, it must be difficult to compile the authentic Chinese-Korean dictionary because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experts on the dictionary. Thus,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by Daragwon certainly has the same meaning as a milestone in the Korean Chinese learning market.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is like a work of comprehensive art, requiring linguistic, cultural and anthropological knowledge, and a high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if it is lacking i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system and processes. I hope that in the future, this work will be done with the encouragement and support of many interested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국내 중한사전 출판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출판되는 다락원출판사의 중한사전 편찬 상황을설명하고 소개하는 데 집필 목적이 있다.
      이중 언어 사전의 출판이 학술계와 학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놓고 보더라도, 사전의 편찬 작업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그렇지만 현재 사전 집필의 전문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명실상부한 중한사전을 편찬한다는것은 확실히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다. 그러므로 『다락원 중한사전』의 편찬은 국내 중국어학습 시장을 놓고 보더라도 분명 이정표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사전편찬은 일종의 종합 예술 작품과 같아서 언어학적인 지식과 문화인류학적 지식, 그리고 고도의 모국어 실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시스템과 작업 과정이 결여된다면 종합 예술 작품은 완성할 수가 없다. 앞으로 이 작업이 관심 있는 많은 분들의격려와 지지 아래 이루어지길 바란다.
      번역하기

      본고는 국내 중한사전 출판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출판되는 다락원출판사의 중한사전 편찬 상황을설명하고 소개하는 데 집필 목적이 있다. 이중 언어 사전의 출판이 학술계와 학습...

      본고는 국내 중한사전 출판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출판되는 다락원출판사의 중한사전 편찬 상황을설명하고 소개하는 데 집필 목적이 있다.
      이중 언어 사전의 출판이 학술계와 학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놓고 보더라도, 사전의 편찬 작업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그렇지만 현재 사전 집필의 전문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명실상부한 중한사전을 편찬한다는것은 확실히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다. 그러므로 『다락원 중한사전』의 편찬은 국내 중국어학습 시장을 놓고 보더라도 분명 이정표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사전편찬은 일종의 종합 예술 작품과 같아서 언어학적인 지식과 문화인류학적 지식, 그리고 고도의 모국어 실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시스템과 작업 과정이 결여된다면 종합 예술 작품은 완성할 수가 없다. 앞으로 이 작업이 관심 있는 많은 분들의격려와 지지 아래 이루어지길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철, "현대한어허사용법사전" 성보사 2004

      2 김현철, "허사대사전" 성보사 2001

      3 박영종, "한어코퍼스를 활용한 중한사전의 개선" 중국어문학연구회 (53) : 165-196, 2008

      4 황은하, "한·중 사전 비교 연구" 7 : 2006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6 金鉉哲, "중한사전의 사전학적 연구" 지식과 교양 2012

      7 김현철, "중국학계의 중국어 기본어휘 선정 현황과 활용방안 연구" 중국어문학연구회 (60) : 259-280, 2010

      8 鄭憲哲, "우리 中國語 辭典의 回顧와 展望" 10 : 1995

      9 金鉉哲, "세계의 언어사전" 한국문화사 2016

      10 하트만, "사전편찬의 원리와 실제" 제이엔씨 2008

      1 김현철, "현대한어허사용법사전" 성보사 2004

      2 김현철, "허사대사전" 성보사 2001

      3 박영종, "한어코퍼스를 활용한 중한사전의 개선" 중국어문학연구회 (53) : 165-196, 2008

      4 황은하, "한·중 사전 비교 연구" 7 : 2006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6 金鉉哲, "중한사전의 사전학적 연구" 지식과 교양 2012

      7 김현철, "중국학계의 중국어 기본어휘 선정 현황과 활용방안 연구" 중국어문학연구회 (60) : 259-280, 2010

      8 鄭憲哲, "우리 中國語 辭典의 回顧와 展望" 10 : 1995

      9 金鉉哲, "세계의 언어사전" 한국문화사 2016

      10 하트만, "사전편찬의 원리와 실제" 제이엔씨 2008

      11 신지언, "사전을 통해 살펴보는 중국어 규범화 ― 现代汉语规範词典의 “提示”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50) : 169-190, 2008

      12 이창호, "사전에서의 이체자 처리 형식에 대한 분석 ―『現代漢語規範詞典』과 『現代漢語詞典』을 대상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44) : 53-81, 2007

      13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9

      14 강식진, "進明 中韓辭典" 진명출판사 2001

      15 中國社會科學院語言硏究所詞典編輯室, "現代漢語詞典" 商務印書館 2016

      16 박영종, "現代中韓辭典" 교학사 2008

      17 손예철, "東亞 Prime 中韓辭典" 두산동아 2008

      18 梁伍鎭, "朝鮮時代 多重言語辭典類에 대하여" 중국어문연구회 (29) : 273-290, 2005

      19 商務印書館辭書硏究中心, "商務館學漢語詞典" 商務印書館 2006

      20 김현철, "关於韩国的汉语教学现状與发展" 중국어문학연구회 (53) : 221-232, 2008

      21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中韓辭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989

      22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中韓辭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2

      23 송인성, "中韓 辭典의 몇 가지 問題點과 改善 方案" 40 : 1999

      24 박재연, "中朝大辭典 1~9"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02

      25 박재연, "『中朝大辭典』 편찬에 대하여-필사본 번역고소설 활용을 중심으로" 1 :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