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빅데이터 기반 경관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창원특례시 중점경관관리구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Process based on Big Data : Focused on Landscape Management Area of Changwon Special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999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관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경관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이론적 토대는 경관과 경관디자인, 지역정체성, 빅데이터와 관련한 선행 연구를 비롯하여 정부 기관 및 지자체의 경관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였다. 경관디자인 요소는 물리적·비물리적 대상 외에도 구성원들이 공간을 활용하면서 발생하는 활동·행동 패턴, 생각·느낌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비물리적 경관디자인 요소와 더불어 구성원들의 실질적인 행동 패턴과 경관 수요 등을 확인하여 경관디자인 설계에 접목, 지역의 정체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최근 기술의 발달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들을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정량화하고, 이들의 관계성을 확인하여 숨은 의도의 발견, 미래 예측 등 다양한 가능성을 발견하게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도 이런 시류에 따라 통신사 및 신용카드 매출 데이터를 통해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확인하고, 소셜 미디어인 블로그 게시글 등을 통해서는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 등을 도출하였다. 이는 각각 ‘행동 데이터’와 ‘의식 데이터’로 명명하였으며, 경관디자인 설계에 접목할 수 있는 형태로 정리하여 일련의 과정들을 경관디자인 프로세스로 제시하였다.

      연구모델의 검증을 위해 2010년 통합, 2022년 특례시로 출범한 창원특례시 3개의 중점경관관리구역 3개소에 적용해 보았으며, 경관디자인 요소의 도출, 그리고 이들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경관디자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경관디자인 설계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 경관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한 것이다. 주민들의 행동 및 의식에 기반한 경관디자인 설계는 해당 지역의 중요한 가치, 지역의 정체성 등이 공간과 소통할 기회를 제공해 준다. 하지만, 지자체 경관디자인 사업 등을 통해 확인한 주민 의견 수렴 과정은 대부분 설문조사, 주민 설명회 등으로 진행되었는데, 시간적·물리적·금전적 비용 등의 발생과 일부 구성원들의 의견이 전체를 대변하게 되는 점 등으로 본 프로세스의 적용을 통해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둘째, 제안된 프로세스를 창원특례시 중점경관관리구역 3개소에 적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경관디자인 요소를 발견하였다. 현장 분석 및 관련 계획을 통해서는 물리적·비물리적 요소와 대상 지역의 경관계획 방향성을 확인하였으며, 빅데이터 기법을 통해서는 행동 데이터와 의식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관계성을 분석하여 지역정체성과 주요 경관디자인 요소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경관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셋째, 경관디자인 요소와 지역정체성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공간에서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경관디자인 해결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선정된 3개 지역은 통합 전 각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간직한 장소였으나, 통합에 따른 새로운 정체성을 발견하고, 또 이를 구현해 줄 수 있는 해결책 제시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공간과 소통할 방법을, 경관디자인을 통해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되는 데이터는 대상지의 특성·상황 등에 따라 데이터양 규모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3개의 대상지 중 2개소는 지역 축제가 개최되는 장소와 관련이 있으며, 나머지 1개소는 유동 인구가 많은 도심 속에 위치한 카페거리다. 대상지 특성에 따라 주제와 관련된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는 한계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 외 추가로 수집할 수 있는 플랫폼의 발견과 주제와 관련된 분석 내용을 도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지속적인 조사 및 연구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소셜 미디어를 통해 도출되는 ‘의식 데이터’는 광고성 글과 특정 사용자 그룹에 의한 편향적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가 개입될 수 있는 우려 등이 여전히 존재한다. 대상지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검색 플랫폼을 선정하되, 객관적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정교하고 세밀한 정제 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의식 데이터’와 ‘행동 데이터’ 외 다양한 관점에서 경관디자인을 해석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이 필요하다. 경관디자인은 시각적 결과물로 인지되는 대상의 특성상 이미지와 관련한 데이터가 경관디자인 설계에 중요한 요소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의식 데이터’와 같이 사용자들의 선호도 등이 반영된 이미지 데이터 확보를 위한 딥러닝, AI 등 다양한 접근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관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경관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이론적 ...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관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경관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이론적 토대는 경관과 경관디자인, 지역정체성, 빅데이터와 관련한 선행 연구를 비롯하여 정부 기관 및 지자체의 경관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였다. 경관디자인 요소는 물리적·비물리적 대상 외에도 구성원들이 공간을 활용하면서 발생하는 활동·행동 패턴, 생각·느낌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비물리적 경관디자인 요소와 더불어 구성원들의 실질적인 행동 패턴과 경관 수요 등을 확인하여 경관디자인 설계에 접목, 지역의 정체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최근 기술의 발달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들을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정량화하고, 이들의 관계성을 확인하여 숨은 의도의 발견, 미래 예측 등 다양한 가능성을 발견하게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도 이런 시류에 따라 통신사 및 신용카드 매출 데이터를 통해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확인하고, 소셜 미디어인 블로그 게시글 등을 통해서는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 등을 도출하였다. 이는 각각 ‘행동 데이터’와 ‘의식 데이터’로 명명하였으며, 경관디자인 설계에 접목할 수 있는 형태로 정리하여 일련의 과정들을 경관디자인 프로세스로 제시하였다.

      연구모델의 검증을 위해 2010년 통합, 2022년 특례시로 출범한 창원특례시 3개의 중점경관관리구역 3개소에 적용해 보았으며, 경관디자인 요소의 도출, 그리고 이들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경관디자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경관디자인 설계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 경관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한 것이다. 주민들의 행동 및 의식에 기반한 경관디자인 설계는 해당 지역의 중요한 가치, 지역의 정체성 등이 공간과 소통할 기회를 제공해 준다. 하지만, 지자체 경관디자인 사업 등을 통해 확인한 주민 의견 수렴 과정은 대부분 설문조사, 주민 설명회 등으로 진행되었는데, 시간적·물리적·금전적 비용 등의 발생과 일부 구성원들의 의견이 전체를 대변하게 되는 점 등으로 본 프로세스의 적용을 통해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둘째, 제안된 프로세스를 창원특례시 중점경관관리구역 3개소에 적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경관디자인 요소를 발견하였다. 현장 분석 및 관련 계획을 통해서는 물리적·비물리적 요소와 대상 지역의 경관계획 방향성을 확인하였으며, 빅데이터 기법을 통해서는 행동 데이터와 의식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관계성을 분석하여 지역정체성과 주요 경관디자인 요소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경관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셋째, 경관디자인 요소와 지역정체성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공간에서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경관디자인 해결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선정된 3개 지역은 통합 전 각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간직한 장소였으나, 통합에 따른 새로운 정체성을 발견하고, 또 이를 구현해 줄 수 있는 해결책 제시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공간과 소통할 방법을, 경관디자인을 통해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되는 데이터는 대상지의 특성·상황 등에 따라 데이터양 규모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3개의 대상지 중 2개소는 지역 축제가 개최되는 장소와 관련이 있으며, 나머지 1개소는 유동 인구가 많은 도심 속에 위치한 카페거리다. 대상지 특성에 따라 주제와 관련된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는 한계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 외 추가로 수집할 수 있는 플랫폼의 발견과 주제와 관련된 분석 내용을 도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지속적인 조사 및 연구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소셜 미디어를 통해 도출되는 ‘의식 데이터’는 광고성 글과 특정 사용자 그룹에 의한 편향적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가 개입될 수 있는 우려 등이 여전히 존재한다. 대상지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검색 플랫폼을 선정하되, 객관적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정교하고 세밀한 정제 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의식 데이터’와 ‘행동 데이터’ 외 다양한 관점에서 경관디자인을 해석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이 필요하다. 경관디자인은 시각적 결과물로 인지되는 대상의 특성상 이미지와 관련한 데이터가 경관디자인 설계에 중요한 요소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의식 데이터’와 같이 사용자들의 선호도 등이 반영된 이미지 데이터 확보를 위한 딥러닝, AI 등 다양한 접근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표 차례
      • · 그림 차례
      • · 국문초록
      • Ⅰ. 서 론
      • · 표 차례
      • · 그림 차례
      • · 국문초록
      • Ⅰ. 서 론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방법 및 범위 4
      • 2.1 연구 방법 4
      • 2.2 연구 범위 7
      • 2.3 연구 흐름 및 구성 9
      • Ⅱ. 이론적 배경 10
      • 1. 경관과 경관디자인 10
      • 1.1 경관의 정의 10
      • 1.2 경관디자인 요소와 역할 13
      • 1) 경관디자인 요소 13
      • 2) 경관디자인 역할 22
      • 3) 종합 24
      • 1.3 경관디자인 설계와 프로세스 26
      • 1) 경관디자인 사업 프로세스 28
      • 2) 경관계획의 경관디자인사업 프로세스 33
      • 3) 현행 경관디자인 관련 프로세스의 한계 36
      • 4) 경관디자인 관련 프로세스 선행연구 분석 38
      • 5) 소결 51
      • 2. 지역정체성 55
      • 2.1 지역정체성 정의 55
      • 2.2 지역정체성 형성 요소 58
      • 2.3 지역정체성과 경관디자인 60
      • 3. 빅데이터 62
      • 3.1 빅데이터 정의 62
      • 3.2 빅데이터 유형과 특징 62
      • 1) 비정형 데이터 63
      • 2) 반정형 데이터 73
      • 3.3 경관디자인과 빅데이터 76
      • 1) 행정기관 빅데이터 활용 76
      • 2) 선행연구 빅데이터 활용 85
      • 3.4. 소결 89
      • Ⅲ. 연구모델 제안 91
      • 1. 경관디자인 요소 분석표 91
      • 1.1 현장분석 내용 93
      • 1.2 행동 데이터(반정형 데이터) 93
      • 1.3 의식 데이터(비정형 데이터) 94
      • 2. 경관디자인 프로세스 97
      • 2.1 사전준비 97
      • 2.2 기획/구상 98
      • 2.3 계획/설계 98
      • 2.4 시행/완료 99
      • 2.5 사후관리 99
      • 3. 연구 모델 검증 102
      • 3.1 검증 방법 103
      • 1) 경관디자인 사업 103
      • 2) 빅데이터 활용 105
      • 3) 경관디자인 요소 분석표 107
      • 4) 경관디자인 프로세스 108
      • 5) 기타 의견 108
      • 3.2 검증 분석 110
      • 1) 경관디자인 사업 110
      • 2) 빅데이터 활용 111
      • 3) 경관디자인 요소 분석표 112
      • 4) 경관디자인 프로세스 112
      • 5) 기타 의견 113
      • 3.3 경관디자인 프로세스 보완 113
      • 4. 소결 116
      • Ⅳ. 연구대상지 선정 118
      • 1. 창원특례시 소개 118
      • 2. 창원특례시 경관디자인 지침 121
      • 2.1 창원시 경관계획 121
      • 2.2 창원시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128
      • 2.3 기타 관련계획 131
      • 1) 창원 배후도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131
      • 2) 창원시 공간환경 전략계획 132
      • 3) 충무지구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134
      • 3. 창원특례시 중점경관관리구역 현황 137
      • 3.1 용호동 가로수길 143
      • 1) 경관 현황 분석 143
      • 2) 경관디자인 지침 147
      • 3) 빅데이터 수집 및 정제 149
      • 3.2 마산 장어 거리 154
      • 1) 경관 현황 분석 154
      • 2) 경관디자인 지침 159
      • 3) 빅데이터 수집 및 정제 162
      • 3.3 진해 원도심 159
      • 1) 경관 현황 분석 168
      • 2) 경관디자인 지침 173
      • 3) 빅데이터 수집 및 정제 175
      • Ⅴ. 빅데이터를 이용한 경관디자인 설계 181
      • 1. 적용 빅데이터의 유형과 내용 181
      • 2. 추출 내용 및 분석 182
      • 2.1 용호동 가로수길 182
      • 1) 텍스트 마이닝 182
      • 2) 네트워크 분석 185
      • 3) 경관디자인 요소와 정체성과의 관계 192
      • 2.2 마산 장어 거리 195
      • 1) 텍스트 마이닝 195
      • 2) 네트워크 분석 198
      • 3) 경관디자인 요소와 정체성과의 관계 206
      • 2.3 진해 원도심 209
      • 1) 텍스트 마이닝 209
      • 2) 네트워크 분석 212
      • 3) 경관디자인 요소와 정체성과의 관계 221
      • 3. 대상지 종합비교 분석 및 디자인 요소 추출 224
      • 3.1 용호동 가로수길 226
      • 3.2 마산 장어 거리 229
      • 3.3 진해 원도심 233
      • 4. 창원특례시 지역정체성 형성을 위한 공통디자인 요소 도출 및 제안 237
      • 4.1 용호동 가로수길 237
      • 4.2 마산 장어 거리 241
      • 4.3 진해 원도심 246
      • Ⅵ. 결론 251
      • 1. 연구결과 251
      • 2. 연구의 한계점 253
      • 참고문헌 255
      • 부 록 262
      • Abstract 2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